• 제목/요약/키워드: water holding capacity (WHC)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38초

맥섬석 혼합 건조혈분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Diet Supplemented with Dried Animal Blood and Macsumsuk Mixture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Parameters of Broiler Chickens)

  • 김병기;이준구;황은경;강보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9-39
    • /
    • 2017
  • 본 시험은 가축혈액과 맥섬석을 7:3 중량비율로 잘 혼합하여 $200^{\circ}C$에서 초고온 순간 분무방식으로 건조된 혈분을 육계사료에 첨가 급여하여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육계(브로일러)병아리 600수(4처리 ${\times}$ 50수씩 ${\times}$ 3반복) 구분 배치(대조구; 건조혈분 무첨가; T1구, 건조혈분 0.5% 첨가; T2구, 건조혈분 1.0% 첨가; T3구, 건조혈분 3.0% 첨가)한 후 35일간 사양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은 대조구가 높은 경향이었고, 도체중은 T2구(1,749 g), T3구(1,739 g), T1구(1,621 g)가 대조구(1,448.5 g)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p<0.001), 도체율은 T3구(83.26%)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계육의 육질분석에서 조지방은 T2구(1.14%)가 높았고(p<0.001), 보수력은 T1구(62.27%)와 T2구(63.80%)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또한 육색에서 L값(명도)은 처리구(53.98~55.48)가 대조구(45.81)보다 크게 높았다(p<0.01). 또한 가슴과 다리육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39.28~50.44 mg/100 g 범위에 있었고, 대부분 처리구가 39.28~47.34 mg/100 g 범위로서 대조구(50.44 mg/100g)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01) 계육의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palmitic acid, linoleic acid, stearic acid 순으로 낮아졌다. 또한 불포화지방산(UFA) 및 단가불포화지방산(MUFA) 및 UFA/SFA 비율은 T1구가 각각 69.35%, 52.00% 및 2.26%로 다른 처리구보다 크게 높았다(p<0.05, p<0.01, p<0.001). 아미노산 함량에서는 cystine, methionine 함량이 처리구(0.43~0.57%)가 대조구(0.38~0.46%)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가축혈액과 맥섬석을 7:3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혈분을 육계사료에 0.5~1.0% 정도 첨가급여하면 증체량, 사료효율 및 계육의 육질이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버크셔 계통조성돈의 육질 특성비교 (Comparison of Pork Quality by Different Berkshire Line)

  • 박범영;조수현;김진형;성필남;강근호;정다운;김철욱;박화춘;정종현;최종순;김동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67-871
    • /
    • 2010
  • 체계적인 종돈관리와 우리의 식문화 특성을 고려하여 육질이 우수한 버크셔 계통조성을 위하여 총 8농장에서 종돈을 구입하여 유전적인 교류 유무에 따라 총 448두의 버크셔를 가계에 따라 5계통으로 분류하고 도축하여 육질을 비교한 결과 도축 후 45분 pH($pH_{45\;min}$)는 성장계통이 6.08로 육질 1계통과 3계통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지만, 사후 24시간 pH($pH_{24\;h}$)는 육질 1계통과 계통5가 각각 5.69, 5.65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수분함량은 계통5가 가장 높았고, 근내지방 함량은 계통 4가 3.07%으로 높았다. 보수력은 계통 3이 58.36%로 가장 높았고, 전단력은 계통 4가 2.84 kg로 가장 낮았다(p<0.05). 육색 명도(CIE L) 값에서는 계통5가 51.59로 다른 계통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고, 적색도(a)와 황색도(b)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반적인 결과를 볼 때 육질 측면에서 계통 4가 근내지방 함량과 pH가 높고, 육색 명도, 드립감량, 전단력가가 낮아 육질형, 계통 5는 성장형으로서의 한국형 버크셔 계통조성에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육의 송풍식 냉동과 전기자장 냉동 중 온도 변화 및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Temperature Changes during Freezing and Effect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fter Thawing on Meat by Air Blast and Magnetic Resonance Quick Freezing)

  • 김영붕;우성민;정지윤;구수경;정진웅;금준석;김은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63-77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기자장 및 송풍식 냉동 방법이 냉동 중육의 온도 변화 및 해동 후의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우육(등심 및 우둔), 돈육(삼겹 및 뒷다리) 및 계육(가슴 및 다리)을 구매하여 공시 재료로 사용하였으며 냉동은 전기자장 냉동법 및 송풍식 냉동법($-20^{\circ}C$, $-45^{\circ}C$)의 세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육의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해동감량, 가열감량, 보수력 및 일반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냉동 중 육의 온도 변화 비교에서는 축종 및 부위에 관계없이 전기자장 냉동법(2 h)의 냉동 완료 시간이 $-20^{\circ}C$$-45^{\circ}C$ 송풍식 냉동법(24 h 및 8 h)보다 짧은 결과가 나타났다. 해동 후 품질 평가 결과에서 해동감량은 전기자장 냉동법을 이용한 우육 등심이 4.80%로 가장 낮았지만, 가열감량과 보수력에서는 43.7% 및 60.7%로 가장 높았다(p<0.05). 부위 및 냉동 방법에 따른 회분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조단백, 조지방 및 수분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지방함량은 전기자장 냉동법 우육의 등심과 우둔이 각각 10.4% 및 4.7%로 낮았지만, 수분함량은 67.1% 및 71.9%로 가장 높았다(p<0.05). 단백질 함량은 계육 가슴(23.4%, 24.1% 및 23.1%)에서 가장 높았으며, 보수력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실험 결과 전기자장 방법이 송풍식 방법보다 냉동 시간이 짧고 해동감량, 가열감량 및 보수력 실험에서 유의적으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어 식육의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었으며, 축종 및 부위별 비교 결과 수분과 단백질 함량이 낮고 지방함량이 높은 부위일수록 드립이 적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Physico-chemical Meat Qualities of Loin and Top Round Beef from Holstein Calves with Different Slaughtering Ages

  • Cho, Soohyun;Kang, Sun Moon;Seong, Pilnam;Kang, Geunho;Choi, Sunho;Kwon, Engki;Moon, Sungsil;Kim, Donghun;Park, Beomyou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674-682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loin (m. longissimus dorsi) and top round (m. semimembranosus) beef from 3-, 6-, 9-, and 12 mon-old Holstein calves. For both loin and top round muscles, the moisture contents were decreased, whereas the protein and fat contents were increased, as the slaughtering age increased. In terms of meat color, for both muscle types, CIE $L^*$ values were decreased, whereas CIE $a^*$ values and myoglobin content increased as the slaughtering age increased. pH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3 mon-old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The Warner-Bratzler shear force (WBSF) values were lowest for loin muscles from the 12 mon-old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top round muscle among the 4 age groups. Cooking loss for both loin and top round musc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3 mon-old group than for the other groups. The water holding capacity (WHC) of both muscles were highest for the 12 mon-old groups (p<0.05). In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12 mon-old groups, loin muscle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C14:0, C16:1n7, C18:1n9,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 and top round muscle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C16:1n7, C18:1n7, C18:1n9, MUFA, MUFA/SFA. Loin muscle from the 3- and 12 mon-old group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tenderness and overall likeness. Top round muscle from the 9- and 12 mon-old group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overall likeness than those from the other age groups.

Effects of Lacquer (Rhus verniciflua) Meal on Carcass Traits, Fatty Acid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of Finishing Pigs

  • Song, C.H.;Choi, J.Y.;Yoon, S.Y.;Yang, Y.X.;Shinde, P.L.;Kwon, I.K.;Kang, S.M.;Lee, S.K.;Chae, B.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8호
    • /
    • pp.1207-1213
    • /
    • 2008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eeding different levels of lacquer (Rhus verniciflua Stokes) meal on the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fatty acid profile and meat quality of longissmuss dorsi (LD) muscle in finishing pigs. Pigs (n = 117; 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initial body weight $80{\pm}0.4kg$) were allotted to three dietary treatments and fed lacquer at 0, 2 and 4% of the diet for five weeks. Inclusion of lacquer meal in the diets of pigs had no influence on their growth performance, carcass yield, loin eye area and fat free lean; however, pigs fed lacquer diets had lower backfat (linear, p = 0.006; quadratic, p = 0.004). Pigs fed increasing levels of lacquer meal had lower moisture (linear, p<0.001; quadratic, p = 0.008), crude fat (linear, p<0.001) and crude protein (linear, p<0.001; quadratic, p = 0.002) in LD muscle. The LD muscle of pigs fed lacquer meal had lower pH (linear and quadratic, p<0.05) at 6, 8 and 10 days, and linearly lower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p<0.01) at 8 and 10 days and water holding capacity (WHC, p<0.05) at 3, 6, 8 and 10 days.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LD muscle revealed linearly lower stearic (p = 0.034) and total saturated fatty acid (p = 0.049) with increasing dietary lacquer meal levels. In general, higher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values were observed in LD muscle of pigs fed 2% lacquer meal on day 0 and subsequently on 3, 6, 8 and 10 days of refrigerated storage.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lacquer meal can be incorporated up to 4% in the diet of finishing pigs without any adverse effects on performance; moreover, improvements in the meat quality during refrigerated storage can be obtained by inclusion of lacquer meal in the diet of finishing pigs.

동결(凍結) 돈육(豚肉) 저장(貯藏) 중(中)의 변화(變化) (Physicochemical Changes of Pork During its Frozen Storage)

  • 박석원;강통삼;민병용;서기봉;양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4-40
    • /
    • 1980
  • 돈육(豚肉)의 비축(備蓄)을 통(通)하여 축산물(畜産物) 가격(價格)의 안정화(安定化)에 기여(寄與)할 목적(目的)으로 도살(屠殺) 후(後) 48시간(時間) 예냉(豫冷)시킨 돈육(豚肉)을 급속(急速) 동결(凍結)하여 $-20^{\circ}C$에서 12개월(個月) 간(間) 저장(貯藏)하였을 때, 3개월(個月) 경과시(經過時) 마다 해동(解凍) 감량(減量), pH, 보수성(保水性), VBN, TBA 치(値) 및 관능(官能) 검사(檢査) 등(等)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각(各) 저장(貯藏) 기간(其間) 별(別) 해동(解凍) 시(時) 감량(減量)은 1% 이하(以下)이었다. 2. 이분체(二分體) 저장고(貯藏區)의 pH는 저장(貯藏) 기간(其間)이 길어짐에 따라 약간 상승(上昇)하였으나 부분육(部分肉) 저장구(貯藏區)의 pH는 변화(變化)가 미소(徵小)하였다. 3. 보수력(保水力)은 이분체(二分體) 저장구(貯藏區)는 약(約) $50{\sim}60\;%,$ 부분육(部分肉) 저장구(貯藏區)는 약(約) $55{\sim}62\;%$ 이었으며 VBN은 각(各) 구(區) 모두 $11{\sim}18mg% 범위(範圍)로써 동결(凍結) 저장(貯藏) 중(中) 크게 변화(變化)되지 않았다. 4. TBA 치(値)는 6개월(個月) 저장(貯藏) 시(時)까지는 ($0.1{\sim}0.15$ 변화(變化)가 거의 없었으나 9개월(個月) 저장(貯藏) 후(後)에는 (0.25) 증가(增加)되었다. 5. 저장(貯藏) 돈육(豚肉)의 연도(軟度) 및 즙액도(汁液度)는 12개월(個月) 간(間) 저장(貯藏) 후(後)에는 저하(低下)되었으나 일반(一般) 소비자(消費者)들에 의(依)한 수용(受容) 반응(反應)은 여전히 양호(良好)하였다.

  • PDF

인진쑥 급여가 성별에 따른 육성-비육기 돈육의 도체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Mugwort Powder on Carcass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lt and Barrow in Growing-Finishing Period)

  • 김일석;진상근;송영민;김철욱;조광근;정기화;강석남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6호
    • /
    • pp.839-84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인진쑥의 건조 분말을 육성기-비육기의 거세돈 및 암퇘지(LY×D)의 평균체중이 50.37kg일 때부터 출하시까지 90일간 처리하였을 때 도체특성, 일반성분, 콜레스테롤 함량,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일반사료에 인진쑥 분말을 급여사료 기준으로 C(0%), T1(0.5%), T2(1.0%), T3(1.5%) 처리하였다. 도체중의 경우 T2 및 T3의 증체량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p<0.05), 등지방 두께 및 도체 등급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수분, 지방, 회분, 콜레스테롤 함량은 시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05), T2 및 T3의 단백질 함량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pH, WHC, 가열감량신선육 및 지방의 전단가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육색 및 지방의 백색도(CIE L*)는 T2 및 T3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p<0.01), 육색 및 지방의 적색도(CIE a*) 및 황색도(CIE b*)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0.05), 전단가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닭갈비맛 계육 소시지의 닭 껍질과 돼지 등지방의 첨가 효과 (Effect of Chicken Skin and Pork Backfat on Quality of Dakgalbi-Taste Chicken Sausage)

  • 송영래;김동수;무흘리신;서태수;장애라;박재인;이성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81-189
    • /
    • 2014
  • 연구는 원료육 대비 5% 닭갈비 양념을 첨가한 닭갈비 맛 계육 소시지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닭 껍질과 돼지 등지방의 첨가가 저장 중 이화학적 품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닭갈비맛 계육 소시지를 대조구(100% 닭 가슴육), 닭껍질 첨가구(85% 닭 가슴육 + 15% 닭껍질), 돼지 등지방 첨가구(85% 닭 가슴육 + 15% 돼지 등지방)로 나누어 제조하였다. 완성된 닭갈비맛 계육 소시지를 진공포장하여 $4^{\circ}C$에서 14일간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품질을 검사하였다. 소시지의 일반 조성을 보면, 대조구에서 수분(72.73%)과 조단백(21.46%) 함량이 높았고, 돼지 등지방 첨가구에서 조지방(10.48%) 함량이 높았다(p<0.05). 대조구와 닭 껍질 첨가구는 돼지 등지방 첨가구보다 불포화지방산 및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았다(p<0.05). 보수력은 저장 기간 동안 돼지 등지방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p<0.05). 조직감 비교를 위한 경도는 돼지 등지방 첨가구가 대조구와 닭 껍질 첨가구보다 낮았고, 탄성은 높았다(p<0.05). 결론적으로 닭갈비맛 계육 소시지에 닭 껍질을 첨가하면 불포화지방산 조성이 증가하나, 돼지 등지방 첨가구에 비해 보수성과 조직감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감분말 첨가 유형에 따른 저염 미트패티제품의 저온저장 중 품질특성 (Effects of Sweet Persimmon Powder Type on Quality Properties of Low Salted Pork Patties during Cold Storage)

  • 김일석;진상근;하창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1호
    • /
    • pp.133-144
    • /
    • 2008
  • 미트패티 제품에 열풍건조 단감분말(HP)과 동결건조 단감분말(FP)을 각각 3%(HP-3%, FP- 3%)와 6%(HP-6%, FP-6%)를 첨가하여 제조한 후 폴리비닐랩으로 포장한 후 4℃에 저장하였다. 수분함량은 대조구와 HP-3%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조단백질 함량은 FP-6%, 조지방 함량은 FP-3%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았으며, 조회분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pH, L* 및 a*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보수력은 CTL와 HP-6%, 가열감량은 HP-3%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 0.05). 미트패티의 직경과 두께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VBN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제품에서 증가하였다(p<0.05). 처리구들의 TBARS는 저장 전 기간 동안 CTL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저장 8일까지 총균수는 4.61 log10 CFU/g 수준을 유지하였다. 관능검사결과, 향과 풍미, 육색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처리구가 더 좋은 점수를 얻었다(p<0.05).

Influence of Dietary Addition of Dried Wormwood (Artemisia sp.) on the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Tissues of Hanwoo Heifers

  • Kim, Y.M.;Kim, J.H.;Kim, S.C.;Ha, H.M.;Ko, Y.D.;Kim, C.-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4호
    • /
    • pp.549-554
    • /
    • 2002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Korean native beef cattle) heifers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tissues of the heifers when the animals fed diets containing four levels of dried wormwood (Artemisia sp.). For the experiment the animals were given a basal diet consisting of rice straw and concentrate mixed at 3:7 ratio (on DM basis). The treatments were designed as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two feeding periods. Heifers were allotted in one of four dietary treatments, which were designed to progressively substitute dried wormwood for 0, 3, 5 and 10% of the rice straw in the basal diet. There was no difference in body weight gain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Feed conversion rate was improved (p<0.05) only by the 3% dried wormwood inclusion treatment compared with the basal treatment. Carcass weight, carcass yield and backfat thickness of all treatment groups were not altered by wormwood inclusion. The 5% dried wormwood inclusion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the size of loin-eye area over the other treatments. The higher levels (5 and 10%) of dried wormwood inclusion resulted in the higher (p<0.05) water holding capacity (WHC) in loin than the lower levels (0 and 3%) of wormwood inclusion. The redness ($a^*$) and yellowness ($b^*$) values of meat color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in the top round muscle of heifers fed the diet containing 3% dried wormwood. There was a profound effect of the progressively increased intake of dried wormwood led to the linear increase of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and the linear decrease of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in the muscle tissues of Hanwoo heifers. It is concluded that the feeding diets containing dried wormwood substituted for equal weights of rice straw at 5% levels would be anticipated to provide better quality roughage for beef heifer production and economical benefits for beef cattle produc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