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ization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32초

질소질비료(窒素質肥料)가 시용(施用)된 담수토양(湛水土壤)에서의 암모니아의 휘산(揮散) (Volatilization of Amnonia from Flooded Soils Applied with Different Nitrogen Sources)

  • 오왕근;오재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0-75
    • /
    • 1981
  • 중성(中性)인 간척지토양(干拓地土懷), 산성(酸性)인 일반답토양(一般畓土壞)을 담수(湛水)하여 $30^{\circ}C$ 부근에서 18일간(日間) 보관(保管)하는 실내시험(室內試驗)을 하고 수종(數種) 질소질비료(窒素質肥料)의 암모니아 휘산화(揮散化)를 검토(檢討)하였으며 얻어진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요소(尿素)는 토양의 pH를 높이며 암모니아의 휘산(揮散)을 촉진(促進)하였다. 2. 유안(硫安)과 염안은 간척지토양(干拓地土懷)의 환원(還元)으로도 pH를 7.3이상(以上) 높이지 않았으며 $pK_b$ 4.72~3을 유지하여 암모니아의 휘산(揮散)이 미미(微微)함을 표시(表示)하였다. 3. 미원유기질비료(味元有機質肥料)는 유안(硫安), 염안보다 간척지토양(干拓地土懷) pH를 약간 높였으니 pH에 상응하는 암모니아 휘산(揮散)을 가져오지 않았다. 같은 pH라면 유안(硫安), 염안보다 암모니아의 휘산(揮散)을 줄일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4. 요소시용(尿素拖用)으로 인(因)한 암모니아 휘산(揮散)은 간척지토양(干拓地土懷)에서 보다 원래(原來)의 pH 가 낮았던 일반답토양(一般沓土壞)에서 더 용이(容易)하였고 같은 pH 일반토양(一般土壞)에서 더 많은 암모니아가 휘산(揮散)할 것이다. 5. 생짚분(粉)이 시용(施用)은 간척지토양(干拓地土懷)에서 pH를 낮추고 암모니아의 휘산(揮散)을 줄이는데 유효(有效)하였다.

  • PDF

우분뇨 퇴비화 중 암모니아 휘산에 대한 이분해성 및 난분해성 유기 첨가물의 역할 (The Role of Organic Amendments with Different Biodegradability in Ammonia Volatilization during Composting of Cattle Manure)

  • 임상선;박현정;이선일;이동석;곽진협;최우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0-24
    • /
    • 2009
  • 퇴비화 과정 중 암모니아 휘산과 관련된 난분해성 및 이분해성 유기물의 역할을 재조명하기 위해 분뇨와 톱밥(난분해성) 또는 쌀겨(이분해성)를 혼합한 후 4주간 $CO_2$ 발생량과 $NH_3$ 휘산량을 조사하였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톱밥처리구에 비해 쌀겨처리구에서 43$\sim$122% 정도 높았으며, 이에 상응하게 최종 건물중 손실률도 쌀겨처리구가 35.1$\sim$41.5%로 톱밥처리구의 18.7$\sim$22.6%에 비해 유의하게(P$\sim$0.05) 높았다. 톱밥처리구에서는 시험기간인 4주간 암모니아 휘산이 발생하지 않았는데, 이는 톱밥의 C/N 비가 높아 질소무기화가 지체되었고 톱밥 자체가 $NH_4^+$를 흡착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이분해성인 쌀겨 처리구에서는 퇴비화 초기에는 질소부동화에 의해 암모니아 휘산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8일 이후부터는 쌀겨처리량이 낮은 순서대로 이분해성 유기물의 고갈에 의한 질소재무기화에 의해 암모니아 휘산이 관측되었다. 따라서, 이분해성 유기물은 초기 암모니아 부동화를 통해 암모니아 휘산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부동화된 질소의 재무기화에 의해 퇴비화 중반기에 오히려 암모니아 휘산이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난분해성 유기물인 톱밥은 암모니아 고정능이 있어 물리화학적 흡착에 의해 암모니아 휘산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극의 부반응 기포발생에 따른 휘발특성과 전기화학고도산화능을 동시에 고려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용 최적 불용성전극 개발 (Optimum dimensionally stable anode with volatilization and electrochemical advanced oxidation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s treatment)

  • 조완철;부경민;이지은;김태남;채규정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1-41
    • /
    • 2019
  •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are toxic carcinogenic compounds found in wastewater. VOCs require rapid removal because they are easily volatilized during wastewater treatment. Electrochemical advanced oxidation processes(EAOPs) are considered efficient for VOC removal, based on their fast and versatile anodic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pollutants.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e efficiency of removal of various types of pollutants using different anodes, but few studies have examined volatilization of VOCs during EAOPs. This study examined the removal efficiency for VOCs (chloroform, benzene, trichloroethylene and toluene) by oxidization and volatilization under a static stirred, aerated condition and an EAOP to compare the volatility of each compound.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optimum anode wa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smallest volatilization ratio and the largest oxidization ratio for four different dimensionally stable anodes(DSA): Pt/Ti, $IrO_2/Ti$, $IrO_2/Ti$, and $IrO_2-Ru-Pd/Ti$. EAOP was operated under same current density ($25mA/cm^2$) and electrolyte concentration (0.05 M, as NaCl). The high volatility of the VOCs resulted in removal of more than 90% within 30 min under aerated conditions. For EAOP, the $IrO_2-Ru/Ti$ anode exhibited the highest VOC removal efficiency, at over 98% in 1 h, and the lowest VOC volatilization (less than 5%). Chloroform was the most recalcitrant VOC due to its high volatility and chemical stability, but it was oxidized 99.2% by $IrO_2-Ru/Ti$, 90.2% by $IrO_2-Ru-Pd/Ti$, 78% by $IrO_2/Ti$, and 75.4% by Pt/Ti anodes The oxidation and volatilization ratios of the VOCs indicate that the $IrO_2-Ru/Ti$ anode has superior electrochemical properties for VOC treatment due to its rapid oxidation process and its prevention of bubbling and volatilization of VOCs.

도시 대기 중 유기염소계 살충제의 농도수준 및 배출 특성 (Atmospheric Concentrations and Temperature- Dependent Air-Surface Exchange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Seoul)

  • 최민규;여현구;천만영;선우영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75-284
    • /
    • 2002
  •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OCPs) in Seoul, South Korea between July 1999 and May 2000 were determined to investigate concentration distribution in air,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s and meteorological conditions, and apportionment of sources e.g. local sources (air- surface exchange) and long range transport. Endosulfan and $\alpha$-HCH were the highest concentrations in atmosphere with values typcally ranging from 10s to l00s of pg/㎥. These high concentrations may be attributed to their usage, period and chemical property (Koa). All OCPs also showed elevated levels during the summer and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This would suggest that a seasonal enhancement was due to (re)volatilization from secondary sources and application during the warmer months.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OCPs were investigated using plots of the natural logarithm of partial pressure (In P) vs reciprocal mean temperatures (1/T), and environmental phase-transition energies were calculated for each of the pesticides. For OCPs, temperature depend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99.99% confidence level) and temperature accounted for 35~95% of the variability in concentrations. The relatively higher slopes and phase-transition energies for $\alpha$-, ${\gamma}$-chlordane, endosulfan and endosulfan sulfate suggested that volatilization from local sources influenced their concentrations. The relatively lower those for $\alpha$-, ${\gamma}$-HCH, p, p'-DDE and heptachlor epoxide also suggested that volatilization from local sources and long range transport influenced their concentrations.

Recovery of Zirconium and Removal of Uranium from Alloy Waste by Chloride Volatilization Method

  • Sato, Nobuaki;Minami, Ryosuke;Fujino, Takeo;Matsuda, Kenji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The 6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East Asian Resources Recycling Technology
    • /
    • pp.179-182
    • /
    • 2001
  • The chloride volatilization method for the recovery of zirconium and removal of uranium from zirconium containing metallic wastes formed in spent fuel reprocessing was studied using the simulated alloy waste, i.e. the mixture of Zr foil and UO$_2$/U$_3$O$_{8}$ powder. When the simulated waste was heated to react with chlorine gas at 350- l00$0^{\circ}C$, the zirconium metal changed to volatile ZrCl$_4$showing high volatility ratio (Vzr) of 99%. The amount of volatilized uranium increases at higher temperatures causing lowering of decontamination factor (DF) of uranium. This is thought to be caused by the chlorination of UO$_2$ with ZrCl$_4$vapor. The highest DF value of 12.5 was obtained when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35$0^{\circ}C$. Addition of 10 vol.% oxygen gas into chlorine gas was effective for suppressing the volatilization of uranium, while the volatilization ratio of zirconium was decreased to 68% with the addition of 20 vol.% oxygen. In the case of the mixture of Zr foil and U$_3$O$_{8}$, the V value of uranium showed minimum (44%) at 40$0^{\circ}C$ with chlorine gas giving the highest DF value 24.3. When the 10 vol.% oxygen was added to chlorine gas, the V value of zirconium decreased to 82% at $600^{\circ}C$, but almost all the uranium volatilized (Vu=99%), which may be caused by the formation of volatile uranium chlorides under oxidative atmosphere.ere.

  • PDF

암모니아 휘산에 의한 요소비료의 손실에 미치는 요인 (Factors Controlling the Losses of Urea through Ammonia Volatilization)

  • 김수정;양재의;조병욱;김정제;신용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7-82
    • /
    • 2007
  • 질소비료로부터 암모니아의 휘산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토양에서 일어나는 질소 손실의 주된 기작이다. 암모니아 휘산은 다양한 토양과 환경의 조건 및 비료관리 방안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질소비료 의존도가 높은 채소들도 휘산된 암모니아 가스에 의해 피해를 받는 사례가 종종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토에 시용된 요소비료로부터 암모니아 휘산량을 측정하였고, 이에 미치는 요소비료 시용량, 관개시기, 및 온도 등의 비료관리요인들의 영향을 조사했다. 암모니아 휘산은 요소를 시용한 뒤 약 3일 후에 시작되었으며, 약 2주 후에 최대에 도달하였다. 17일 후, 휘산된 암모니아태 질소의 양은 200, 400, $600kg\;N\;ha^{-1}$ 의 시용량에서 각각 3.0, 4.4, 그리고 8.0 kg 이었다. 이들 휘산량은 시용된 질소가 15.0, 10.9, 및 13.0% 가 손실된 것과 상응한다. 온도가 5, 8, 22, $28^{\circ}C$ 일때 휘산된 질소의 양은 각각 5, 21, 75, $87kg\;N\;ha^{-1}$ 이였다. 요소비료를 시용한 뒤 0, 5, 10 mm의 물을 관개한 경우, 휘산된 질소의 양은 각각 21.3, 21.2, $16.6kg\;N\;ha^{-1}$ 이었다. 한편, 요소를 시용한 후 5 mm를 관수한 경우의 질소 휘산량은 $10.44kg\;N\;ha^{-1}$ 로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요소비료를 권장량을 표토와 혼합, 온도가 낮을 때 그리고 요소비료를 시용후 즉시 관개하는 방안이 암모니아 휘산에 의한 질소 손실을 최소화 하는 비료관리 방안이었다.

토양으로부터 휘발되는 암모니아와 이산화질소의 소실에 대한 식피형의 영향에 대하여 (Influence of Vegetaton Type on the Intensity of Ammonia and Nitrogen Dioxide Liberation from Soil)

  • 김천민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4권3호
    • /
    • pp.43-46
    • /
    • 1971
  • Losses of nitrogenin the gaseous form were determined with closed systems in the filed under different vegetation types. Ammonia volatilization was greatest from the pine stand, and least from the sod stand, and was greatly reduced in all three sites in the rainy season due to the low temperature. There were only in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itrogen dioxide volatilization from the soil of the three vegetation types. Losses of ammonia and nitrogen dioxide at various soil depth also showed little variation. Evidently the microbial activity responsible for the $NO_2$ loss was relatively unaffected by the changes in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content during the investigation.

  • PDF

졸-겔법으로 제조된 Phosphosilicate 유리-요업체 분말로부터 $P_2O_5$ 휘발 반응 속도론 (The Kinetics of Volatilization of P2O5 From Sol-Gel Derved Phosphosilicate Glass-Ceramic Powder)

  • 김영식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9-94
    • /
    • 1992
  • The kinetics of volatilization of phosphorous oxide from phosphosilicate glassceramic powders prepared by a sol-gel process were investigated at a given temperature. The rate of P2O5 vaporization increased with the P2O5 concentration in the phosphosilicate powder. Vaporization from the powder containing 46% P2O5 was analyzed using a kinetic model for diffusion limited evaporation. The diffusion through phosphosilicate glass in the surface of each particle in the temperature range 800~85$0^{\circ}C$ are presented.

  • PDF

활성슬러지 하수처리장에 유입된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의 농도분포를 예측하기 위한 수학적 모형의 개발 (A Mathematical Model for Prediction of the Fat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Activated Sludge Processes : Steady State and Dynamic Simulation)

  • 고광백;벌소폴맥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73-184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활성슬러지 하수처리장에 유입된 PAHs의 일종인 anthracene을 대상으로 이의 농도분포, 물리적 혹은 생물학적 변환을 예측하기 위한 수학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수학적 모형은 유입 anthracene의 volatilization, biodegradation 및 adsorption/desorption과 같은 반응을 고려한 5개의 연립미분방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에는 7개의 kinetic rate constants와 18개의 input variables를 포함하고 있다. Steady state simulation의 결과 유입된 anthracene은 1차 침전지에서의 슬러지 배출로 인하여 약 33%가 포기조에서 발생한 volatilization에 의하여 약 61%가 제거되어, 총괄적인 anthracene의 제거율은 약 97%정도이었다. Dynamic simulation의 결과로 본 연구대상 system의 경우에 system이 steady state에 도달하는 시간은 약 160시간 정도로 예측되었다. 이와 아울러 본 연구에서 제안된 수학적 모형의 활용 가능성이 각종 simulation의 결과로 비교적 구체적으로 규명되었다.

  • PDF

담수토양(湛水土壤)에서 볏짚과 석회물질(石灰物質) 시용(施用)이 암모니아 휘산(揮散)에 미치는 영향(影響) (A Study on the Volatilization of Ammonia from Flooded Soils Mixed with Rice Straw and Liming Materials)

  • 오왕근;황광남;이명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66-171
    • /
    • 1982
  • 석회물질(石灰物質)과 볏짚의 시용(施用)이 암모니아 휘산(揮散)에 주는 영향(影響)을 밝히기 위하여 요소(尿素)를 시용(施用)한 담수토양(湛水土壤)을 34일간(日間) $30{\sim}35^{\circ}C$에서 (보관(保管)) 질내시험결과(窒內試驗結果)는 아래와 같다. 1. 수산화(水酸化)칼슘과 규산(珪酸)칼슘은 중탄산염 만들어 담수토양(湛水土壤)의 pH를 높이고 암모니아의 휘산량(揮散量)을 증가시켰고 담수토양(湛水土壤)의 수충능(綬衝能)을 크게 하는 효과가 컸다. 2. 볏짚분(粉)의 시용(施用)은 탄산(炭酸)을 집적(集積)시켜 담수토양(湛水土壤)의 pH를 낮추고 암모니아의 휘산(揮散)을 줄였는데 그 효과는 석회(石灰)를 시용(施用)하지 않았을 때에 컸다. 3. 수산화(水酸化)칼슘은 담수초(湛水初) $CO_2$의 발생을 억제(抑制)했는데 규산(珪酸)칼슘은 토양(土壤)에 수(綬)한 변화를 주어 담수초(湛水初)부터 토양질소(土壤窒素)의 유효화(有效化)를 촉진(促進)하고 볏짚의 시용(施用)도 이런 토양조건을 빨리 조성(造成)하는 것으로 판단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