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components

검색결과 895건 처리시간 0.037초

Volatile Aroma Composition of Chrysanthemum indicum L. Flower Oil

  • Chang, Kyung-Mi;Kim, Gun-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122-127
    • /
    • 2008
  • The aroma constituents of Chrysanthemum indicum L. were separated by the hydro 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using a Clevenger-type apparatus, and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yield of Chrysanthemum indicum L. flower oil was 2.0% (w/w) and the color was light golden yellow. Sixty-three volatile flavor components, which make up 89.28% of the total aroma composition of the flower oil, were tentatively characterized. This essential oil contained 35 hydrocarbons (48.75%), 12 alcohols (19.92%), 6 ketones (15.31%), 3 esters (4.61%), 5 aldehydes (0.43%), 1 oxide (0.22%), and 1 miscellaneous component (0.04%). ${\alpha}$-Pinene (14.63%), 1,8-cineol (10.71%) and chrysanthenone (10.01%) were the predominant volatile components in Chrysanthemum indicum L., an aromatic medicinal herbaceous plant.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Saussurea lappa C.B. Clarke Root Oil by Hydro Distillation-GC and $GC/MS^+$

  • Chang, Kyung-Mi;Kim, Gun-Hee
    • Food Quality and Culture
    • /
    • 제1권1호
    • /
    • pp.13-17
    • /
    • 2007
  •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Saussurea lappa C.B. Clarke, a perennial, aromatic and medicinal herbaceous plant of the Asteraceae family, were isolated by the hydro 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using a Clevenger-type apparatus,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plant yielded a light yellow colored oil (0.02%, v/w). From S. lappa C.B. Clarke root oil, sixty-three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among which sesquiterpene was predominant (21.70%). The identified compounds of the root oil constituted 87.47% of the total peak area. From the constituents making up more than 5% of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a long-chain aldehyde, (7Z, 10Z, 13Z)-7, 10, 13-hexadecatrienal, was the most abundant volatile flavor compound (21.20%), followed by dehydrocostuslactone (10.30%) belonging to sesquiterpene lactone, valerenol (5.30%) and vulgarol B (5.06%).

  • PDF

Head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 (HS-SPME) Analysis of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s

  • Lee, Seung-J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700-705
    • /
    • 2009
  • In this study, the volatile compounds in 9 commercial fermented soybean paste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by head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 (HS-SPME)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respectively. A total of 63 volatile components, including 21 esters, 7 alcohols, 7 acids, 8 pyrazines, 5 volatile phenols, 3 ketones, 6 aldehydes, and 6 miscellaneous compounds, were identified. Esters, acids, and pyrazines were the largest groups among the quantified volatiles. About 50% of the total quantified volatile material was contributed by 5 compounds in 9 soybean paste samples; ethyl hexadecanoate, acetic acid, butanoic acid, 2/3-methyl butanoic acid, and tetramethyl-pyrazine. Three samples (CJW, SIN, and HAE) made by Aspergillus oryzae inoculation showed similar volatile patterns as shown in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to GC-MS data sets, which showed higher levels in ethyl esters and 2-methoxy-4-vinylphenol.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s showed overall higher levels in pyrazines and acids contents.

배의 품종별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Varieties of Pear (Pyrus pyrifolia N.))

  • 이해정;박은령;김선민;김기열;이명렬;김경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006-1011
    • /
    • 1998
  • 신고, 만삼길, 추황배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LLEP 방법으로 추출하였고 GC의 RI와 GC/MS 분석에 의하여 동정하였다. 신고, 만삼길, 추황배에서 52종, 47종, 22종의 화합물이 분리동정되었고, 신고의 향기성분으로 alcohol류 20종, ester류 16종, hydrocarbon류 7종, acid류 6종, aldehyde류 2종, ketone류 1종이 확인되었다. 이 중에서 ethyl acetate, ethyl butanoate, hexanal, 1-hexanol, ethyl-3-hydroxy butanoate, ethyl-3-hydroxy nonanoate가 신고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여겨졌다. 만삼길에서 분리동정 된 향기성분으로 alcohol류 23종, acid류 8종, ester류 5종, hydrocarbon류 5종, aldehyde류 4종, ketone류 2종이 동정되었다. 이 중에서 ethyl acetate, hexanal, ethyl-2-hydroxy propanoate, methyl eugenol, 2-pentanol, cis-3-hexenol, propyl acetate가 만삼길의 향기에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추황배에서 분리동정 된 향기성분으로 ester류 6종, alcohol류 6종, acid류 6종, aldehyde류 3종, hydrocarbon류가 1종이 동정되었다. 이 중에서 ethyl acetate, propyl acetate, hexanal, 1-dodecanol, ethyl butanaote가 추황배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간주되었다. 신고, 만삼길, 추황배에서 추출된 휘발성 향기성분의 함량은 각각 6.972, 2.776, 2.653 mg/kg을 차지하였다.

  • PDF

소엽의 휘발성 향미성분 분석 및 향신료로서의 관능적 평가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and Sensory Evaluation as Natural Spice)

  • 정미숙;이미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21-225
    • /
    • 2000
  • 건조된 소엽의 정유를 초임계유체추출법으로 추출한 후 GC/MS로 분석한 결과 24가지의 휘발성 향미성분이 확인되었다. 탄화수소류는 4종, 알데히드류는 전체 peak area의 19.95%로 3종이 확인되었다. 알콜류 8종, 산류 3종, 에스터류 4종 및 기타 2종 확인되었다. 소엽의 주요 휘발성 향미성분은 L-perillaldehyde로 여겨진다. 소엽가루가 누린내 및 비린내에 미치는 영향을 관능검사 하였다. 소엽을 0.05%, 0.1% 및 0.2% 첨가하였을 때 돼지고기대조군과 후추 0.1%첨가군에 비하여 돼지고기의 누린내가 감소되었다. 소엽의 독특한 향기는 0.2% 첨가하였을 때 가장 강하였고 전체적인 선호도는 3가지 소엽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닭고기대조군에 비하여 후추 0.1%첨가군과 소엽 0.05%, 0.1% 및 0.2%첨가군에서 닭고기의 누린내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닭고기에 소엽을 0.1% 및 0.2% 첨가하였을 때 향이 강하게 감지되었으며, 전체적인 선호도는 후추 0.1%첨가군과 3가지 소엽첨가군 모두 좋게 평가되었다. 고등어의 비린내는 후추 0.1%첨가군과 소엽 0.2%첨가군에서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소엽 0.1%첨가군도 고등어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전체적인 선호도는 소엽을 첨가하였을 때 높게 나타났다.

  • PDF

저장조건에 따른 당귀의 정유성분 변화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Angelica gigas Nakai by the Storage Conditions)

  • 최성희;김혜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13-518
    • /
    • 2000
  • 당귀의 정유물을 Nickerson 동시 중류 추출법으로 추출하여, 저장온도와 기간에 따른 정유량의 변화를 비교하였고, 저장 60일째의 각 시료의 휘발성 성분을 GC 및 GC-MS법으로 분석, 동정하였다. 당귀의 정유함량을 비교한 결과 저장 10일째는 저온저장$(1{\sim}5^{\circ}C)$과 상온저장한 당귀는 저장직전에 분석한 당귀의 정유량과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20일 이후에는 저온저장한 당귀 시료의 정유량이 상온저장한 당귀의 정유량보다 함량이 많았다. 상온저장한 시료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유량의 중가가 완만하다가 60일에는 정유량이 증가하였다. 저온 저장한 시료는 저장기간 20일째는 정유량의 현저한 중가추세를 보였으나 60일까지는 유지 혹은 완만한 중가추세를 보였다. 당귀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당귀의 주요 향기성분으로 극성 컬럼에서는 ${\beta}-elemene$ 등의 terpene hydrocarbon류, eudesmol 등의 terpene alcohol류, (-)-trans-myrtanyl acetate ester 등이 둥정되었다. 비극성 컬럼에서는 camphene 등의 terpene hydrocarbon류, ${\alpha}-eudesmol$ 둥의 terpene alcohol류, butylidene phthalide 등이 동정되었다. 특히 eudesmol류는 상온저장에서 전체 정유량의 45%, 저온저장에서 48%를 차지했다. 당귀의 휘발성 성분으로 극성과 비극성 컬럼에서 함량이 많은 eudesmol과 terpene alcohol류 등은 독특하고 상쾌한 당귀의 향에 기여하리라고 생각된다. 저장 방법 면에서 상온저장한 시료와 저온 저장한 시료를 비교해보면 당귀의 대부분의 향기성분의 함량은 저온저장한 시료에서 많았다. 그리고 eudesmol은 전체적으로 상온저장 시료와 저온저장 시료 양쪽에서 많았으나 저온저장한 시료 쪽의 함량이 더 많았다.

  • PDF

무 첨가김치의 품질특성과 동결건조에 의한 품질변화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with Chinese Radish and Its Quality Change by Freeze-Drying)

  • 고영태;이주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37-942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무의 첨가농도가 각각 다른 김치를 제조하여 김치의 품질특성 즉,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관능성 및 휘발성 냄새성분을 조사하고, 아울러 동결건조가 무첨가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무의 첨가가 젖산균의 산생성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숙성시료의 pH는 표준시료(무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의 경우는 4.31이었으나 무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pH가 다소 저하하여 20% 첨가시료의 경우는 4.21이었다. 산도는 이와 반대로 0.673%에서 0.743%로 증가하였으며, 젖산균수는 무의 첨가로 변화가 없었다. 한편, 동결건조후 복원된 시료의 pH는 표준시료가 4.59인데 비하여 20%첨가시료는 4.50으로 다소 저하하였고, 산도는 0.287%에서 0.376%로 증가하였으며, 젖산균수는 시료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무 10% 또는 20%의 첨가로 숙성시료 또는 복원시료의 전반적인 기호도와 맛이 대체적으로 향상되었다. 휘발성 냄새성분의 분석결과를 보면, 숙성되지 않은 시료(0일 시료)의 경우는 ethanol과 5개의 함유황성분이 확인되었으며, 무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함유황성분 2개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20^{\circ}C$에서 3일간 숙성된 시료에서는 ethanol과 7개의 함유황성분이 확인되었으며, 무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함유황성분 5개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미숙성시료와 비교하면 diallyl sulfide와 methyl trisulfide가 새로이 생성되었다. 동결건조에 의하여 김치 또는 무 첨가김치의 모든 휘발성 냄새성분이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동결건조된 제품에는 ethanol과 4개의 함유황성분이 검출되었다.

신선초의 식용부위별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Edible Portions of Angelica keiskei Koidz)

  • 박은령;이해정;이명렬;김경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41-647
    • /
    • 1997
  • 신선초의 전초, 줄기, 잎에서 제조된 생즙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n-pentane과 diethylether혼합용액(1:1, v/v)을 추출용매로 하여 연속수증기증류추출(SDE)방법으로 추출하였다. 이들 성분을 GC의 Rl 및 GC/MS에 의해 확인 동정하였다. 신선초의 전초, 줄기, 잎의 생즙에서 각각 52종, 38종, 43종의 화합물이 분리 동정 되었다. 전초에서 분리 동정된 성분들은 탄화수소류가 25종으로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알코올류가 15종, 알데히드류가 3종, 에스테르류가 6종, 케톤류가 2종 그리고 산류가 1종 동정되었다. 신선초의 줄기에서도 전초에서 분리 동정되었던 성분들과 같은 화합물이 확인되었는데 탄화수소류가 20종, 알코올류가 14종, 에스테르류가 4종, 산류가 1종 확인되어 총 38종이 동정된 반면에 전초와 잎과는 달리 알데히드류와 케톤류는 동정되지 않았다. 신선초의 잎에서는 탄화수소류가 19종, 알코올류가 11종, 알데히드류가 4종, 에스테르류가 6종, 케톤류가 2종 그리고 산류가 1종이 확인되어 총 44종이 동정되었다. 신선초의 전초, 줄기 그리고 잎에서 ${\gamma}-Terpinene$과 germacrene B이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였으며, ${\delta}-3-carene$, cis-3-hexen-1-ol 그리고 ${\gamma}-elemene$도 다량 확인되어 이러한 화합물이 신선초에서 추출한 정유의 주요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신선초의 각 부위에서 분리 동정된 정유성분을 정량한 결과, 잎에 171.42 mg/kg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전초에 124.85 mg/kg, 줄기에 55.25 mg/kg가 함유되어 있었다. 신선초의 전초에서 분리 동정된 52종의 화합물에는 monoterpene hydrocarbon, sesquiterpene hydrocarbon과 이들의 유도체들인 terpenoid계 화합물이 40종 확인되었는데, 신선초 정유성분 중 terpenoid계 화합물이 전초, 줄기 그리고 잎에 각각 75.76%, 86.42%, 78.21%의 비율로 포함되어 이들이 신선초 생즙에서 추출한 정유성분의 주체로 간주되었다.

  • PDF

착즙방법에 따른 유자과즙의 향기 성분에 관한 연구 (Flavor Components of Citron Juice as Affected by the Extraction Method)

  • 정진웅;이영철;정승원;이경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09-712
    • /
    • 1994
  • 유자과즙 이용성 확대 방안의 일환으로 착즙방식에 따른 유자과즙의 향기성분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회전식 마쇄착즙, 압착식 및 벨트식 착즙방법을 사용하여 유자과즙을 착즙하였으며 이들 시료를 GC/MS로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벨트식 착즙방법에서 보다 많은 향기성분 peak가 확인되었고, 향기성분에 대한 회수함량도 벨트식에서 가장 많아 회전식 마쇄 착즙방식의 약 1.36배, 압착식의 약 1.59배 정도로 나타났다. 그 조성은 주로 limonene이 76.87%로 가장 높고 그 외에 ${\gamma}-terpinene$${\alpha}-terpinene$과 같은 탄화수소류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linalool의 비율도 타 착즙방식에 비하여 벨트식 착즙방식이 높게 나타났다.

  • PDF

Comparison of Pyrolytic Components in lamina and Midrib of Flue-Cured Tobacco Leaves

  • Lee, Jae-Gon;Jang, Hee-Jin;Kwag, Jae-Jin;Lee, Dong-Wook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6-183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volatile components of lamina(cutter group) and midrib of flue-cured tobacco leaves by two analytical methods, Curie-Point pyrolysis and Purge & Trap headspace technique. The pyrolysis of lamina and midrib part of tobacco leaves was performed at the temperature of $330^{\circ}C$, $650^{\circ}C$, and $920^{\circ}C$ by Curie-Point Pyrolyzer, and 33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pyrolyzates by GC/MSD. The composition of the components identified showed a quite difference between lamina and midrib. However, the amount of the pyrolyzed products from the both of lamina and midrib was increased with temperature increase except that of acetic acid, furfural, and nicotine.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including phenol, 4-methyl phenol, and 3-methyl phenol was higher in midrib than in lamina, while that of furan compounds such as 2,3-dihydrobenzofuran, 5-hydroxymethyl furfural, was high in lamina. Interestingly, acetamide, 2-propenamide and 3-acetoxy pyridine were not defected in the pyrolyzates of lamina. By Purge & Trap headspace technique, 28 volatile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both lamina and midrib. The composition of the identified compounds and their chromatograpic patterns also showed the complet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 content of solanone, $\beta$-damascone, $\beta$-damascenone, and megastigmatrienones, key components of tobacco aroma, was much higher in lamina than in midrib. The results indicate that lamina contains much more carbonyl compounds known to enhance the smoke taste of cigarette, whereas midrib takes nitrogenous and phenolic compounds, which are known to cause a deteriorate effect of smoke such as irri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