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ulnerability indicators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6초

태풍 매미의 피해 데이터 기반 국내 태풍 취약성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yphoon Vulnerability According to Quantitative Loss Data of Typhoon Maemi)

  • 안성진;김태희;김지명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25-126
    • /
    • 2019
  •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damage indicators of typhoon and to develop damage function's indicators, using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actual loss of typhoon Maemi. As typhoons engender significant financial damage all over the world, governments and insurance companies, local or global, develop hurricane risk assessment models and use it in quantifying, avoiding, mitigating, or transferring the risks. For the reason, it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risk assessment model for typhoons, and the importance of reflecting local vulnerabilities for more advanced evaluation. Although much previous research on the economic losses associated with natural disasters has identified the risk indicators that are indispensable, more comprehensive research add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ulnerability and economic loss are still called for. Hence this study utilizes and analyzes the actual loss record of the typhoon Maemi provided by insurance companies to fill such gaps. In this study, natural disaster indicators and basic building information indicators are used in order to generate the vulnerability functions; and the results and indicators suggest a practical approach to create the vulnerability functions for insurance companies and administrative tasks, while reflecting the financial loss and local vulnerability of the actual buildings.

  • PDF

Fuzzy set을 이용한 실시간 지점단위 농경지 침수위험 지수 산정 (Estimating Real-time Inundation Vulnerability Index at Point-unit Farmland Scale using Fuzzy set)

  • 은상규;김태곤;이지민;장민원;서교
    • 농촌계획
    • /
    • 제20권2호
    • /
    • pp.1-10
    • /
    • 2014
  • Smartphones change the picture of data and information sharing and make it possible to share various real-time flooding data and information. The vulnerability indicators of farmland inundation is needed to calculate the risk of farmland flood based on changeable hydro-meteorological data over time with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flood-damaged areas. To find related variables show the vulnerability of farmland inundation using the binary-logit model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to provide vulnerability indicators were estimated by fuzzy set method. The outputs of vulnerability indicator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Monte Carlo simulation (MCS) for verification. From the result vulnerability indicators are applicable to mobile_based information system of farmland inundation.

통합수자원평가지수의 개발 (Development of Integrated Water Resources Evaluation Index)

  • 이동률;최시중;문장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10호
    • /
    • pp.1017-102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물이용, 홍수 및 하천환경의 3개 수자원 정책 부문에서 수행한 사업성과를 지역별로 평가할 수 있는 통합수자원평가지수(Integrated Water Resources Evaluation Index, IWREI)를 개발하는 것이다. IWREI는 각 부문별 취약성을 나타내는 물이용취약지수(Water Use Vulnerability Index, WUVI), 홍수취약성지수(Flood Vulnerability Index, FVI), 하천환경취약지수(River Environment Vulnerability Index, REVI)를 통합하여 산정된다. 이들 지수들은 물이용, 홍수, 하천환경의 피해를 주는 압력지표(pressure indicators)와 이에 의한 피해 현상지표(state indicators) 및 피해의 대책지표(response indicators)에서 선정한 총 26개 지표로 구성된다, 산정된 지수는 Low, Medium Low, Medium, Medium High, 및 High의 5단계로 취약성 및 정책수행의 효과를 나타냈다. 우리나라 115개의 중권역에 대해 WUVI, FVI, REVI 및IWREI을 분석한 결과, 1990년대 초반에 비해 2000년대 초반의 지수가 개선되어 수자원 정책의 사업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역간수자원의 취약지수와 평가지수는 수자원 정책목표의 설정과 사업이행의 우선지역을 선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농어촌용수 및 농업생산기반시설에 대한 기후변화 취약성 관련인자 중요도 평가 (Prioritizing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Vulnerability of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and Infra-structures to Climate Change)

  • 최영완;장민원;배승종;정경훈;황세운
    • 농촌계획
    • /
    • 제25권1호
    • /
    • pp.75-87
    • /
    • 2019
  • As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have been emerged all the way through society, the potential risks specifically on agricultural water and facilities are recently getting concerned. Evaluating vulnerability of agriculture to climate change on is a time-tested strategy. While a number of researches on the adaption and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were performed in various aspects for sustainable agricultural production, the vulnerability of management system for agricultural water and infrastructure has not been investigated yet. This study is aimed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find the major indicators able to presume the vulnerability, and finally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indicators based on the specialist questionnaire survey and its analyses. The lists of indicators for major parts of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such as, water use, flood control, reservoir related issues, and pumping and drainage systems are initialized referring to the related precedent studies. The primary survey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Delphi to complement the list and methods and the main survey was then conducted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to quantitatively prioritize the indicators. The results derived in this study would be directly adopted in weighting importance of indicators to investigate the indicator-based vulnerability analysis to climate change in agricultural water and infrastructure management.

환경시설물 대상 홍수취약성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하수처리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 of Flood Vulnerability Evaluation Indicators for Sewage Treatment Plant)

  • 노재덕;한지희;이창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10-11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환경시설을 대상으로 침수피해에 대비한 재해 예방능력을 강화하고자 정량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부분을 고려한 홍수취약성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환경시설의 침수에 취약한 시설물을 분석하고 구조적, 비구조적인 평가지표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구조적 평가지표는 환경시설에 취약한 측면을 시설의 유형적인 측면에 대해 11개의 평가지표를 제시하였으며, 비구조적 평가지표는 내부인자와 외부인자로 구분하여 시설의 운영·상태 등 무형적인 측면에 대해 내부인자 8개와 외부인자 6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홍수취약성 평가지표는 기존 환경시설물의 침수피해 대비 홍수취약성에 대해 평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홍수에 대한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IS기반 시공간정보를 이용한 건강부문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Public Health to Climate change Using Spatio-temporal Information Based on GIS)

  • 유성진;이우균;오수현;변정연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3-24
    • /
    • 2012
  • 기후 변화로 인한 건강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고 적응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적응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건강 부문의 취약성 평가는 폭염, 오존, 매개질환 전염병의 세부 부문으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각 부문별로 민감도, 적응능력, 노출 규준을 설정하고, 적합한 평가 지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GIS를 이용하여 지표별 공간자료를 구축하고 처리하였다. 그 결과, 폭염에 의한 취약성은 남부 지방의 저지대가 중부지방에 비해 높았고, 오존에 의한 취약성은 대구분지 주변과 자동차수가 많은 수도권 및 대도시권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역 특이성이 높은 말라리아와 쯔쯔가무시증은 각각 군사분계선 근방, 남서 평야지대에서 취약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미래에는 전반적으로 취약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부에서 중부로 그리고 평지에서 낮은 산간지대로 취약 지역이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향후 관련 지표 자료의 확보와 지표별 가중치를 산정하고, 새로운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기상예측자료를 사용하면 좀 더 신뢰성 높은 취약성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반도 기후 변화 적응을 위한 취약성 지수 산정에 관한 고찰 (A Review of Studies on Vulnerability Indicator for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over South Korea)

  • 김철희;김은화;송창근;홍유덕;유정아;홍성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89-798
    • /
    • 2011
  • Climate change assessment, together with climate change adaptation process, would be one of the worldwide important issues, and the study on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icator has been an essential problem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Vulnerability indicator can be used as a good tool to estimat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to map out the distribution of its vulnerability over the given area both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is study addressed the conceptual summary on the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and its adaptation process. Previous studies on how to yield the vulnerability indicators of climate change are reviewed and several previous results of vulnerability indicators applied to Korean provinces are also discussed here.

수자원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모형의 공간 및 유역규모별 적용 연구 (Application Study of Vulnerability Assessment Models for Water Resources to Climate Change by Spatial and Watershed Scales)

  • 정지웅;이우균;최계선;이상철;최성호;최현아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1-3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홍수, 가뭄, 물관리 등 수자원 분야 취약성을 규준(criteria) 및 지표(indicators)를 활용하여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방법을 통해 전국 및 지역 단위의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평가 규모별 적정 유역 크기에 대한 방안도 아울러 제시하였다. 수자원 취약성 평가에 이용한 규준은 크게 평가 대상지의 민감도, 기후에의 노출,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력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규준을 지표로 계량화 및 표준화하여 취약성 평가에 반영한다. 기후변화에 대한 수자원 분야의 취약성은 일반적으로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평가 대상지의 유역 규모는 국가 차원의 취약성 평가는 대유역을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유의하며, 지역 차원의 평가는 소유역을 기준이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Developing of Construction Project Risk Analysis Framework by Claim Payout and its Application

  • Kim, Ji-Myong;Park, Young Jun;Kim, Young-Jae;Yu, YeongJi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92-194
    • /
    • 2015
  • The growing size and complex process in construction project recently leads to increase risk and the losses as well. Even though researchers have identified the major risk indicators, there is lack of comprehens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for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indicators and economic losses associated with construction projects. To address this shortage of research, this study defines risk indicators and create a framework to assess the influence of economic losses from the indicators. An insurance company's claim payout record was accepted as the dependent variable to reflect the real economic losses. Based on the claims, we categorized the causes and results of accidents. To establish framework, built environment vulnerability indicators and geographical vulnerability indicators were employed as the risk indicators. 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adopted to validate the relationship with loss ratio and risk indicators. Consequently, this framework and its results may offer significant references for under writers of insurance companies and loss prevention activities.

  • PDF

공간계획 활용을 위한 도시 열환경 취약성 평가 연구 - 서울시를 사례로 - (Vulnerability Assessment to Urban Thermal Environment for Spatial Planning - A Case Study of Seoul, Korea -)

  • 엄정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09-12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열환경 취약성 평가에 관한 국 내외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열환경 취약성 평가에 적합하면서 도시 및 환경계획 등 공간계획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취약성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이를 활용하여 사례지역인 서울시의 열환경 상태를 진단하였다. 이를 위해 폭염, 도시 열섬, 도시 미기후 등 국내 외 열환경 취약성 평가에 활용된 지표들을 고찰하여 도시 열환경 취약성 평가를 위한 15개 지표를 선정하였는데, 기후노출 분야의 건물체적, 민감도 분야의 열환경 취약 건축물, 적응능력 분야의 녹지면적 등 도시구조적 공간적 지표를 포함하였다. 선정된 지표 중 사례지역인 서울지역에 대해 활용가능한 12개 지표의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퍼지이론을 활용한 GIS 공간분석을 통해 서울의 열환경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강남 지역이 강북 지역보다 열환경에 더 취약한 것으로 파악되었는데, 강남 지역에서는 서초구, 강남구, 동작구, 영등포구, 강서구 일대의 열환경 취약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강북 지역에서는 동대문구, 강북구, 광진구, 중랑구 일대가 다른 구에 비해서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지역 및 서울시 외곽지역에 위치한 관악구, 도봉구, 은평구, 노원구 등은 관악산, 북한산 등 산림의 영향으로 인해 '기후노출'과 '민감도' 분야의 취약성이 낮았다. 하지만, 자료수집의 한계로 활용하지 않았던 '적응능력' 분야의 에어컨 보유 현황 지표가 분석에 반영된다면, 서초구, 강남구 등 취약성이 높게 평가된 지역의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국내 열환경 취약성 평가에서 활용하지 않았던 도시구조적 공간적 지표를 활용함으로써 도시 및 환경계획 분야에서 열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마련에 기여하고, 열환경 위험성을 저감하기 위한 공간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