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and oil absorption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6초

Phytase 처리에 의한 폐단백자원의 단백질 용출 및 기능성 변화 (Change of Functional Properties and Extraction of Protein from Abolished Protein Resource by Phytase)

  • 천성숙;천성숙;조영제;김영활;우희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6-50
    • /
    • 1998
  • 폐단백질을 활용하는 방도의 하나로 폐단백질자원으로부터 토양에서 분리한 Aspergillus sp. 균주가 생산하는 phytase를 이용하여 불용성 단백질의 분리 효율성을 높였으며 추출 단백질의 기능성을 살펴보았다. 참깨박에 함유되어 있는 불용성 형태의 단백질을 가용성 형태의 단백질로 용출시키기 위한 최적 pH, 최적 온도, 최적 처리시간과 최적 첨가효소량은 4.0~5.0, $50^{\circ}C$, 8~10시간, 120unit였고, 효소처리된 참깨박은 phytase 처리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기포형성력은 크게 증가하지 않았으나 기포안정성은 다소 증가하였다. 참깨박 단백질의 유화력은 다소의 유화력과 안정성의 증가가 관찰되었고, 유지흡착력과 수분흡착력은 대조구에 비해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첨가물이 국수의 조리특성에 미치는 영향 (Cooking Quality of Noodle Affected by the Additives)

  • 유광원;김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17-421
    • /
    • 1997
  • 국수 조리시 조직감 향상을 위해 소금, 기름과 설탕을 각각 1%의 농도로 삶는 물에 첨가한 후 조리 특성과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1%의 소금을 첨가하여 국수를 삶은 경우 83 g의 무게를 보였으며, 삶은 후의 부피 또한 72 $m\ell$로 낮은 함수율을 보였으며, 조직감 역시 우수하였다. 염의 종류를 각각 달리하여 첨가한 경우 NaCl, CaCl,, MgSO$_4$간의 조리 특성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염의 종류에 따른 조직감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NaCl를 첨가한 경우 다른 염을 첨가한 경우에 비해 다소 우수한 조직감을 보였다. NaCl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조리특성과 조직감을 비교한 결과, 조리 후 무게와 부피의 증가가 NaCl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이들의 조직감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이들 염의 농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염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5%의 염을 첨가한 경우에는 이들 조직감에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 PDF

NaCl이 국수의 조리특성에 미치는 영향 (Cooking Quality of Noodle Affected by NaCl)

  • 조재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71-483
    • /
    • 1999
  • 국수조리시에 조직감을 높이기 위해 소금, 설탕, 기름 그리고 구연산을 각각 1%의 농도로 끊는물에 넣고 국수의 조리 특성과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1%의 소금을 첨가하여 국수를 삶은 경우 83g의 무게를 보였으며, 삶은 후의 부피 또한 78m1로 낮은 흡수율을 보였으나 삶는 과정에서 용출되는 고형물의 탁도는 높았다. 그리고 조직감의 측정결과 역시, 1% NaCl의 첨가가 조직감이 우수하였다. 다른 첨가제들에서는 조직감의 유의적 차이가 별로 없었다. NaCl의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조리특성을 측정해 본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조리후의 무게와 부피의 증가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NaCl 첨가농도가 6%일 때 조직감을 비교하였을 때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조직감의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소금의 첨가가 국수의 조직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Purification process and reduction of heavy metals from industrial wastewater via synthesized nanoparticle for water supply in swimming/water sport

  • Leiming Fu;Junlong Li;Jianming Yang;Yutao Liu;Chunxia He;Yifei Chen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15권5호
    • /
    • pp.441-449
    • /
    • 2023
  • Heavy metals, widely present in the environment, have become significant pollutants due to their excessive use in industries and technology. Their non-degradable nature poses a persistent environmental problem, leading to potential acute or chronic poisoning from prolonged exposure. Recent research has focused on separating heavy metals, particularly from industrial and mining sources. Industries such as metal plating, mining operations, tanning, wood and chipboard production, industrial paint and textile manufacturing, as well as oil refining, are major contributors of heavy metals in water sources. Therefore, removing heavy metals from water is crucial, especially for safe water supply in swimming and water sports. Iron oxide nanoparticles have proven to be highly effective adsorbents for water contaminants, and efforts have been made to enhance their efficiency and absorption capabilities through surface modifications. Nanoparticles synthesized using plant extracts can effectively bind with heavy metal ions by modifying the nanoparticle surface with plant components,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heavy metal removal. This study focuses on removing lead from industrial wastewater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cost-effective iron nanoparticles synthesized with Genovese basil extract. The synthesis of nanoparticles is confirmed through analysis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and X-ray diffraction, validating their spherical shape and nanometer-scale dimensions.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has a low detection limit of 0.031 ppm for measuring lead concentration, making it suitable for ensuring water safety in swimming and water sports.

Novel Recycling Technology of Ultra-fine Fibrous Materials

  • Kim, Seong-Hun;Oh, Kyung-Wha;Lee, Shin-Kyung
    • 한국고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고분자학회 2006년도 IUPAC International Symposium on Advanced Polymers for Emerging Technologies
    • /
    • pp.209-209
    • /
    • 2006
  • Ultra-fine fibers are spun by expensive fiber spinning technology using special spinnerets. Ultra-fine fibrous materials have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s because of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as high performance wiping cloths, water absorbent sound proofing materials and moisture transfer sporting good. However, production expense of ultra-fine fibers is 5 to 7 times higher than general textile material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cost-effective recycling process to produce multi-functional ultra-fine fibrous material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garnetting and carding machines for ultra-fine fibrous material waste and scrap. The efficiency of sound absorption for the recycled polyester nonwoven increased with decreasing length and thickness of component fibers, which was attributed to the reduction of air permeability. It is expected that high value and cost-effective textile products are developed using ultra-fine fibrous wastes and that sound proofing material and oil absorbent f

  • PDF

화장품에서 UV 차단제의 피부 자극성과 SPF 측정 (SPF Measurement and Cytotoxicity of Sunscreen Agents in Cosmetic)

  • 김인영;강삼우
    • 분석과학
    • /
    • 제11권2호
    • /
    • pp.79-87
    • /
    • 1998
  • 최근의 소비자들은 waterproof 기능을 가진 광범위한 UV 차단 제품을 선호하며, 피부 안전성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NR method로 세포 자극성(in-vitro)을 실험한 결과, UV-B의 자외선 차단제들은 0.08 w/v% 이상에서 세포의 생존율이 떨어졌고, UV-A의 자외선 차단제들은 0.06 w/v% 이상에서 세포의 생존율이 떨어졌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들의 patch-test는 각각 10.5와 11.25 이하로 피부에 자극성은 없었다. UV 흡수 곡선, UV-B는 octyl methoxycinnamate(OMC), UV-A는 butyl methoxy dibenzoylmethane(BMDM) 가장 적합하였다. 따라서,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OMC와 BMDM이 nylon과 polyethylene에 코팅된 원료인 $Nylonpoly^{TM}$ UVA/UVB을 사용하였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zinc oxide(ZnO)와 titanium dioxide($TiO_2$)를 사용하였다. ZnO와 $TiO_2$의 혼합 비율은 6:4가 적당하였다. 총 UV차단제의 함량은 ZnO 6%, $TiO_2$ 4%와 $Nylonpoly^{TM}$ UVA/UVB 5%를 썬 스크린 크림에 혼합하였다. In-vi-tro의 SPF값은 38.9이었다. 응용으로, 동일 함량을 넣은 O/W type과 W/S type의 썬 스크린 크림을 만들어 시간 경과에 따른 SPF를 측정한 결과, SPF가 O/W type보다 W/S type이 5배 이상 오래 지속되었다. 이것은 해수욕, 등산, 스키를 탈 경우에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자외선 차단제의 피부 트러블을 최소화하고자 하였으며, 매끄러움성, 피부 안전성과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이라고 생각되어진다.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 처리된 저지방 대두분말로 제조한 식물성 대체육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및 저장 안정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torage Stability of Plant-based Alternative Meat Products Prepared with Low-Fat Soybean Powder Treated by Supercritical CO2)

  • 표민정;이교연;한채연;박채은;최성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64-273
    • /
    • 2023
  •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torage stability of plant-based alternative meat prepared with low-fat soybean powder (LPAM) treated by supercritical-CO2 and those of full-fat soybean powder (FPAM) were compared. Ash and crude protein contents were higher in LPAM than in FRAM. Water absorption capacity and oil absorption capac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LPAM than in FPAM. Water binding capacity was higher in LPAM than in FPAM during a 20 days storage period at 5℃ and pH was significantly lower in LPAM than in FPAM after a 5~10 days storage period.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storage period, and the thre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LPAM than in FPAM after 10 days and 20 days of storage. The acid value showed no remarkabl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in LPAM; however,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PAM than in LPAM after 20 days of storage. The peroxide value and TBA valu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and were significantly lower iin LPAM than in FPAM during all the storage periods. Therefore, the use of low-fat soybean powder may be effective in improving oxidative stability during storage in the production of plant-based alternative meat.

몽골 돈디고비지역에서 산출되는 오일셰일의 광물조성, 퇴적환경 및 분광학적 특성 (Mineral Composition, Depositional Environment and Spectral Characteristics of Oil Shale Occurring in Dundgobi, Mongolia)

  • 문크수렌;유재형;정용식;이길재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3-93
    • /
    • 2015
  • 본 연구는 몽골 돈디고비(Dundgobi)지역에서 채취한 오일셰일과 석탄 시료들의 유기물 기원, 광물조성 및 분광학적 특징에 대해 조사하였다. 채취한 오일셰일 및 석탄시료들은 Rock/Eval과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 분석을 통해 케로젠(Kerogen) 종류, 수소 함량, 열적 성숙도, 퇴적 환경을 확인하였으며, X-선회절 분석과 분광분석을 이용하여 광물조성을 정의하였다. Rock/Eval과 TOC 분석결과, 에뎀트(Eedemt) 광상에서 채취한 샘플들은 미성숙-성숙 단계의 근원암에 해당하며, 풍부한 수소함량을 보이고, I-형, II-형 and III-형의 케로젠 종류를 가진다. 반면 샤인 어스 쿠닥(Shine Us Khudag) 광상에서 채취한 샘플들의 경우 성숙단계의 근원암으로써, I-형, II/III-형 또는 III-형의 케로젠을 함유하는 잠재성을 가진다. 또한 탄소와 황의 함량에 따르면 두 지점의 퇴적환경은 담수성의 퇴적환경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X-선회절 분석으로부터 확인한 오일셰일과 석탄시료들의 광물조성은 석영, 방해석, 고회석, 일라이트, 고령토, 몬모릴로나이트, 아놀소클레이스, 조장석, 미사장석, 정장석, 방비석으로 확인되었다. 가시광선-근적외선-단파적외선 분광분석을 통해 오일셰일 시료로부터 1412 nm, 1907 nm의 점토광물 및 수산화성분에 의한 흡광특성, 2206 nm에서 고령토와 몬모릴로나이트에 의한 흡광특성, 탄산염광물인 고회석에 의한 흡광특성이 2306 nm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오일셰일의 원격탐사적 탐사를 위해서는 유기물 함량에 따른 분광특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물리화학적 처리에 따른 PDMS 특성 조절 (Hydrophobic and Hydrophilic PDMS Sponges Prepared Through Physicochemical Treatments)

  • 남경목;박성민;김종훈;윤상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0권8호
    • /
    • pp.737-742
    • /
    • 2016
  • 다공성 탄성체는 기름유출과 같은 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선택적 흡수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 다공성 탄성체의 선택적 흡수효율은 표면 거칠기, 물리화학적 처리기법, 수압안정성 등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PDMS(polydimethylsiloxane), 미소 소금입자 및 계면활성제(silwet L-77)를 이용하여 다공성 PDMS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 후, 제작과정 중 물리화학적 처리를 통해 상기 다공성 PDMS의 소수성을 강화하거나 혹은 그 특성을 친수성으로 만드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물리적 처리방법으로는 소금입자의 크기조절을 통해 공극 크기(혹은 표면 거칠기)를 조절하고 화학적 처리방법으로는 계면활성제의 혼합비를 조절하여 표면 에너지를 변화시킨다. 제작된 다공성 PDMS를 이용하여 접촉각 및 흡수율을 측정함으로써 소금입자의 직경과 계면활성제의 혼합비가 다공성 PDMS의 접촉각과 흡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측정한다.

Principles of Physiology of Lipid Digestion

  • Bauer, E.;Jakob, S.;Mosenthin, 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2호
    • /
    • pp.282-295
    • /
    • 2005
  • The processing of dietary lipids can be distinguished in several sequential steps, including their emulsification, hydrolysis and micellization, before they are absorbed by the enterocytes. Emulsification of lipids starts in the stomach and is mediated by physical forces and favoured by the partial lipolysis of the dietary lipids due to the activity of gastric lipase. The process of lipid digestion continues in the duodenum where pancreatic triacylglycerol lipase (PTL) releases 50 to 70% of dietary fatty acids. Bile salts at low concentrations stimulate PTL activity, but higher concentrations inhibit PTL activity. Pancreatic triacylglycerol lipase activity is regulated by colipase, that interacts with bile salts and PTL and can release bile salt mediated PTL inhibition. Without colipase, PTL is unable to hydrolyse fatty acids from dietary triacylglycerols, resulting in fat malabsorption with severe consequences on bioavailability of dietary lipids and fat-soluble vitamins. Furthermore, carboxyl ester lipase, a pancreatic enzyme that is bile salt-stimulated and displays wide substrate reactivities, is involved in lipid digestion. The products of lipolysis are removed from the water-oil interface by incorporation into mixed micelles that are formed spontaneously by the interaction of bile salts. Monoacylglycerols and phospholipids enhance the ability of bile salts to form mixed micelles. Formation of mixed micelles is necessary to move the non-polar lipids across the unstirred water layer adjacent to the mucosal cells, thereby facilitating absor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