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components

검색결과 895건 처리시간 0.029초

Solvent Free Solid Injector (SFSI)를 이용한 수삼, 홍삼, 백삼의 향기성분 분석방법 (The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 of Fresh Ginseng,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by Solvent Free Solid Injector (SFSI) Techniques)

  • 김미라;김인해;심재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4-168
    • /
    • 2005
  • 인삼의 휘발성 성분 분석 시 SFSI를 이용한 분석법의 최적화를 일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최적화를 위하여 세 가지 시료조제방법인 생체시료, oven건조와 동결건조를 검토하였고, GC injector 온도는 100, 150, 200, 250, $300^{\circ}C$에서의 휘발성분 분석효율을 검토하였으며, 모세관에서 시료의 기화 시간인 preheating time은 3, 5, 7, 10, 15 min의 조건에서 검토한 결과, 시료 조제방법은 생체시료를 그대로 사용 시, GC injector 온도는 $250^{\circ}C$일 때 preheating time은 10min일 때 가장 분석효율이 높았다. 휘발성분 분석을 위해 사용된 인삼은 금산에서 재배한 6년근 삼으로 수삼, 백삼, 홍삼을 사용하였으며, SFSI가 장착된 CC/MS에 의해 휘발성분을 분석, 동정하였다. 분석결과 수삼에서는 33종, 백삼에서는 36종, 홍삼에서는 38종의 휘발성분이 분석되어져 SFSI에 의한 분석법이 인삼의 휘발성분을 분석, 동정하는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약재 찌꺼기로 제조한 한방보드의 휘발성 성분의 방출 특성 (Emission Properties of Volatile Compounds from Medicine Herb Residues Board)

  • 노정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430-439
    • /
    • 2016
  • 한약재 찌꺼기로 제조한 한방보드로부터 방출되는 향기성분을 Tenax 튜브에 흡착시킨 후 TD GC/MS에 의해 동정하고, 온도에 따른 방출특성을 검토하였다. 한방보드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물질로는 88종이 동정되었다. 온도별로는 $25^{\circ}C$에서 44종, $35^{\circ}C$에서는 55종, $45^{\circ}C$에서는 65종이 검출되었으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화합물의 수와 전체피크 면적 모두 증가하였으며, 측정한 모든 온도조건에서 검출된 향기성분은 34종이었다. $25^{\circ}C$에서 검출된 향기성분의 93%, $35^{\circ}C$에서는 92%, $45^{\circ}C$에서는 90%가 Hydrocarbon류의 화합물이었으며, 그 외 Ether류가 약 4%, Ketone, Aldehyde, Acid류의 물질이 소량 검출되었다. Hydrocarbons에는 17종, 11%가 monoterpenes이며, 80%, 39종이 sesquiterpenes이었다. monoterpenes에는 limonene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sesquiterpene류의 주요 향기 물질로는 ${\alpha}-curcumene$, zingiberene, ${\beta}-elemene$, ${\beta}-selinene$, ${\alpha}-amorphene$, ${\alpha}-copaene$이었다. 특히 ether화합물인 anethole (3.26%)이 모든 온도에서 비교적 많이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한약재 찌꺼기로 제조한 한방보드에는 다양한 종류의 향기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으며, 향기성분을 활용한 다양한 제품의 제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자생나리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Korean Native Lilium)

  • 최성희;임성임;장은영;김규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48-552
    • /
    • 2005
  • 향이 은은하며 향장류의 원료로 이용 가능한 한국의 자생나리인 중나리, 하늘나리, 하늘말나리, 섬말나리 및 털중나리를 중심으로 분화용 자생나리의 개발 및 방향제 개발의 이용 가능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위해 휘발성 향기성분을 연속수증기증류법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GC 및 GC-MS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생나리류의 휘발성 향기성분으로는 hexanal, nonanal 등의 aldehyde류 28종, $\beta-ionone$ 등의 ketone류 9종, linalool 등의 alcohol류 8종, methyl hexanoate 등의 ester류 5종, 2-furoic acid 등의 acid류 5종, 2-pentyl furan 등의 furan류 3종 및 기타 2종 등 총 60종의 화합물을 추정 또는 동정하였다. 한국 자생나리의 관능적 특성으로, 중나리는 은은한 향과 분쇄한 토마토의 신선향, 하늘나리는 가열한 호박의 달콤함, 섬말나리는 감흥시의 달콤한 향과 신선한 풀향등을 느낄 수 있었다. 휘발성 성분으로는 중나리는 hexanal, hexanol 및 (E)-2-hexenal의 함량이 많았으며, 하늘나리는 풋풋한 풀냄새에 기인하는 (E)-2-hexenal과 hexanal의 함량이 많았으나 꽃향이나 산뜻한 과일향을 갖는 linalool의 함량도 많았다. 또한 꽃향을 나타내는 phenylacetaldehyde와 꿀향, 머스크향으로 알려져 있는 methyl phenylacetate의 함량도 많았다. 하늘말나리는 하늘나리와 유사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었지만, 특징으로 linalool의 함량이 많고 장미꽃향을 띄는 phenylethyl alcohol이 동정되었다. 섬말나리의 경우 풀냄새에 기여하는 (E)-2- hexenal의 함량이 나리시료 중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강한 풀냄새를 갖는 2,6- nonadienal도 함유되어 있었다. 털중나리의 경우 (E)-2-octenal과 phenylethyl alcohol의 함량이 특히 많은 것이 특징이었다.

한국산 무우의 휘발성 함유황화합물에 관하여 (Volatile Sulfur Components from Fresh Radishes of Korean Origin)

  • Kim, Mee-Ree;Rhee, Hei-Soo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3-39
    • /
    • 1985
  • 생무우(태백무우, 알타리무우)에 존재하는 휘발성 함유황화합물을 수증기 증류 및 용매추출($CCl_4$)방법에 의해 추출하여 GC/MS 분석법에 의해 분리 확인하였다. 수증기 증류로 얻은 2종 무우의 휘발성 함유황 성분들의 GC profile은 유사하였으며, 4-methyl-pentyl, 3-methylthiopropyl, 4-methylthio-3-butenyl, 4-rnethylthiobutyl, 5-methylthiopentyl isothiocyanate 와 5-methylthio-4-pentenenitrile, 1-methylthio-3-pentanone, dimethyl sulfides 등이 분리 확인되었다. 한편 $CCl_4$추출물에는 4-methylsulfinyl-3-butenyl isothiocyanate도 존재하였다. 수증기 증류에서 는 4-methylthiobutyl isothiocyanate가, 그리고 $CCl_4$추출에서 는 4-methylthio-3-butenyl isothiocyanate가 각각 주된 휘발성 함유황 화합물이었다.

  • PDF

시판 밴댕이젓의 Aroma-Active 성분의 구명 (Identification of Aroma-Active Components in Salt-Fermented Big-Eyed Herring on the Market)

  • 차용준;김훈;장성민;유영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53-1058
    • /
    • 1998
  •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salt fermented big eyed herring were analyzed by vacuum simultaneous distillation solvent 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and aroma extract dilution anlaysis. A total of 44 volatile compounds were detected by GC/O analysis. Of these, 23 were positively identified, and composed of aldehydes(7), esters(5), ketones(4), sulfur containing compounds (3), aromatic hydrocarbons(2), alcohol(1) and nitrogen containing compound(1). Predominant odorants (Log3FD$\geq$5) in sample were ethyl butanoate(bubble gum /sweet candy-like), 3 methylbutyl butanoate (almond /nutty), 1 octen 3 one(earthy/mushroom like), (E,E) 2,6 nonadienal(roasted wheat/grainy), dimethyl trisulfide(soy sauce /cooked cabbage like), 2 acetylpyrazine(nutty/baked potato like) and unidentified compound(RI=1867, seaweed like).

  • PDF

한국산(韓國産) 식용(食用)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IV) -양송이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 (Studies on the Volatile Components of Edible Mushroom (Agaricus Bisporus) of Korea)

  • 안장수;김성곤;박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3-336
    • /
    • 1987
  • 한국산 양송이버섯의 생것과 가열한 것의 향기성분을 GC,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양송이에서는 향기성분 13종을 동정하였으며 이들중 1-octen-3-ol이 73.13%로 가장 많았고 2-octenol 7.44%, 3-octanone 3.09%, 3-octanol 1.42%로 전체의 85.08%를 차지하였다. 2) 가열중인 것에서도 13종을 동정할 수 있었으며 역시 1-octen-3-ol이 68.86%로 가장 많았으며 2-octenol이 8.42%, 3-octanone 3.75%, Benzyl alcohol 3.23%, 3-octanol 1.97%로 전체의 86.23%를 함유하였다.

  • PDF

향끽미종 잎담배 성분조성에 관한 연구 1. 휘발성이 적은 유기성분의 특성조사 (Composition Studies on the Aromatic Tobacco Varieties (Nicotiana tabacum L.): 1. Characteristics of Less-Volatile Organic Components.)

  • 김경례;박진우;이운철;허일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7
    • /
    • 1980
  • 오리엔트산 및 한국산 향끽미종 잎담배의 휘발성이 적은 성분들을 간단한 장치와 간단한 조작을 통해 분리 농축하였다. 각 휘발성이 적은 농축물들은 가시 영역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박층 크로마토그라피 (TLC)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라피 (HPLC)에 의해서 상세한 조성분석을 하였다. 각 품종간의 정량적인 차이가 가시광선 흡수 스펙트라, TLC 패턴, HPLC프로파일 상에서 확인되었다.

  • PDF

밑술 담금 방법을 달리한 전통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raditional Liquor with Different Brewing Method of Mit-sool)

  • 정낙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77-38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ppraise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utilizing different Mit-sool, Juk, Seolgi-tteok, and Godubap, to produce traditional liquor. In all experimental plots, pH and amino acidity tended to increase with duration of fermentation. Titratable acidity displayed a very high number on the second day but then tended to decrease as fermentation progressed. Sugar contents were highest on the fourth day and tended to decrease with time. Alcohol content increased sharply at the initial stage of fermentation and increased gradually. On the 15th day, traditional liquor made with Godubap recorded the highest alcohol content. Common free sugar components were glucose and sorbitol. Common free organic acid components were lactic, succinic, citric, tartaric, malic, and acetic acids.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six alcohols, five esters, three aldehydes, and two ketones. Regarding overall acceptability in the sensory evaluation, traditional liquor using Seolgi-tteok as Mit-sool scored the highest. Overall, even though different types of Mit-sool had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latile flavor compounds or sensory evaluation scores.

SAW센서를 바탕으로한 GC를 이용한 국내산 및 수입산 천궁의 향기 패턴분석 (Pattern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 for Domestic and Imported Cnidium officinale Using GC Based on SAW Sensor)

  • 오세연;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94-997
    • /
    • 2003
  • 약초 천궁의 원산지를 판별하기 위하여 SAW 친서가 내장된 GC로 구축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였다. 사용된 시료는 별도의 전처리 과정 없이 분석되어, 30초 이내에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을 $VaporPrint^{TM}$ 이미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패턴화하였으며 패턴인식을 통하여 비교한 결과, 수입산 천궁과 국내산 천궁의 패턴이 뚜렷하게 차이를 나타냄으로 원산지 판별을 할 수 있었다.

SAW센서를 바탕으로한 GC를 이용한 국내산 및 수입산 당귀의 향기 패턴분석 (Pattern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 for Domestic and Imported Angelica gigas Nakai Using GC Based on SAW Sensor)

  • 노봉수;오세연;김수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44-148
    • /
    • 2003
  • 약초 당귀의 원산지를 판별하기 위하여 SAW 센서가 내장된 GC로 구축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였다. 사용된 시료는 별도의 전처리 과정 없이 분석되어, 30초 이내에 얻어진 hertz 값(Frequency)과 이를 미분하여 표현한 크로마토그램을 $VaporPrint^{TM}$ 이미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패턴화하였으며 패턴인식을 통하여 비교한 결과, 수입산 당귀와 국내산 당귀의 패턴이 뚜렷하게 차이를 나타냄으로 원산지 판별을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