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ge spillover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기혼취업여성 일-가족 양립에 따른 전이유형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Identifying Latent Groups in Married Working Women's Work-Family Spillover and Testing the Difference of Mental Health)

  • 하여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1호
    • /
    • pp.13-26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atent groups depending on married working women's work-family spillover. The effects of factors that determine mental health subgroups and differences were also analyzed. Mixture modeling was applied to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our subgroups that could be defined according to the work-family spillover: mid-level spillover group (mid-positive and mid-negative spillover group), high-level spillover group (high-positive and high-negative spillover group), low-level spillover group (low-positive and low-negative spillover group), and high-negative and low-positive spillover group. Second, the results of mixture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effect of eco-system variables showed that age, academic background, non-traditional family value, number of children, work hours, wage income, and availability of the maternity leave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latent groups. The probability of classifying in the high-negative and low-positive spillover group increased when women showed a lower academic background and wage income, higher number of children and older age, and longer work hours than others. Third, the high-level spillover group, and the high-level spillover group showed the lowest stress and the lowest depression; however, the low-level spillover group reported the highest stress and the highest depression.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기혼 취업여성의 종사상 지위에 따른 일·가족 전이 : 자영업자, 무급가족종사자, 임금근로자의 비교 (Work-Family Spillover of Married Working Women by Employment Status)

  • 진미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5호
    • /
    • pp.25-3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work-family spillover differed by employment status of married women an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e differences. This study drew a sample of 332 self-employers, 181 unpaid family workers, and 1,053 wage workers from the 2014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It was found that negative work-family spillover did not differ by employment status of married women. However, positive work-family spillover was found the lowest in family workers.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difference remained after controll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verage working hours, and the number of days off per week. The factors related to negative spillover were age, the presence of young children, working hours, and the number of days off.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family workers are most disadvantaged in terms of work-family spillover. Yet there is no policy developed for them. Family policy needs to take them into account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services.

최저임금의 사업체 내 임금압축 효과 (Analysis of Wage Compression Effect of the Minimum Wage within Establishment)

  • 강승복
    • 노동경제논집
    • /
    • 제39권4호
    • /
    • pp.31-56
    • /
    • 2016
  • 본 논문은 최저임금의 사업체 내 임금압축 효과를 다룬 것이다. 분석 결과 사업체 내 최저임금 비중의 증가는 사업체 내 임금분포를 압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저임금 비중이 큰 사업체일수록 사업체 평균임금이 낮아지는데 이때 고임금 그룹의 하락폭이 저임금 그룹보다 더 크게 나타나며, 저임금 대비 고임금 근로자의 상대임금도 최저임금 비중이 큰 사업체일수록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것을 시사한다. 최저임금 인상은 직접적으로는 저임금 근로자의 임금을 상승시키며, 간접적으로는 고임금 근로자의 임금을 하락시키거나 상승폭을 둔화시켜 결과적으로 임금분포를 압축시킨다. 따라서 정책적으로 최저임금의 인상은 임금 불평등도를 낮추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경제의 대외개방도 증가가 숙련 및 미숙련 부문의 고용에 미치는 영향 (Economic Openness and Labor Allocation between Skilled and Less-skilled Sectors)

  • 김영준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4권1호
    • /
    • pp.87-133
    • /
    • 2012
  • 본 논문은 경제의 개방화 진전이 고용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경제주체의 이질성(heterogeneity)을 가미하여 Romer(1990)의 내생적 성장모형을 확장하였다. 이와 같은 이질성에 기반하여 본 모형은 한 경제의 고용구조(숙련 및 미숙련 부문의 상대적 고용의 크기)가 숙련노동의 수요 및 공급 조건에 따라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설명한다. 본 모형은 폐쇄경제에 기반하고 있으나 개방경제의 경우로 확장 가능하다. 개방경제의 경우로 확장된 모형에 따르면, 경제의 개방화 진전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경로를 통해 고용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하나는 생산특화(specialization)를 통한 경로로서 개방 경제하에서 각국은 비교우위에 기반하여 부문별 생산량을 결정하는데, 이에 따라 부문별 노동수요가 결정되고 이는 고용구조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다른 하나는 지식확산(knowledge spillover)을 통한 경로로서 경제의 개방화 진전은 지식확산을 촉진하는데, 이는 부문별 노동생산성에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고용구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21개국의 국제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해 본 결과, 경제의 개방화 진전은 상기한 모형이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위의 두 가지 경로를 통해 고용구조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노동조합이 비조합원 임금에 미치는 영향: 지역 수준 분석 (Union Effects on Nonunion Wages: A Regional Panel Data Analysis for Korea)

  • 황선웅
    • 산업노동연구
    • /
    • 제23권2호
    • /
    • pp.79-108
    • /
    • 2017
  • 이 글은 "한국노동패널조사" 2003년~2015년 자료를 이용해 우리나라 지역별 노조 조직률 변화가 같은 지역 미조직 노동자들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조합은 비조합원 평균 임금에 상당히 크고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지역 내 노조 조직률이 10% 포인트 상승하면 같은 지역 비조합원 평균 임금은 약 5% 증가한다. 둘째, 이러한 긍정적 효과는 파급범위가 넓다. 여성, 청년, 저학력, 비정규직, 서비스업, 중소기업 노동자 등 노동시장 취약집단 비조합원의 임금도 지역 내 노조 조직률로부터 긍정적 영향을 받는다. 셋째, 비조합원의 경우와 달리 노조 조합원 평균 임금은 지역 내 노조 조직률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다. 우리나라 임금노동자 중 노조 조합원 비율은 10%, 비조합원 비율은 90%이다. 이 글의 추정 결과는 우리나라 대다수 노동자의 임금에 큰 영향을 미치는 노동시장 제도적 요인을 규명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함의가 있다. 우리나라 비노조 부문의 저임금이 노동조합 때문이라는 사회 일각의 주장은 실증적으로 타당하지 않다. 오히려 그간의 노조 조직률 하락으로 인해 비노조 부문 노조 결성 위협이 감소하고 노동조합의 일반적 노동 표준 제고 기능이 약화되면서 노조 조합원보다 비조합원이 더 큰 임금 손실을 입었을 가능성이 높다. "노조할 권리"를 보장하고 확대하는 전략은, 한편으로는 조합 내부에서 자신의 권리를 보호받는 노동자 비율을 높임으로써, 다른 한편으로는 조합 외부 미조직 노동자들의 노동조건에도 긍정적 파급효과를 미침으로써, 우리 경제 일자리의 전반적 질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