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sabi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5초

고추냉이 첨가가 동치미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sabi (Wasabia japonica Matsum)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ngchimi during Fermentation)

  • 장명숙;박정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92-398
    • /
    • 2004
  • 고추냉이가 동치미의 발효와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고추냉이의 최적 사용량을 찾아보고자 고추냉이는 무 무게에 대하여 0, 3, 5, 7, 9%를 첨가하여 동치미를 담그고 1$0^{\circ}C$에서 55일간 발효시키면서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동치미 발효 10일 이후부터 5%와 7%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pH가 높았으며 총산도는 낮았다. 특히 7% 처리구는 발효 말기까지 pH는 가장 높았고, 총산도는 낮게 유지하면서 적숙기의 pH와 총산을 오랫동안 유지하여 동치미의 발효를 지연시켜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총 비타민 C는 발효 10∼13일까지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고, 고추냉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함량을 보였다. 7% 처리구는 발효기간 동안 서서히 감소하여 발효 말기에는 9% 처리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환원당도 발효 10∼13일까지 증가하다 그 이후 감소하였고, 고추냉이 첨가량에 비례하여 높았다. 특히, 7% 처리구가 발효기간 동안 서서히 감소하여 발효 말기에는 가장 높은 값을 유지하여 발효가 지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탁도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였고, 고추냉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담금 직후에는 조금 높았으나 발효 10일 이후부터는 고추냉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탁도를 보였다 특히, 7% 처리구가 발효 말기까지도 탁도가 가장 낮아 맑은 상태를 유지하였다. 명도(L)는 발효 10일 이후부터는 고추냉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가 높았고, 그 중 특히 7%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황색도(a), 적색도(b)와 총색차($\Delta$E)는 발효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였으며, 발효 10일 이후부터는 고추냉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값을 보였다. 고추냉이를 첨가한 처리구의 경우 동치미 발효 10일 이후부터 발효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7% 처리구가 동치미 저장성 향상에 바람직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동치미를 담글 때 고추냉이를 7% 정도 첨 가하는 것이 동치미의 품질과 저장성을 향상시켜줄 것으로 기대된다.

고추냉이 첨가가 동치미의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sabi (Wasabia japonica Matsum) on the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 박정은;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1057-1063
    • /
    • 2006
  • 고추냉이가 동치미의 맛과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고추냉이의 최적 사용량을 찾고자 고추냉이를 무 무게에 대하여 0, 3, 5, 7, 9%를 첨가하여 $10^{\circ}C$에서 55일간 발효시키면서 미생물학적 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동치미 발효가 진행될수록 그 값이 증가하여 최대값을 보인 후 감소하였다. 발효기간 동안 대조구의 총균수가 가장 많았고, 고추냉이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균수가 적었다. 7% 처리구는 발효기간 동안 젖산균수가 가장 완만하게 감소하여 발효 말기까지 가장 높은 젖산균수를 유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대조구는 발효 8일에서 19일, 3% 처리구는 발효 8일에서 22일, 5% 처리구는 발효 8일에서 발효 35일, 7% 처리구는 발효 8일에서 40일, 9% 처리구는 발효 8일부터 25일까지 점수를 높게 받아 좋아하였다. 5%와 7% 처리구가 발효기간이 오래 된 후에도 점수가 높아 맛있는 시기가 오랫동안 유지되었고, 특히 7% 처리구의 점수가 모든 평가 항목에서 가장 높았다. 고추냉이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동치미에 고추냉이를 5%와 7% 첨가한 처리구가 미생물학적인 실험 결과에서 발효를 지연시키고 맛있는 시기를 연장시켜 주었으며, 관능검사 결과에서도 점수가 높았다. 특히 7% 처리구는 발효 중기부터 말기까지 다른 처리구에 비해 효과가 더욱 우수하였다. 그러므로 동치미에 고추냉이를 7% 첨가하여 담글 경우 동치미의 맛과 저장성을 향상시켜줄 것으로 기대된다.

배합사료에 미역, 어보산 및 고추냉이 첨가가 넙치 치어의 성장, 체성분, 혈액성상 및 비특이적 면역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upplemental Undaria, Obosan and Wasabi in the Experimental Diets on Growth, Body Composition, Blood Chemistry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박상언;권문경;이윤호;김경덕;신일식;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10-215
    • /
    • 2003
  • 넙치 치어 배합사료의 첨가제로서 미역 분말, 어보산 및 고추냉이의 효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평균 체중 8.4g 의 넙치를 각 수조마다 30마리씩 3반복으로 수용하여 미역 분말, 어보산 및 고추냉이를 첨가한 6종류의 사료로 8주간 사육하였다. 생존율은 모든 실험구가 95% 이상이었으며, 증중량과 사료효율은 어보산 첨가구가 가장 높았지만 미역 분말 10% 첨가구를 제외한 타 실험구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일일사료 섭취율은 미역분말 10%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P<0.05). 단백질효율은 어보산 첨가구가 미역 분말 첨가구 및 고추냉이 줄기 첨가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지만(P<0.05), 대조구 및 고추냉이 잎 첨가구와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비만도는 어보산 첨가구가 가장 높았지만 미역 분말 10% 첨가구를 제외한 타 실험구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간중량 지수는 미역 분말 첨가구가 타 실험구에 비해 낮았다(P<0.05).실험 종료시 전어체의 수분, 단백질, 지질 및 회분함량은 모든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의 수분 함량은 미역 분말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반면, 지질 함량은 가장 낮았다(P<0.05). 혈액 성상 및 혈청 성분은 사료의 첨가제에 따른 특별한 변화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혈청 라이소자임 활성은 미역 분말 5% 및 어보산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식세포의 활성은 어보산 첨가구와 고추냉이 줄기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이상의 결과로 볼 때, 배합사료에 어보산 첨가는 넙치 치어의 성장을 개선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미역, 어보산 및 고추냉이 줄기의 첨가는 넙치 치어의 비특이적 면역계 활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supplemental undaria powder, herb and wasabi in the diets on growth, body composition, blood chemistry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Park, Sang-Un;Kwon, Mun-Gyeong;Lee, Yoon-Ho;Kim, Kyoung-Duck;Shin, Il-Shik;Lee, Sang-Min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74-75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veral additives(macroalgae, wasabi, and herb) in formulated diets on the growth, body composition, blood chemistry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 of juvenile flounder. Three replicates of juveniles (average weight 8.4 g) in flow-through aquarium system were fed one of six isonitrogenous (45%) and isolipidic (8%) diets containing 5 and 10% Undaria powder, 2% wasabi leaf, 2% wasabi stem, and 0.5% herb (Obosan) for 8 weeks. Survival was not affected by the different dietary additives (P>0.05). The highest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offish fed the diet containing 0.5% herb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10% Undaria powder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ontents of moisture, crude protein, lipid and ash of whole body (P>0.05). Fish fed the diet containing 10% Undaria powder showed the highest moisture and the lowest crude lipid contents in the liver. Although hematological parameters (red blood cell, hematocrit and hemoglobin) and serum constituents (glucose, total cholesterol and 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 contents of fish varied between treatments, no specific trend was observed throughout feeding periods. Lysozyme activity in the serum and nitroblue tetrazolium reduction of macrophage in the head kidney from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herb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control die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erb as an additive in this formulated diet may improve growth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 of juvenile flounder.

  • PDF

고추냉이에서 분리한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TMV-W)의 전체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Complete Nucleotide Sequence of Tobacco Mosaic Virus Isolated from Wasabi(Eutrema wasabi Maxim.))

  • 이귀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2-88
    • /
    • 2003
  • 고추냉이에 모자이크 병징을 나타내는 이병주로부터 고추냉이 모자이크 바이러스를 분리하였다. 고추냉이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genomic RNA를 추출하여 전체 유전자 구조를 결정하였다. 유전자 전체길이는 6,298 염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4개 ORF로 구성 되어 있었다. ORF 1은 180KD 단백질, ORF 2는 130KD 단백질 , ORF 3은 30KD 단백질, ORF4는 18KD로 외피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ORF 유전자간에는 ORF4와 ORF 3 유전자간 130개의 염기, ORF 2와 ORF 3 유전자갈 20개 염기 그리고 ORF 1 과 ORF2 유전자간에는 40개의 염기로 overlaps되어 있었다 3'NCR부분은 238개 염기, 외피단백질은 537개 염기, 30KD 이동단백질은 825개 염기, 130KD 단백질은 1,896개 염기와 180k단백질의 2,958개의 염기로 구성되어 있었다. TMV-WTF전체 염기 서열의 유전자 상동성에서는 비교 유전자에서 미보고된 일본의 TMV-WSF와 러시아의 TMV-crucifer와 각각 98.6%와 82.4%로 매우 높았다.

고추냉이 밭재배에서 근경의 상품성 향상을 위한 재배체계 (Development of Upland Cultivation for Production of Marketable Rhizomes in Wasabia japonica Matsum.)

  • 문정섭;장영직;최동칠;최정식;김형무;최영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473-477
    • /
    • 2004
  • 고추냉이 밭재배에서 강판에 갈아 생식할 수 있는 근경을 생산하는 작부체계를 개발하기 위해 중산간부 지역인 전북 진안군에서 12개월과 7개월간 묘를 육묘하였다. 육묘된 묘는 평야부인 전북 익산지역에 9월 하순에 이식되어 이듬해 5월에 근경수량을 조사하였다. 중산간부에서 7개월간 육묘한 묘에서 근경장 5cm 이상, 근경중 40 g 이상의 상품성 있는 근경이 13.0%의 비율로 생산되었고 72.9 kg/10a의 수량성을 보였으며 근경의 allylNCS 함량도 0.7771 mg/g으로 18개월간 물재배된 근경과 대등한 함량을 보였다.

고추냉이의 재배환경이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ing Condition on Growth and Quality in Wasabia japonica Matsum)

  • 변학수;임수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196-199
    • /
    • 2005
  • 수질이 고추냉이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현무암지인 철원과 석회암지인 평창에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질은 지역별 차이가 현저하여 현무암지인 철원에 비하여 석회암지인 평창은 $NO_3$, Cl, $SO_4$, Ca, Mg함량이 높았고 석회암지에서의 용존 성분 변화는 갈수기와 홍수기간에 큰 차이가 있었다. 용수의 pH, EC도 현무암지에 비하여 석회암지에서 매우 높았다. 2. 수온의 연변화는 현무암지에서는 연중 일정하였으나 석회암지에서는 $9\~13^{\circ}C$로 연중 변이가 있었다. 3. 토양경도는 재배월수가 경과하면서 높았으며 특히 석회암지에서는 뚜렷하게 경도가 높아졌다. 4. 생육 및 수량은 현무암지에서 높았다. 5. 고추냉이 근경의 품질은 현무암지에서 높은 등급이 많이 분포하였고 근경의 경도도 높았다.

고추냉이 부위별 Allylisothiocyanate 함량 (Allylisothiocyanate Content in Different Plant Parts of Wasabia japonica Mastum)

  • 이성우;서정식;김석동;김영회;류수노;김도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81-285
    • /
    • 1997
  • 춘천에서 생산된 고추냉이 품종, 대왕001와 달마종 그리고 평창에서 생산된 대왕001의 부위별 신미성분 allylisothiocyanate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추냉이의 식물체 정유함량은 0.1∼0.5%로 뿌리가 가장 높고 엽병이 가장 낮았다. 2. Allylisothiocyanate는 식물체 전부위에서 검출되었는데 근경 부위가 가장 높았고 근>엽>엽병 순으로 낮았다. 3. 재배장소 및 품종에 따라 allylisothiocyanate 함량은 차이를 보였는데 춘천 지방이 평창지방보다 그리고 달마종이 대왕001보다 근경부위의 allylisothiocyanate 함량이 유의성 있게 높았다. 4. 근경의 부위 및 크기에 따른 allylisothiocyanate 함량은 근경의 하부에서 가장 높고 상부에서 가장 낮았으며 근경이 크고 무거울수록 그함량이 높았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 PDF

Survival of Anisakis species larvae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in different kinds of condiments

  • Nam, U-Hwa;Lee, Seo-Young;Lee, Ji-Hyee;Kim, Jeong-Ho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49-253
    • /
    • 2021
  • Anisakiasis is a well-known zoonosis caused by ingestion of raw or thermally undercooked seafood product contaminated with live Anisakis nematode third stage larvae (L3). Several traditional processing techniques have been used to kill or remove the Anisakis larvae worldwide, but thermal processing or deep freezing are the most effective treatments to kill the Anisakis larva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urvival of Anisakis larvae in several condiments (soy bean sauce, wasabi, vinegar, red pepper paste) commonly consumed when eating raw fish in Korea. We also examined several different media (NaCl solution, absolute alcohol, soju) to investigate their larvicidal effect. When directly exposed to various condiments, the most effective larvicidal effect was observed in the mixture of wasabi and soy bean sauce. When exposed to different NaCl solutions, the larvicidal ability became more effective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d, but did not show 100% killing effect. In soju, the L3 were killed under less than 4 hr. We observed the larvicidal effects of several condiments in this study, but these results are thought to be carefully interpreted for actual use because all the condiments in this study showed the effect in hours and in general, the L3 are exposed to these condiments only for seconds before ingested in real situation.

시판 와사비 페이스트 제품의 품질 특성 및 Allyl Isothiocyanate 함량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llyl Isothiocyanate Contents of Commercial Wasabi Paste Products)

  • 이효경;김도희;김용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26-431
    • /
    • 2016
  • 시판 와사비 페이스트 제품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이화학적 및 미생물적 특성, 그리고 와사비의 주요 향미 성분으로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allyl isothiocyanate 함량을 분석하였다. 와사비 제품의 pH는 $4.12{\pm}0.01{\sim}4.90{\pm}0.01$ 범위에 있었고, 총산 함량은 $0.22{\pm}0.01{\sim}0.77{\pm}0.02%$ 범위에 있었으며, 냉장유통 제품(CW1, CW2)이 상온유통 제품보다 대체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상온유통제품(RW1~4)의 염도는 $4.27{\pm}0.06{\sim}7.53{\pm}0.12%$로 냉장유통 제품에 비해 높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상온유통 제품(RW1~4)에서 $33.00{\pm}1.00{\sim}44.67{\pm}2.08^{\circ}Brix$로 나타나 냉장유통 제품(CW1~2)의 $22.00{\pm}1.73{\sim}27.00{\pm}1.00^{\circ}Brix$보다 높게 나타났다. Sorbitol 함량은 상온유통 제품에서 $378.90{\pm}63.79{\sim}724.37{\pm}7.85mg%$로 냉장유통 제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일반세균 수는 유통방법 또는 포장형태와 관계없이 $ND{\sim}3.65{\pm}0.23log\;CFU/g$ 범위에 있었으며, 효모와 곰팡이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상온유통 제품(RW1~4)의 allyl isothiocyanate 함량은 $53.35{\pm}0.08{\sim}159.76{\pm}0.8mg%$ 범위로 냉장유통 제품(CW1 $48.19{\pm}0.15mg%$, CW2 $24.07{\pm}7.69mg%$)보다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