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satisfaction

검색결과 632건 처리시간 0.024초

미술관 시니어 프로그램의 효과 측정 방법 연구 (Measuring Effects of Senior Programs in Art Muiseums)

  • 권은용
    • 트랜스-
    • /
    • 제7권
    • /
    • pp.49-80
    • /
    • 2019
  • 문화와 예술이 건강하고 행복한 노년을 영위하기 위한 중요한 요인이라는 논의가 확대되면서 문화예술기관의 사회적 참여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미술관 역시 공공의 목적을 위해 운영되는 문화예술기관이자 사회교육기관으로서 고령화 사회의 문제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해왔다. 국내 미술관 시니어 프로그램이 자리 잡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부터로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프로그램의 의의와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지만, 그 성과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는 연구와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2013년에 발표된 Museum Wellbeing Measure Toolkit을 사용하여 시니어 프로그램의 복지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서비스 품질 연구 모형을 활용하여 프로그램 구성요소와 복지효과, 만족도, 재참여의사 상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프로그램 구성요소의 세부항목들과 복지효과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을 위한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했다. 시니어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는 것은 미술관의 공익과 사회적 역할을 입증하는 자료가 되는 동시에,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질적 제고에 기여하고 프로그램의 평가와 개선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 PDF

유착성 관절낭염에 대한 침 및 신경차단술 처치의 임상적 관찰 (Clinical Observation of Acupuncture and Nerve Block Treatment for Adhesive Capsulitis Patients)

  • 남동우;임사비나;김종인;김건식;이두익;이재동;이윤호;최도영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143-155
    • /
    • 2007
  • Objectives: To observe the effect of acupuncture and nerve block combination treatment on adhesive capsulitis patients. Methods : 59 voluntary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cupuncture treatment group(E group, n=22), nerve block treatment group(W group, n=17) and acupuncture and nerve block combination treatment group(EW group, n=20). The E group received acupuncture treatment on LI15, $TE_{14}$, $GB_{21}$ and Master Dong's acupuncture points, Shin-gwan and Gyun-joong, twice a week for 4 weeks. The W group received suprascapular nerve block, subacromial injection and trigger point injection, twice a week for 4 weeks. The EW group received the same treatment as the W group and after 5minutes of rest, successively received the treatment identical to that of E group. All three groups were instructed to practice groups were instructed to practice self exercise during their daily lives. Evaluations were made before treatment and after 1, 2, 3 and 4week treatment. Constant Shoulder Assessment(CSA),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SPADI), Range of Motion(ROM), the patient's treatment satisfaction measured by Visual Analogue Scale(VAS) and Digit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DITI) were used as assessment tools. The obtained data were analyzed and compared. Results : The 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p<0.05) on CSA, SPADI, VAS and DITI. As for ROM, Adduction and Extension improved significantly(p<0.05). The W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p<0.05) on CSA, SPADI, VAS and DITI. As for ROM, Abduction and Extension improved significantly. The EW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p<0.05) on CSA, SPADI and VAS. As for ROM, Adduction, Abduction, Extension and Flexion improved significantly. The improvement of CSA, VAS and Abduction ROM in the EW group was significantly(p<0.05) superior compared to the groups treated with single type of treatment. Conclusion : It is suggested that acupuncture and nerve block combination treatment for adhesive capsulitis patients is more effective than the two single treatments. Through further studies, the acupuncture and nerve block combination treatment model may be developed into East-West Collaboration Model in treating adhesive capsulitis.

  • PDF

패널형 입면녹화의 시각적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Satisfaction of a Panel-type Facade Planting)

  • 한승호;김선혜;송규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53-59
    • /
    • 2008
  • 도시가 산업화 되어가면서 도심의 토지이용이 과밀화되고 건축물의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건축물 녹화가 옥상 및 벽면을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조성되고 있으며, 입면녹화의 경우 건물이 고층화 되면서 입면적이 넓어 벽면녹화가 도심에서 효과적인 녹화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패널타입의 녹화수법은 조기 녹화와 설치 시공의 편리함으로 점차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패널타입에 대 한 연구는 대부분 식생 하부 시스템이나 관수시스템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경관 중심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널형 입면녹화의 경관평가를 통하여 선호요소를 추출하고자 한다. 설문은 패널형 입면녹화가 설치된 장소의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직접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자연스럽다는 형용사에서 3.80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났다. 이는 옹벽이나 건축물 벽면이 드러나는 것보다 녹화를 하는 것이 이용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음으로 친근한(3.70), 편안한(3.65), 아름다운(3.65), 안정감 있는(3.50)가 긍정적인 경관이미지로 나타났다. 반면 정적인, 적막한, 소박한, 무거운, 우중충한, 어두운, 지저분한의 부정적 경관 이미지가 나타났는데, 이는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패널형 입면녹화의 개발과 보급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운동 중 피드백 방식 연구 - 근력 운동에 대한 멀티 모달 피드백 적용을 중심으로 - (Desigining a Feedback for Exercises Using a Wearable Device)

  • 유현진;맹욱재;이중식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3-30
    • /
    • 2016
  • 현재 피트니스 트래커(fitness tracker)시장은 유산소 운동에만 초점을 맞춰 근력 운동 분야는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다. 최근 근력 운동 피트니스 트래커가 소수 출시되고 있으나, 운동 상황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여 사람-기기 간 인터랙션에 불편함을 초래한다. 특히, 운동 중에는 신체의 움직임이 활발하므로, 손으로 기기를 휴대하거나 기기를 조작하는 상황은 사용자에게 부정적 경험을 유발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항시적인 착용이 가능하므로, 손과 발의 사용이 자유로워 운동 중 피드백 제공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피드백을 감각하게 함으로써, 운동 수행자가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 세 가지 연구 문제를 검증하였다. 1) 운동 상황에서 필요한 정보는 무엇인가? 2) 근력 운동 중, 어떤 감각 피드백이 선호되는가? 3) 근력 운동 중, 감각 피드백의 가치는 무엇인가? 그 결과, 첫째, 운동 수행자는 운동 단계 중, '운동 중'에 해당하는 정보가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페이스 조절(횟수 카운팅, 동기 부여)'과 '자세 지도(문제점 진단, 자세 교정)'에 해당하는 정보를 가장 필요로 하였다. 둘째, 운동 중 선호되는 감각 피드백에 대해서는 청각 피드백, 촉각 피드백, 시각 피드백 순으로 만족도가 높았으며, 운동 강도가 높을수록 감각 피드백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았다. 셋째, 감각 피드백과 기기 피드백의 가치에 대해 비교한 결과, 기기 피드백과 사람이 제공하는 피드백에 대한 만족도, 유용성, 효용성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근력 운동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감각 피드백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감각 피드백이 사람이 제공하는 피드백을 대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도시적 인간상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Human Being in the Contemporary Society)

  • 박성원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4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53-561
    • /
    • 2004
  • 20세기 이후 우리의 경우는 숨가쁘게 유입되는 세계문화와 기존 우리 문화와의 소화 불량적 만남으로 혼돈의 문화를 이룩하였으며, 반도체 수출이나 IT산업에 있어서, 최강의 기술력 보유국(保有國)이라는 자리를 점유하면서도 공허한 심정을 떨칠 수 없게 되었다. 그러한 한국의 현대사와 동시대적 상황 가운데 작금의 현실을 살아가는 우리들은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서 혼돈과 현기증을 복합적으로 체감하게 된다. 대중화(大衆化), 소비화(消費化)된 사회는 경제력 향상을 초래(招來)하였으나 그 출발은 익명(匿名)의 대중출현에 의해 가능했으며, 군중(群衆) 속에서의 고독, 소외(疏外), 익명성(匿名性), 몰개성성(沒個性性), 문화의 상품화(商品化) 등의 삶을 동반하고 있다. 본인의 작품에는 이와 같은 사회 현상(現想)들이 도시적 인간상을 통해 드러난다. 소비문화에 노출된 채 그것이 내뿜는 시각 이미지와 유혹에 포위되어 살아가는 인간은 끊임없는 소유욕(所有慾)에 둘러싸여 자신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모든 것을 공간 안에 가둔다. 이들은 몰개성화된 모습으로, 때로는 동물인지 사람인지 알아볼 수 없는 형상으로 도시의 공간에 존재한다. 이는 산업화된 도시의 파괴되어가는 자연 환경을 고발하기 위한 하나의 상징체(象徵體)로서 인간의 소유욕(所有慾)안에 속해있는 제 3의 존재이며 도심속에 갇혀 사는 우리들의 초상화(肖像畵)인 것이다. 본인은 위와 같은 형상을 통하여 현대 도시문명의 현실 속을 살아가는 인간의 객관적 삶과, 익명성(匿名性)에 묻혀 표현되지 못한 욕구와 감정의 대립을 분석해 봄으로써 우리들이 가져야 할 자생성(自生性)과 정체성(停滯性)을 제시하고자 한다.eferences.촉진, 중요 연구 주제의 도출 및 연구 진행 계획을 수립하고, 국제적 산학 협력 강화를 통해 공동 연구를 도출하는 자리를 마련함. $\textbullet$본 학술회의에서 발표된 논문들을 취합하여, 논문집 및 CD-ROM을 제작하여 세계적 수준의 연구 결과를 알리고 이 분야에 관련된 학문, 기술 발전에 큰 도움이 됨.emove effectively radioactivity with in Adsorbent. As cleaning heavy water adsorbent and drying on each condition (temperature for drying and hours for cleaning). Because there is something to return heavy water adsorbent by removing impurities within adsorbent when it is dried o high temperature. After operating, we have been applying this research to the way to dispose heavy water adsorbent. Through this we could reduce solid waste products and the expense of permanent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 products and also we could contribute nuclear power plant run safely. According to the result we could keep the best condit

  • PDF

대명사의 성별단서와 선행어 격이 참조해결의 즉각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ender Cue and Antecedent Case on the Immediacy of Pronominal Resolution)

  • 이재호
    • 인지과학
    • /
    • 제4권1호
    • /
    • pp.51-86
    • /
    • 1993
  • 대명사의 성별단서와 선행어의 격이 참조해결에 즉각적으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선행어의 점화효과를 시간경과에 따라 측정한 세개의 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1은 성별단서와 선행어 격에 따라서 선행어의 활성화 수준이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자율조절읽기과제를 실시하면서 대명사 직후와 문장 마지막 위치에서 선행어에 대한 탐사재인과제를 실시하였다. 선행어의 활성화 수준은 성별단서나 선행어 격의 영향을 받지않았으며, 그것의 수준은 대명사 직후에서 문자의 마지막까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실험2에서는 RSVP(rapid stimulus visual presentation) 방법을 사용하여 300msec에서 단위로 맥락글을 제시한후에 대명사 제시후 시간경과 0와 250msec에서 선행어와 비선행어에 대한 탐사재인과제를 실시하였다. 대명사의 성별단서가 명료한 경우에는 선행어가 비선행어에 비해서 탐사재인이 빨랐다. 시간경과 0mesc에서는 성별단서의 효과가 두드러졌으며, 시간경과 250msec에서는 선행어의 격효과가 두드러졌다. 조건에서 선행어의 격효과를 시간경과 250과 750msec에서 탐사재인과제를 실시하였다. 선행어가 주격인 조건이 선행어가 목적격인 조건에 비해서 점화효과가 많았다. 세개의 실험에서 나타난 결과는 대명사의 선행어 할당이 즉각적으로 일어난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였다. 그렇지만 선행어 할당이 즉각적으로 일어나기 위해서는 먼저 대명사의 성별단서가 일차적으로 선행어 할당에 작용하며, 그다음에 선행어의 격효과가 순차적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퇴행성 요추 질환에서 후방경유 추체간 유합술과 360° 고정술의 비교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Versus 360° Fixation in Degenerative Lumbar Diseases)

  • 이녹영;오성훈;이우택;배재성;이형중;김영수;고용;김광명;오석전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0호
    • /
    • pp.1193-1199
    • /
    • 2001
  • Objectives : The goal of operation for degenerative lumbar diseases is to relieve radiculopathy and low back pain and to prevent further degeneration. The authors analyzed the surgical results of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PLIF) and $0^{\circ}$ fixation to evaluate the proper treatment policy in spinal stenosis,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and low grade isthmic spondylolisthesis. Material and Methods : The authors performed PLIF on 92 patients and $0^{\circ}$ fixation on 138 patients with spinal stenosis,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and low grade isthmic spondylolisthesis. We retrospectively studied clinical outcomes and subjective satisfaction of these patients by several criteria such as visual analog scale(VAS), Prolo's economic and functional outcome scale, medication usage after operation and questionaire for overall outcome. Result : Pre- and postoperative VAS on back pain and leg pain showed decrease of pain from 6.5, 6.7 to 2.2, 2.4 in PLIF group and from 7.0, 7.2 to 2.5, 2.7 in $0^{\circ}$ fixation group. Excellent and good outcomes on Prolo's scale were 81.5% in PLIF group and 82.6% in $0^{\circ}$ fixation group. Medication usage after operation was reduced in 79.3% of PLIF group and in 78.3% of $0^{\circ}$ fixation group. Patients' self-reported overall success of their procedure showed 82% in PLIF group and 84% in $0^{\circ}$ fixation group. Conclusion : Both PLIF and $0^{\circ}$ fixation showed good outcomes and provided biomechanically stable fusion in spinal stenosis, degenerative spondylolisthesis and low grade isthmic spondylolisthesis. Therefore, only PLIF seems necessary and considered a proper surgical treatment for these disorders.

  • PDF

S.E.R.I. 수술법을 이용한 소건막류의 치료 (Treatment of Bunionette Deformity with S.E.R.I. (simple, effective, rapid, inexpensive) Operation)

  • 김선용;박광환;이진우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5-30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the S.E.R.I. (simple, effective, rapid, inexpensive) operation for the bunionette deformit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05 and February 2009, 22 patients (26 feet) who had been treated for the bunionette deformity with minimally invasive osteotomy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Clinically, Visual Analogue Scale (VAS),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shoes selectivity, disappearance of callus and patient's satisfaction level by Coughlin scoring system were evaluated. Radiologically, the bunionette was classified as four types according to the Fallat classification. The 4-5$^{th}$ intermetatarsal angle (4-5$^{th}$ IMA), the 5$^{th}$ metatarsophalangeal angle (5$^{th}$ MPA) and the length of 5th metatarsal bone (5$^{th}$ MTL) were analyzed at preoperatively and at final follow up visit. Results: VAS improved from $6.8{\pm}1.8$ points to $2.2{\pm}1.8$ points (p<0.05). AOFAS score improved from $54.0{\pm}14.2$ points to $90.0{\pm}4.8$ points (p<0.05). There was no change in shoes selectivity. 9 feet (34.6%) were satisfied with excellent results, 16 feet (61.5%) with good results and 1 foot (3.9%) with fair results. The average 4-5$^{th}$ IMA was corrected from $10.1{\pm}2.3^{\circ}$ to $4.4{\pm}1.7^{\circ}$ (p<0.05). The average 5$^{th}$ MPA was corrected from $11.5{\pm}8.6^{\circ}$ to $-0.1{\pm}4.1^{\circ}$ (p<0.05). The average 5$^{th}$ MTL was changed from $66.1{\pm}4.3$ millimeters to $64.1{\pm}4.4$ millimeters (p=0.069). There was no malunion, nonunion or delayed union and other perioperative complications. Conclusion: S.E.R.I. operation is less invasive and easy technique. This procedure is recommendable for the treatment of the bunionette deformity.

후과 골절을 동반한 Lauge-Hansen 회내-외회전형 4단계 족관절 골절에서 원위 경비인대 결합 손상에 대한 원위 경비 나사 고정술과 후과 고정술의 결과 비교: 수술 1년째 추시 결과 (Results of Syndesmotic Screw Fixation versus Posterior Malleolus Fixation in Syndesmotic Injury at Pronation External Rotation Stage IV Ankle Fracture with Posterior Malleolus Fracture: Postoperative One Year Follow-up)

  • 박세진;정화재;신헌규;서동석;최영민;김유진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9-35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s of syndesmotic screw fixation and posterior malleolar fixation for syndesmotic injury in Lauge-Hansen classification pronation-external rotation (PER) stage IV ankle fractures with posterior malleolus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We designed a retrospective study that included patients with Lauge-Hansen classification PER stage IV ankle fracture with posterior malleolus fracture. Of 723 patients who underwent ankle fracture surgery from March 2005 to November 2012, 29 were included in this study. In this study, syndesmotic injury was treated with syndesmotic screw fixation or posterior malleolus fixation. There were 15 cases of syndesmotic screw fixation and 14 cases of posterior malleolar fixation. We compared the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s at one year postoperatively. Posterior malleolus fragment size on a pre-operative computed tomographic image, and tibiofibular overlap, medial clear space, articular step-off, Kellgren-Lawrence grade, and Takakura classification on a postoperative one year followup radiograph were used for comparison of the radiologic results. The clinical results were assessed using the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score, visual analogue scale score, and patient subjective satisfaction score. Results: Posterior malleolar fragment size was $12.62%{\pm}3.01%$ of the joint space in the syndesmotic screw fixation group and $27.04%{\pm}4.34%$ in the posterior malleolar fixation group. A statistical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other results, including tibiofibular overlap, medial clear space, articular step-off, Kellgren-Lawrence grade, Takakura classification, and clinical scores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Conclusion: In the Lauge-Hansen classification PER stage IV ankle fracture with posterior malleolus fracture, if the posterior malleolus fracture can be reduced anatomically and fixated rigidly, syndesmotic screw fixation, which can cause several complications, is usually not required for achievement of a satisfactory syndesmotic stability; this would be a recommendable option for treatment of syndesmotic injury.

관절외 배부 폐쇄 쐐기 절골술을 이용한 Freiberg병의 치료 결과 (Outcome of Extraarticular Dorsal Closing Wedge Osteotomy for Freiberg's Disease)

  • 이준영;김웅희;정성;양성훈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26-130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ult of extraarticular dorsal closing wedge osteotomy in Freiberg's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February 2012 and July 2014, total 10 patients who underwent dorsal closing wedge osteotomy and followed up more than 1 year were selected for inclusion. Average age was 16.3 years, and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5.5 months. The diagnosis was made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ose with a limitation in walking or usual activity due to pain in the metatarsal head. During operation, we removed loose body, and synovectomy was done. Osteotomy at the metatarsal neck and fixation with Kirschner wire were performed. X-ray was taken to check shortening of 2nd metatarsal and bone union. Moreover, we checked the active range of motion of 2nd metatarsophalangeal joint before and after surgery. At the last follow-up, the shortening of metatarsal,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patient's subjective satisfaction were evaluated. Results: According to the Smillie's stage, there were 3 cases of stage II, 4 cases of stage III, and 3 cases of stage IV. Average bone union time on the osteotomy site was 8 weeks. Average shortening of metatarsal was 2.53 mm. Average AOFAS score improved significantly from 56.9 to 82.8 points at final follow-up (p<0.05), and average VAS score also improved significantly from 6.4 to 1.4 points at final follow-up (p<0.05). Average active range of motion at metatarsophalangeal joint improved from $28.0^{\circ}$ preoperatively to $46.5^{\circ}$ at the final follow-up. Other complications, such as metatarsalgia and arthritis, were not found; however, there was 1 case of delayed union with no symptom. Conclusion: In Freiberg's disease, dorsal closing wedge osteotomy is recommended for the improvement of clinical symptoms and range of 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