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ume index

검색결과 1,399건 처리시간 0.029초

아파트가격지수와 네이버 트렌드지수 간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Apartment Price Index and Naver Trend Index)

  • 유한수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4호
    • /
    • pp.45-5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 가격'과 '인터넷 검색량'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선행 논문들이 '공표된 아파트 가격'과 '인터넷 검색량' 간의 관계만을 검정했던 것에 비해, 본 논문은 '공표된 아파트 가격'을 '본질적 가격 요소'와 '일시적 가격 요소'로 구분하여 '본질적 가격 요소와 인터넷 검색량' 간의 관계, '일시적 가격 요소와 인터넷 검색량' 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분석했다는 것이 선행 연구들과의 차별적 측면이다. Granger 인과관계 분석 결과를 보면, '공표된 아파트 가격'과 '인터넷 검색량'이 서로 양방향의 Granger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논문들에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부분으로서, 아파트 가격의 추세 요소인 '아파트 본질적 가격 요소'도 '인터넷 검색량'과 피드백적 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아파트 일시적 가격 요소'는 '인터넷 검색량'에 대해 선행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일시적 가격 요소도 인터넷 검색량과 관계가 있다는 것은 아파트시장 참여자들의 '일시적 심리적 측면, 과잉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가격 요소'도 인터넷 검색량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아파트 가격의 움직임이 시장참여자들의 관심에 영향을 준다는 의미를 제시하며, 부동산시장 분석 등에 있어서 가격의 움직임, 인터넷 검색량과 같은 자료를 활용해야 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강섬유와 PVA 섬유로 하이브리드 보강된 콘크리트의 슬럼프 및 역학적 특성 (Slump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ybrid Steel-PVA Fiber Reinforced Concrete)

  • 양근혁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651-658
    • /
    • 2010
  • 콘크리트의 슬럼프와 역학적특성에 대한 마이크로 섬유와 매크로 섬유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강섬유와 PVA 섬유로 하이브리드 보강된 콘크리트 16배합과 무보강 콘크리트 1배합을 실험하였다. 주요 변수는 강섬유와 PVA 섬유의 체적비 및 길이이다.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역학적특성들은 섬유보강지수에 따라 분석되었으며, 강섬유 또는 PVA 섬유만으로 보강된 콘크리트와 비교하였다.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섬유 체적비와 형상비 증가와 함께 감소하였으며, 할렬인장강도, 파괴계수, 탄성계수 및 휨 인성지수는 섬유보강지수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단일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섬유체적비에 비해 낮은 체적비를 갖는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파괴계수와 휨인성지수는 단일 섬유보강 콘크리트에 비해 높았다.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휨 인성 향상을 위해서는 30 mm와 60 mm 길이의 강섬유를 함께 사용하는 것보다는 60 mm 강섬유만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지첨-족지 지수에 의한 동맥 혈관 특성화 연구 (A Study on Arterial Characterization using Finger-Toe Index (FTI))

  • 변미경;한상휘;허웅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77-785
    • /
    • 2007
  • In this paper, Finger-Toe Index (FTI) is proposed as an analytic parameter for the characterization of arterial vessel. Different from the currently being employed pulse wave velocity (PWV) information of the volume pulse wave measured from 4 arterial channels, the proposed FTI uses the ratio of the shorter of the two up-stroke time of PPG from fingers ($UT_{finger}$) and that of PPG (Photoplethysmography) from toes ($UT_{toe}$). To verify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Finger-Toe Indexes were derived from the volume pulse waves acquired from 50 people under examination aged from 12 to 81 years old, and they were then compared with blood pressure ankle-brachial index (ABI). It was successfully demonstrated that the arterial stiffness can be estimated with respect to age and FTI is more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pulse transit time than ABI.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we also found that FTI has significant correlation PWV for a quantitative index of arterial stiffness and provides more accurate information than ABI for the characterization of arterial vessel.

충북 충주지역 가래나무의 임목생장량 및 이산화탄소 흡수량 추정 (Estimation of Stand Growth and CO2 Removals for Juglans mandshurica Plantations in ChungJu, Chungcheongbuk-do in Korea)

  • 손영모;김래현;김영환;이경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646-651
    • /
    • 2009
  • 본 연구는 충북 충주지역 가래나무 조림지에 대한 개체목 및 임분 표준지 조사 자료를 토대로 재적표(수피 포함 및 제외) 및 임분수확표를 조제하고자 하였다. 재적을 산출하기 위한 수간곡선식으로는 Kozak식을 적용하였으며, 식의 적합성지수가 97% 이상으로 매우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산출된 재적을 이용하여 가래나무에 대한 재적표를 국내 최초로 조제하였다. 임분생산력을 판정할 수 있는 지위지수를 분석하기 위해서 Chapman-Richard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기준 임령은 30년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지위등급은 평균적으로 16~22의 범위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제된 임분수확표를 지위지수 '중'인 가래나무 70년생 임분에 적용한 결과 축적이 $238m^3$ 이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래나무 임분 수확량의 추정을 위해 기존에 적용되어왔던 상수리나무 임분수확표를 적용한 경우에 비해 $100m^3/ha$ 이상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활엽수에 대한 수종별 임분수확표 조제의 필요성을 입증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충주지역 가래나무 조림지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계산한 결과, 30년생 임분의 경우 연간 $5.84tCO_2/ha$의 탄소를 흡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제된 가래나무 재적 및 임분수확표는 앞으로 충북 충주지역 가래나무 조림지에 대한 경영의사결정에 주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 치료계획의 평가에 필수불가결한 지표들의 분석 (Analyses of the indispensible Indices in Evaluating Gamma Knife Radiosurgery Treatment Plans)

  • 허병익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03-312
    • /
    • 2017
  •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GKRS)의 핵심 목표는 병변에 처방 등선량 표면의 일치성을 최대화하고 병변 주변부 정상 조직의 방사선 효과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일치성 지표, 적용 범위, 선택성, 빔-온 시간, 기울기 지표(GI), 일치성/기울기 지표(CGI)와 같은 치료계획의 질과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지표들이 존재한다. 이 가운데 최상의 치료계획 평가 도구로서 우리는 일치성 지표, GI 및 CGI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특히 건강한 정상조직의 합병증과 관련된 GI 및 CGI는 일치성 지표보다 더욱더 중요하게 여겨진다. 그래서 저자는 치료계획 시스템 렉셀 감마플랜(LGP) 및 검증 방법 가변 타원체 모형화 기술(VEMT)을 사용하여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GI 뿐 만 아니고 CGI, 새로이 정의된 일치성/기울기 지표를 계산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GKRS로 치료받은 두개 내 병변을 가진 1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저자는 단지네 인자들: 처방 등선량 체적, 최대 선량의 30% 이상 체적, 병변 체적, 처방 등선량 절반의 체적 만을 가지고 LGP와 VEMT를 이용해서 지표를 계산했다. 모든 데이터는 두 가지 다른 측정기법을 비교하는데 사용되는 통계적 방법인 Paired t-test로 분석되었다. 10명의 사례에서 LGP와 VEMT 사이에 GI의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GI의 차이는 -0.14에서 0.01 사이의 범위였다. LGP와 VEMT의 두 가지 방법으로 계산된 새롭게 정의된 기울기 지표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저자는 LGP와 VEMT 사이에 처방 등선량 체적에 대한 통계적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최상의 치료계획을 결정하기 위한 또 하나의 평가 지표인 CGI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CGI의 차이는 -4에서 3까지 이었다. 똑같이 GKRS에 적합하게 새로이 정의된 일치성/기울기 지표도 통계 분석을 통해서 치료계획 평가를 위한 훌륭한 측정 기준으로 여겨진다. 통계분석 결과 VEMT는 GKRS에서 최상의 치료계획을 평가하기 위해 GI, 새로운 기울기 지표, CGI 및 새로운 CGI를 고려했을 때 LGP와 우수한 일치를 보였다. 저자는 LGP 및 VEMT를 통해서 빠르고 쉬운 평가도구의 적용성으로 인하여 GI 뿐 만 아니라 CGI와 새로이 정의된 CGI가 널리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Peritumoral Brain Edema in Meningiomas: Correlation of Radiologic and Pathologic Features

  • Kim, Byung-Won;Kim, Min-Su;Kim, Sang-Woo;Chang, Chul-Hoon;Kim, Oh-Lyo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9권1호
    • /
    • pp.26-30
    • /
    • 2011
  • Objectiv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retrospective evaluation of the radiolog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peritumoral brain edema (PTBE) in meningiomas. Methods: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pathology data for 86 patients with meningiomas, who underwent surgery at our institution between September 2003 and March 2009, were examined. We evaluated predictive factors related to peritumoral edema including gender, tumor volume, shape of tumor margin, presence of arachnoid plane, the signal intensity (SI) of the tumor in T2-weighted image (T2WI), the WHO histological classification (GI, GII/GIII) and the Ki-67 antigen labeling index (LI). The edema-tumor volume ratio was calculated as the edema index (EI) and was used to evaluate peritumoral edema. Results: Gender (p=0.809) and pathological finding (p=0.084)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itumoral edema by univariate analysis. Tumor volume was not correlated with the volume of peritumoral edema. By univariate analysis, three radiological features, and one pathological finding, were associated with PTBE of statistical significance: shape of tumor margin (p=0.001), presence of arachnoid plane (p=0.001), high SI of tumor in T2WI (p=0.001), and Ki-67 antigen LI (p=0.049). These results suggest that irregular tumor margins, hyperintensity in T2WI, absence of arachnoid plane on the MRI, and high Ki-67 LI can be important predictive factors that influence the formation of peritumoral edema in meningiomas. By multivariate analysis, only SI of the tumor in T2WI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itumoral edema.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rregular tumor margin, hyperintensity in T2WI, absence of arachnoid plane on the MRI, and high Ki-67 LI may be important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peritumoral edema in meningiomas.

Use of Cardiac Computed Tomography for Ventricular Volumetry in Late Postoperative Patients with Tetralogy of Fallot

  • Kim, Ho Jin;Mun, Da Na;Goo, Hyun Woo;Yun, Tae-Ji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0권2호
    • /
    • pp.71-77
    • /
    • 2017
  • Background: Cardiac computed tomography (CT)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or ventricular volumetry. However, the clinical use of cardiac CT requires external validation. Methods: Both cardiac CT and MRI were performed prior to pulmonary valve implantation (PVI) in 11 patients (median age, 19 years) who had undergone total correction of tetralogy of Fallot during infancy. The simplified contouring method (MRI) and semiautomatic 3-dimensional region-growing method (CT) were used to measure ventricular volumes. Results: All volumetric indices measured by CT and MRI generally correlated well with each other, except for the left ventricular end-systolic volume index (LV-ESVI), which showed the following correlations with the other indices: the right ventricular end-diastolic volume index (RV-EDVI) (r=0.88, p<0.001), the right ventricular end-systolic volume index (RV-ESVI) (r=0.84, p=0.001), the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volume index (LV-EDVI) (r=0.90, p=0.001), and the LV-ESVI (r=0.55, p=0.079). While the EDVIs measured by CT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measured by MRI (median RV-EDVI: $197mL/m^2$ vs. $175mL/m^2$, p=0.008; median LV-EDVI: $94mL/m^2$ vs. $92mL/m^2$, p=0.026),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the RV-ESVI or LV-ESVI. Conclusion: The EDVIs measured by cardiac CT were greater than those measured by MRI, whereas the ESVIs measured by CT and MRI were comparable. The volumetric characteristics of these 2 diagnostic modaliti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indications for late PVI after tetralogy of Fallot repair are assessed.

수출물동량과 수출물가지수, 국고채금리가 수출금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port Volume, Export Price Index and Treasury Bond Interest Rate on Export Amount)

  • 김신중;최정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33-140
    • /
    • 2019
  • 최근 미중 무역마찰에 이어 7월 들어 우리나라와 일본과의 무역전쟁이 시작되었다. 우리나라 무역의존도는 대략 60%대 이상으로 높은 수출의존도와 수입의존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출금액과 수출물동량, 수출물가, 국고채 금리를 살펴보고 수출금액에 어느 지수가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수출금액과의 동행성 및 변동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0년 1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총 234개월간 각 지표들의 월간자료를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수출금액과 물동량은 매우 높은 동행성을 보였고 수출액과 금리는 낮은 수준의 동행성을 보였지만 수출액과 수출물가는 상호동행성이 매우 낮게 산출되었다. 향후 우리나라는 내수시장을 확대하는 정책은 물론 높은 무역의존도를 감안하여 수출액을 지속적으로 증가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수출물동량을 증대시키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각 항만과 공항의 물류 환경과 경쟁력을 증대시키고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과 물류기업의 지원서비스를 향상시켜 나가야 한다.

국내 3대 주요 컨테이너항만의 장래 컨테이너선박 교통량 추정 (The Estimation of the Future Container Ship Traffic for Three Major Ports in Korea)

  • 김정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53-359
    • /
    • 2007
  • 컨테이너항만의 물동량이 증가하는 추세에서 장래에 발생될 컨테이너선박의 교통량을 예측한다면 항만의 효율적인 계획과 운영관리를 사전에 수립할 수 있다. 해상교통 관점에서도 컨테이너선박의 입 출항 척수를 장기적으로 추정하고, 이를 근거로 해상교통수요를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계획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항만 기본계획에서 제시된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의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자료를 토대로 각 항만에 대한 컨테이너선의 장래 입 출항 교통량을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컨테이너선박의 척당 물동량 추세를 ARIMA 모형을 통해 예측하고, 계절지수를 산출하였다. 이와 같이 예측된 척당 물동량을 2011년, 2015년, 그리고 2020년의 컨테이너 물동량에 대비시켜 발생예상의 해상교통량을 추정하였다.

보차혼합도로에서 시공간노출량 지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ime-Space Occupancy Exposure volume Index for the Mixed Traffic Streets)

  • 진장원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5-11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점유량을 이용하여 기존의 평가지표보다 더욱 합리적으로 보행자의 안전성 평가가 가능한 새로운 지표의 개발을 시도한다. 기존연구에서 자동차 교통량에 보행자 교통량을 곱하여 보차교착도라고 부르고 있고, 이것은 주민의 안전감과 밀접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보차교착도에는 자동차의 속도개념이 누락되어 있으며, 통상 자동차의 속도와 안전감과 상관이 높은 것을 볼 때 아직 불충분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점유량이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시공간노출량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만들어내며 서울의 41개의 보차혼합공간에서 조사된 실제 데이터를 갖고 분석해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