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drawdown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6초

온양온천지구에서의 양수량-수위강하 관계 해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Quantity and Drawdown at the Onyang Hot Spring Area)

  • 정지곤;이철우
    • 지질공학
    • /
    • 제17권2호
    • /
    • pp.177-185
    • /
    • 2007
  • 우리나라 대부분의 온천은 자연용출된 온천수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시추공 내에서 수중펌프로 양수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양수량에 따라 피압수두가 하강되어 있으며, 이 논문에서는 온양온천지구를 대상으로 양수량과 수위강하의 관계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온양온천지구 내에는 38개 공이 시추되어 있으며, 그 심도는 약 124-303 m이다. 이들 중 4개 관측공을 이용하여 피압수두를 관측하였으며, 관측 간격은 매 1-10분 간격으로 약 10개월간 관측하였다. 피압수두의 변화 양상은 성수기와 비수기에 따라 1년 주기로 사인곡선(sine curve)을 보이고 있으며, 그 값은 지표로부터 약 98-139m 정도이다. 이때 양수량은 $2,300-4,800m^3/day$로 앙수량의 변화에 따라 수위강하가 변하고 있다. 따라서 각 수위강하에 대한 양수량의 관계를 해석하여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Optimal Groundwater Management Model for Coastal Regions Using Parallel Genetic Algorithm

  • Park, Nam Sik;Hong, Sung Hun;Shim, Myung Geu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77-89
    • /
    • 2004
  • A computer model is developed to assess optimal ground water pumping rates and optimal locations of wells in a coastal region. A sharp interface model is used to simulate the freshwater and salt water flows. Drawdown, upconing, saltwater intrusion and the contamination of well are considered in this model. A genetic algorithm with parallel processing is used to identify the optimal solution.

  • PDF

친수지역 강변여과수 열원을 활용한 냉난방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ater-Source Heat Pump System Using Riverbank Filtration Water on the Waterfront)

  • 조용;김대근;문종필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01.2-201.2
    • /
    • 2011
  • A water-source heat pump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cooling and heating of a green house on the waterfront in Jinju. In order to supply a heat source/sink of water in alluvium aquifer to the heat pump system, the riverbank filtration facility (two pumping wells and one recharge well) for water intake and injection has been constructed. To pump and recharge water sufficiently, the geometric design such as depth and diameter for the wells have been completed, and details of the well such as slot size and length of the screen and filter pack size have been designed based on the practical and theoretical design method including D30 technique.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hydrogeological characteristics, step-drawdown test, long-term pumping test, and recovery test have been carried out for two developed pumping wells. Step-drawdown test has been performed on 4 step flowrates of 150, 300, 450, $600m^3$/day for 1 hour, and long-term pumping test on flowrate of $500m^3$/day for 24 hours, and recovery test for 6 hours. Since the underground water filtrated by riverbank is flowing smoothly into the well, the water level goes down slightly for the long-term test. Consequently, the stable pumping flowrate for two pumping well has been predicted at least over $1,647m^3$/day which is larger than the flowrate of $1,000m^3$/day for a 60 RT heat pump system.

  • PDF

강변여과 취수시 과도한 지하수 하강을 저감시키기 위한 인공함양의 활용방안 연구 (Application of the Artificial Recharge to Reduce the Ground-water Drawdown of the Riverbank Filtration)

  • 이동기;박재현;박창근;양정석;남도현;김대근;정교철;최용선;부성안
    • 지질공학
    • /
    • 제14권4호
    • /
    • pp.391-400
    • /
    • 2004
  • 강변여과수의 과도한 취수는 제내지 지하수위 하강을 발생하게 하며 이로 인해서 제내지 농경지의 토양 건조도가 증가되어 과도한 관계용수의 보충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지하수위 하강으로 인한 기존 관정사용이 어려워져 더 깊은 새로운 관정을 개발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 하강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제내지 측에 인공함양우물을 설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창원시 강변여과 시설에 적용한 결과 인공함양우물의 최적 위치는 취수정으로부터 제내지 측으로 200m 지점에 위치하며, 함양량을 취수량의 $5\%$를 유지하는 것이 지하수위하강을 저감하기위한 효과적인 조건으로 판단되었다.

수막재배지역에서 일최저기온과 지하수 이용량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지하수위 변화 분석 (Analysis of Groundwater Variations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ndwater use and Daily Minimum Temperature in a Water Curtain Cultivation Site)

  • 장선우;정일문
    • 지질공학
    • /
    • 제24권2호
    • /
    • pp.217-225
    • /
    • 2014
  • 대규모 수막재배 시설은 동절기 수막재배 기간 동안 군집 취수정의 영향으로 지하수위가 하강하고 이로 인해 지하수 취수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절기 수막재배지역에서의 집중취수에 따른 정밀한 지하수위 변화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대상지역인 청원군의 수막재배지역을 포함한 소유역의 지하수 유동을 모의하기 위해 3차원 유한차분모형인 MODFLOW를 구축하였으며, 중요한 입력자료인 지하수 함양량 시계열 자료는 유역수문모형 SWAT모형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여기에 수막재배지의 일최저기온과 취수가동시간과의 관계를 통해 지하수 이용량을 추정한 선행 연구(Moon et al., 2012)를 참고하여 취수계획을 수립, 지하수 모델링에 반영하였다. 부정류 모델링의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동절기의 모의된 지하수위 강하 패턴을 관측지하수위 자료와 비교하였다. 모델링 기간은 수막재배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2012년 11월부터 2013년 3월까지의 107일간으로 정하였다. 모의결과 동절기 지하수위 관측값과 비교적 유사한 지하수 하강을 재현할 수 있었고, 일최저기온을 이용한 취수계획방식이 다른 수막재배지역의 지하수 유동해석에도 적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관개용 관정의 가채빙량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Method of Pumpin Rates in Tube Wells for Irrigation)

  • 구자웅;류한열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209-4217
    • /
    • 1976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arch for the determination method of pumping rates in the existing tube wells for irrigation. Pumping tests were carried out for the twelve test tube wells which were selected in the provinces of Kyounggi, Kangwon, Chungbuk and Chungnam. The depths, static water levels, pumping levels, drawdowns and yields of tube wells were measured in the pumping tests, and a centrifugal pump with 3 inches diameter, a 5 HP motor and a 90$^{\circ}$ V-notch were used in the pumping tests. The average coefficient of transmissibility calculated by Chow's and Jacob's methods is 0.0336 square meter per second, and the average pumping rate calculated by Thiem's, Smreker's, Brinkhaus' and Theis' formulae, is 919 cubic meter per day, Therefore, the ground water storage in the test areas is comparatively abundant. Correlation between pumping rates and depths of tube wells is not in existence. Also, correlation between pumping rates and the thickness of aquifer is not found in this experiment. This shows that the depths of some tube wells are deep and their thicknesses of aquifer are thick, but their ground water storages are poor, and that the depths of some tube wells are shallow and their thicknesses of aquifer are thin, but their ground water storages are abundant. It seems that the test tube wells are influenced by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that the ground water in the test areas is free ground water in alluvium layer closely related with surface water. As drawdown increases, pumping rate decreases, and as the coefficient of transmissibility increases, pumping rate also increases. Namely, there a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umping rate and drawdown, an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umping rate and the coefficient of transmissibility. Judging from the results of the pumping tests in these tests areas, the pumping rate calculated by the formula, {{{{ { Q}_{m } =Q { ( { { S}_{ m} } over { TRIANGLE S } )}^{ { 2} over {3 } } }}}} used traditionally, is likely to be higher than real pumping rates. The formula, {{{{ { Q}_{m } =Q { { H}^{ 2} } over { (2H- TRIANGLE S) TRIANGLE S} }}}} derived from Thiem's theory, is looked upon as the reasonable one to detemine pumping rates in the existing tube wells for irrigation.

  • PDF

수치 모사를 활용한 수평 혹은 경사형 특수 정호 지하수 흐름 특성 평가 (Characterization of Groundwater Flow to Horizontal or Slanted Well Using Numerical Modeling)

  • 김형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3권2호
    • /
    • pp.54-61
    • /
    • 2008
  • 수평 혹은 경사 형태 특수 정호 양수량에 대한 시공간적 수위 강하를 지하수 수치 모델링을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지하수 수치 모델링은 상용 프로그램인 FEFLOW(version 5.1)의 1차원 선형 불연속 특징 요소를 활용하여 수행되었으며, 수치해의 검증을 위해 Zhan과 Zlotnik(2002)이 제안한 연속된 점 형태 배출원 배열 방식 준 해석해와 비교하였다. 비교 검증 결과, 수치해와 준해석해는 최대 수위 강하가 나타나는 양수 최인접부를 제외하고는 거의 일치한 형태를 보여주었다. 검증된 수치적 방법을 이용하여, 강변여과 방식 취수가 검토되는 현장에 대한 수위강하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Estimating Groundwater Level Change Associated with River Stage and Pumping using Time Series Analyses at a Riverbank Filtration Site in Korea

  • Cheong, Jae-Yeol;Hamm, Se-Yeong;Kim, Hyoung-Soo;Lee, Soo-Hyoung;Park, Heung-Jai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135-1146
    • /
    • 2017
  • At riverbank filtration sites, groundwater levels of alluvial aquifers near rivers are sensitive to variation in river discharge and pumping quantities. In this study, the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pumping quantity, and streamflow rate at the site of a riverbank filtration plant, which produces drinking water, in the lower Nakdong River basin, South Korea were interre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rawdown ratio and river discharge was very strong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6, showing a greater drawdown ratio in the wet season than in the dry season. Autocorrelation and cross-correlation were carried out to characterize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Autoregressive model analysis of groundwater water level fluctuation led to efficient estimation and prediction of pumping for riverbank filtration in relation to river discharge rates, using simple inputs of river discharge and pumping data, without the need for numerical models that require data regarding several aquifer properties and hydrologic parameters.

초정지역의 지하수 유동해석 (Prediction of Groundwater Level in Chojung Area)

  • 안상도;김경호;정영훈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33-140
    • /
    • 2000
  • 초정지역은 세계 3대 광천수 생산지의 하나로서 지하수 이용업체들이 집중적으로 지하수 개발을 하고 있어 지하수자원의 고갈이 우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정지역의 지속적인 개발로 인해 장래 예측되는 지하수 장애에 대처하기 위해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초정지역의 지하수 유통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 동북쪽에 위치한 산간유역의 수위의 변화에 비하여, 하류 구릉지역에서는 양수정들을 중심으로 수위 강하가 급격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는 하류 구릉지역에 공장들이 밀집하여 있고 생활용수와 농업용수 또한 많은 양을 양수를 하는데 기인한다. 따라서 향후 지하수자원의 고갈이 우려되며, 이에 대한 대책이 심각하게 요구된다.

  • PDF

장기 및 단계 양수시험 시 강변여과 지하수의 수질변화 특성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during the Constant and Step-drawdown Pumping Tests at the River Bank Filtration Site)

  • 김규범;신선호;김병우;박준형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8호
    • /
    • pp.11-21
    • /
    • 2013
  • 창녕군 낙동강변의 강변여과 예정 지점에서 양수시험 동안에 발생하는 지하수 내 철과 망간을 포함한 다양한 수질항목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5단계의 단계양수시험($500m^3/day{\sim}900m^3/day$) 및 26시간의 장기 양수시험($800m^3/day$) 동안에 양수정과 10개의 관측정에서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였다. 장기 양수시험보다는 단계양수시험 기간 동안에 이온 농도의 변화가 뚜렷하였다. 특히, 단계양수시험 동안의 철과 망간 농도의 감소는 양수지점과 대수층의 연결성이 좋아 영향반경이 작은 방향을 따라 뚜렷하게 나타났다. 양수량의 급변에 따라 지하수 흐름에 교란이 발생하고 공기 접촉 등을 통하여 용존 철과 망간의 침전 산화가 촉진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향후 지하수 내 철과 망간 저감을 위한 효율적인 지중처리 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양수정의 운영 방법, 대수층의 공간적 분포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