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basic nitrogen (VBN)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25초

활성탄과 정어리유의 급여가 계육의 VBN, TBARS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l Activated Carbon and Sardine Oil on the VBN, TBARS and Fatty Acid of Chicken Meat)

  • 김영직;박창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7-43
    • /
    • 2002
  • 활성탄 0.9%와 오메가 3 계열을 다량 함유한 정어리유를 급여수준(0, 1, 2, 4%)에 따라 5주간 급여한 후 도계하여 흉심부위와 대퇴부위를 냉장온도(4$\pm$1$^{\circ}C$)에서 10일간 저장하면서 VBN, TBARS, 지방산 조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VBN은 전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증가하였고(p<0.05), 처리구 사이에는 일정한 변화가 없었으며, 흥심부위와 대퇴부위간에는 흉심부위의 VBN이 더 높게 나타났다. TBARS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p<0.05) 대조구는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냈었으며, 전반적으로 대퇴부위가 흉심부위의 TBARS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계육의 주된 지방산은 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stearic acid이었다.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전체 처리구에서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약간 감소하고,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oleic acid, EPA, DHA의 함량이 높았다.

뽕잎 분말의 첨가 급여가 계육의 냉장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Mulberry Leaves Powder on Chicken Meat Quality Stored during Cold Storage)

  • 박창일;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84-189
    • /
    • 2012
  • 본 시험은 육계 사료에 뽕잎 분말을 급여수준에 따라 5주간 사육한 육계의 pH, TBARS, VBN, 가열감량, 보수성 및 육즙손실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뽕잎분말을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 뽕잎 분말 1% 급여구는 T1, 뽕잎 분말 2% 급여구는 T2, 그리고 뽕잎 분말 3% 급여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육한 후 10일간 냉장온도($4{\pm}1^{\circ}C$)에서 저장하면서 실험하였다. 계육의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증가하였고, 뽕잎 분말의 급여는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급여량이 증가할수록 다소 낮아졌다. TBARS와 VBN은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고, 뽕잎 분말 급여구에서 급여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결과로 뽕잎분말의 급여는 계육의 저장성을 개선하는 결과이었다. 가열감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였고, 처리구간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육즙손실은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뽕잎 분말의 급여는 육즙손실이 감소되는 경향이나 저장 7일과 10일에 유의성은 없었다(p>0.05). 결론적으로 뽕잎 분말 3%급여는 TBARS와 VBN이 감소되어 계육의 저장성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냉동고등어조미육의 가공에 관한연구 2. 냉동고등어조미육의 저장중 품질안정성 (Sutides on the Processing of Frozen Seasoned Mackerel Meat 2. Keeping Quality of Frozen Seasoned Mackerel Meat during Storage)

  • 이응호;김명찬;김진수;안창범;김복규;구재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7-114
    • /
    • 1990
  • The keeping quality of seasoned mackerel meat products during frozen storage were investi-gated for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mackerel as a food source. The pH and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s of products revealed a tendency to increase slightly during frozen storage,. Viable cell counts(1.5$\times$104-2.0$\times$104/g) and histamine contents(2.45-2.89mg/100g) were decreased during frozen storage. In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products polye-nes such as 22:6, 18:3, 20:4 and 20:5 were the maincomponents. From the results of chemical experiments and sensory evaluation the products could preserved with good quality during frozen storage(-$25^{\circ}C$) of 120 days.

  • PDF

오징어(Todarodes paxificus) 식해의 제조시 발효 온도 및 염도의 최적화 공정 개발 (Optimal Processing Conditions of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Sea Salt Concentration for Preparing Squid Todarodes paxificus Sikhae)

  • 한대원;김소라;임미진;조순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627-634
    • /
    • 2012
  • Squid Sikhae is traditional salt-fermented food in Korea. We evaluated the standardization of optimal processing conditions for desirable quality-controlled squid Sikhae using analyses of physiochemical properties, microbiological species, and organoleptic tests. Among several squid Sikhae preparation processes, the optimal fermentation temperature sun-dried sea salt concentration, and fermentation period for squid Sikhae of acceptable quality were $10^{\circ}C$, 4%, and 6 days, respectively. Amino-N and volatile basic nitrogen (VBN) contents of the acceptable quality squid Sikhae were 162.51 mg/100 g and 15.25 mg/100 g, respectively.

환경기체조절포장에 의한 자숙오징어의 Shelf-Life 연장 (Shelf-Life Extension of Cooked Squid Using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 양승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1-67
    • /
    • 2000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extension of shelf-life of cooked squid (Todarodes pacificus) using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The products were packed in a Ny/PE/LLDPE (0.015/0.045/0.040 mm) laminated film with air, vacuum, CO2 gas, and N2 gas, respectively, and then stored at 5$^{\circ}C$ and 2$0^{\circ}C$. Keeping qualities of the products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moisture content, H, volatile basic nitrogen (VBN), viable cell count,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peroxide value (POV) and color value. Good qualities of the products stored at 5$^{\circ}C$were maintained at least 9 days, 11 days, more than 35 days and 24 days in air, vacuum, CO2 gas and N2 gas packaging products, respectively. In cases of 2$0^{\circ}C$ storage, however, the shelf-lives of all the products were only one day. The shelf-life extension of the products were observed in CO2 ga>N2 gas>vacuum>air packaging in order.

  • PDF

병원의 냉장저장급식제도를 위해 조리된 완자전의 냉장저장 중 이화학적 성분변화 (Physicochemical Changes of Wanja-jeon during Cold Storage for Hospital Cook/Chill Foodservice System)

  • 임양이;김혜영;강태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221-1227
    • /
    • 1997
  • To measure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cal quality of Wanja-jeon(Korean pan fried meat balls)was investigated during storage in a simulated hospital cook/chill foodservice system. The Wanja-jeon was cooked and stored for 4 weeks in chill conditions of 2 and 7$^{\circ}C$ and then reheated in the microwave oven. Moisture, protein, and fat contents were decreased little during 4 weeks storage at 2 and 7$^{\circ}C$. Total unsaturated fatty acids(TUFA)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PUFA) increased slightly at 7$^{\circ}C$ storag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s were reduced after 4 weeks of storage, while total amino acids were affected little during chilled storage. However, volatile basic nitrogen(VBN) increased during the 4 weeks storage from 11.2mg%, immediately after cooking, to 14.1~14.2mg%. After reheating, thiobarbituric acid(TBA) value increased more significantly to 0.19 and 0.20.

  • PDF

오징어 조미젓갈의 품질유지기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helf-life of Seasoned and Fermented Squid)

  • 김동수;김영명;구재근;이영철;도정룡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3-20
    • /
    • 1993
  • 오징어 양념젓갈의 저장조건에 따른 적정 저장기한을 설정하기 위하여 선도가 양호한 오징어를 원료로 하여 상법에 따라 양념젓갈을 제조하고 이를 $10^{\circ}C,\;20^{\circ}C$$30^{\circ}C$에 저장하면서 저장중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pH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계속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큰 폭으로 감소한 반면 VBN, TMA 및 $NH_3-N$의 변화는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폭이 컸다. 저장중의 외관, 냄새, 맛 등의 관능검사와 몇가지 이화학적 검사를 토대로 하여 적정유통기한을 조사한 바 $10^{\circ}C$는 25일, $20^{\circ}C$는 7일 그리고 $30^{\circ}C$는 3일 정도였으며, 관능검사결과와 몇가지 성분의 상호회귀방정식과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pH와 VBN, 냄새와 VBN, 맛과 $NH_3-N$ 등은 상관계수가 0.8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하여 계산된 오징어 양념젓갈의 저장온도별에 따른 시간당 품질변화율은 $30^{\circ}C$는 0.0138, $20^{\circ}C$는 0.00595 그리고 $10^{\circ}C$는 0.00166으로 나타나 유통조건에 따른 품질의 변화수준을 계산할 수 있었다.

  • PDF

쑥 분말의 급여가 계육의 저장기간 중 VBN, TBARS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Mugwort Powder on the VBN, TBAR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hicken Mea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박창일;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05-511
    • /
    • 2008
  • 본 시험은 육계병아리(Arbor Acare, male) 160수를 6주간 사양하면서 쑥 분말을 후기 3주 동안 급여한 후 도계한 계육을 분석하였다. 쑥을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로하고, 1% 급여구를 T1, 3% 급여구를 T2 그리고 5% 급여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가슴살과 다리살을 진공 포장하여 냉장온도($4{\pm}1^{\circ}C$)에서 4주 동안 저장하면서 계육의 일반성분, VBN, TBARS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가슴살의 일반성분 중에 수분, 조단백질, 조섬유는 유의성이 없으나, 조지방은 대조구와 T1보다 T2, T3에서 낮은 함량을 보였다(p<0.05). VBN은 가슴살과 다리살 모두 대조구보다 쑥 급여구에서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다(p<0.05). TBARS는 처리구간에 있어서 0주에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가슴살과 다리살 모두 대조구와 T1보다 T2와 T3에서 낮은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3주까지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한 후 4주에는 감소하는 결과이었다. 쑥 분말을 급여함에 따라 가슴살은 T2에서 stearic acid가 대조구와 차이가 없으나, stearic acid와 oleic 함량이 낮았고, linoleic acid는 높았으며, 다리살의 stearic acid는 대조구보다 T1, T2 및 T3에서 낮은 함량을 보였고, linoleic acid는 대조구보다 쑥 급여구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쑥을 급여하면 stearic acid는 감소하고, linoleic acid는 증가하여 포화지방산은 감소하고 불포화 지방산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본 실험 결과 닭에게 5%의 쑥 분말을 급여하면 지방함량을 줄여주며, 단백질의 분해를 지연시키고 지방 산화를 억제시켜 주며, 포화지방산은 감소되고 불포화지방산은 증가되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전복내장 젓갈의 제조 및 품질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Haliotis Discus Hannai Ino (abalone) viscera Jeotgal, a Korean fermented seafood)

  • 이정뢰;김보섭;강성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8
    • /
    • 2014
  • 본 연구는 전복내장을 이용하여 젓갈을 제조과정 중 이화학적 변화와 제조된 젓갈의 품질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전복내장의 영양학적 성분을 분석한 결과 탄수화물, 단백질 및 미네랄이 풍부하여 젓갈발효에 우수한 성분특성을 갖고 있었다. 젓갈 발효중 pH는 경시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염도가 pH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휘발성염기질소함량은 발효중 염농도에 따라 현저한 영향을 받았으며 고염발효의 경우 저염발효에 비하여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이 현저하게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발효중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염농도가 낮을수록 높은 값을 보였으나 염농도에 따른 변화는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발효과정중 protease 활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 고염에서 활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발효 30 일경 최고 활성을 보였다. 전복내장과 발효 전복내장젓갈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젓갈 중 7종의 아미노산이 내장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26 종의 아미노산이 높게 나타났다. 전복내장 젓갈의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62.75 mg/g 으로 전복내장 30.37 mg/g에 비하여 약 2배 증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색과 종합기호도에서 우수하였으며 상품화를 위해서는 맛과 향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복내장젓갈에 대한 최초의 연구논문으로 향 후 타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Adding Urea and Molasses on Napiergrass Silage Quality

  • Yunus, M.;Ohba, N.;Shimojo, M.;Furuse, M.;Masuda, 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1호
    • /
    • pp.1542-1547
    • /
    • 2000
  • To standardize proper formulation of urea and molasses, the former to increase crude protein content of tropical grass and the latter for improving its silage quality, we examined the fermentation quality of silage of fresh and wilted napiergrass (Pennisetum purpureum Schumach) with different levels of urea and molasses with or without lactic acid bacteria (LAB). Silage was made of napiergrass with conditions of fresh young (Exp. 1),young wilted for half day (Exp. 2) and fresh mature (Exp. 3). Chopped plant materials of about 1cm length were ensiled into a laboratory silo and incubated for one month at $25^{\circ}C$. The treatments were the combination of 0, 0.2 and 0.6% of urea and 0, 2 and 5% of molasses (fresh material basis) with or without LAB inoculation. After opening the silo, pH, organic acids, volatile basic nitrogen (VBN) and total nitrogen (TN) were determined. Addition of molasses significantly (p<0.01) lowered pH values in three experiments. Though molasses addition increased lactic acid production even at a higher level of urea, pH values at 0 and 2% molass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urea in fresh and wilted young silages, but in fresh mature silage it occurred only when molasses was not added. VBN/TN at 0.6% urea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by the highest molasses in three experiments. Significant increases in TN by the increasing of urea addition were observed at all levels of molasses in wilted young and fresh mature silages. In conclusion, a combination of 5% molasses and 0.6% urea could improve the nutritive and fermentation qualities of napiergrass silage under young, wilting and mature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