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cera oil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2초

어유의 효소적 에탄올화 반응 특성 (Fish Oil Variation during Enzymatic Ethanolysis)

  • 신상규;류홍석;박현덕;전병수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4호
    • /
    • pp.311-316
    • /
    • 2006
  • Enzymatic ethanolysis of fish oil with immobilized lipase was investigated for reducing the free fatty acid contents and enhancing the function of fish oil. Ethanolysis reactions were carried out in erlenmeyer flask (25ml) containing a mixture of squid viscera oil and 99.9% ethanol using 1% (based on w/w squid viscera oil) immobilized lipase. The reaction mixtures were incubated at $50^{\circ}C$ and shaken at 100rpm. Ethanol was added into the mixture by stepwise addition method of Shinmada[9]. Measurement of free fatty acid molar amounts was studied by Acid Value. Tendency of oil variation during transesterification was studied by TLC method. Enzymatic ethanolysis composed diglyceride, monoglyceride and fatty acid ethyl ester with reducing free fatty acid contents. Also, selective ethanolysis by Lipozyme TL-IM and Lipozyme RM-IM mostly did not react at the sn-2 position of squid viscera oil. Lipozyme RM-IM was more suitable enzyme to reduce the free fatty acid contents by ethanolysis than Lipozyme TL-IM. Squid viscera oil was transformed into suitable properties (5 in Acid Value) for functional fish oil production.

  • PDF

말쥐치 내장유의 정제 및 이용에 관한 연구 1. 말쥐치 내장유의 정제 (Studies on the Refining and Utilization of Filefish Viscera Oil 1. The Refining of Filefish Viscera Oil -)

  • 강훈이;대도해명;소천천추;김동연;이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5-180
    • /
    • 1992
  • 말쥐치 가공 중 폐기되고 있는 말쥐치 내장중의 지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탈검, 탈산, 탈색 및 탈취 등 말쥐치 내장유의 정제조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말쥐치 내장유 100$m\ell$에 대하여 4% 옥살산을 20$m\ell$ 첨가하고 이어서 6$0^{\circ}C$에서 15분간 교반하여 탈검한 다음 이것에 4M의 알칼리 용액을 계산량 보다 0.5% 과잉으로 첨가한 후 6$0^{\circ}C$에서 30분간 탈산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탈산처리한 말쥐치 내장유의 10%에 해당하는 산성 백토를 첨가하고 감압하에 6$0^{\circ}C$에서 20분간 탈색 처리한 후 압력을 4 torr 이하로 유지하면서 수증기 증류법으로 18$0^{\circ}C$ 에서 60분간 처리한 말쥐치 내장유가 물리, 화학적 성상이 가장 우수하였다.

  • PDF

오징어 내장유의 에스테르화 반응물질 분석 및 특성 연구 (Study for Alanalysis and Characteristics of Squid Viscera Oil During Transesterification)

  • 노명균;;전병수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55-159
    • /
    • 2007
  • Ethanolysis of squid viscera oil with immobilized lipase was investigated for reducing the free fatty acid contents and enhancing the function of the oil by stepwise addition method of Shinmada[1]. Tendency of oil variation during Ethanolysis showed increased content of diglyceride, monoglyceride and fatty acid ethyl ester with reduced free fatty acid contents. The oil composition was analyzed using GC-FI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ethanolysis. Structural analysis of the lipid was performed by HPLC-UV spectrophotometer during ethanolysis. The transformed oil was thought to has suitable properties for functional oil production.

  • PDF

The Storage Property of Squid Viscera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 Lee, Min-Kyung;Yoo, Hong-Suk;Pack, Hyun-Duk;Chun, Byung-Soo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5-59
    • /
    • 2007
  • The oil and concentrated protein powder from squid viscera was extracted and recovered by a semi-batc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O_2$) extraction system and the degree of oxidation in the extracted oil was measured in order to compare with extracted oils using organic solvents. The degree of storage in treated squid viscera by $SCO_2$ extraction was measured in order to compare with untreated squid viscera. As results obtained, it was found that the auto-oxidation of the oils using $SCO_2$ extraction occurred very slowly compared to the oils by organic solvent extraction. And the treated squid viscera by $SCO_2$ extraction was reached the point of initial rottenness slowly than untreated squid viscera.

  • PDF

말쥐치 내장유의 정제 및 이용에 관한 연구 2. 말쥐치 내장유의 이용 (Studies on the Refining and Utilization of Filefish Viscera Oil 2. Utilization of Filefish Viscera Oil)

  • 강훈이;대도해명;소천천추;김동연;이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1-186
    • /
    • 1992
  • EPA 및 DHA 함량이 높으면서 폐기되고 있는 말쥐치 내장유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정제한 말쥐치내장유를 정어리 및 명태고기풀에 각각 첨가하여 어묵의 품질개선을 시도하였고 아울러 저장중 품질안정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고도불포화지방산을 다량함유하고 있는 말쥐치내장유의 첨가로 인해 어묵의 지질은 고기풀의 지질에 비하여 5~6% 증가하여 지질산패가 우려되나, 대두단백, 물 및 말쥐치내장유로 유화커어드 (emulsion curd)를 만들어 고기풀에 첨가함으로 인해 산소와의 접촉 기회를 줄이면서 항산화제인 sodium erythorbate를 첨가하고 저온으로 저장하기 때문에 대두유로 만든 어묵과 비교하여 지질산패도는 높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말쥐치 내장유를 첨가한 어묵의 조직감은 첨가하지 않은 어묵에 비하여 개선되었고 또한 저장중에도 안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고도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영양학 및 생리학적 기능이 우수하면서 튀김유 등으로 소비가 곤란한 정제 말쥐치내장유를 저온저장 식품인 어묵, 어육소시지 등에 일정량 첨가하여 제조한 후 일상식으로 섭취한다면 폐기되는 말쥐 내장의 효율적인 이용과 동시에 국민보건 향상에도 기여하리라 판단된다.

  • PDF

에스테르 교환반응과 흡착제를 이용한 오징어 내장유의 품질 개선 (Study for Improving Properties of Squid Viscera Oil Using Transesterification and Adsorption)

  • 노명균;;전병수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257-262
    • /
    • 2007
  • Squid viscera oil was investigated by pretreatment method for enhancing the commercial value. Transeterification was performed to reduce rancidity of the oil, off-flavor was removed by using activated carbon adsorption. Analysis using ATD (Automatic Thermal Desorber) and GC/MG shows the efficacy of off-flavor removement. The rates of Transesterification employing inorganic catalyst and biocatalyst were tested, respectively. With stepwise addition of ethanol, the most efficiency of the reaction was achieved by inorganic catalyst. The efficiency of the reaction was estimated by acid value corresponding to rancidity of reaction product.

  • PDF

오징어 내장유를 이용한 어육버거의 품질개선 (Quality Improvement in Fish Burger by Addition of Squid Viscera Oil)

  • 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4호
    • /
    • pp.318-322
    • /
    • 1997
  • 오징어 내장유를 식용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서 젤라틴, 물 및 정제 오징어 내장유로 형성된 유화물의 첨가에 의한 어육버거의 품질개선을 시도하였다. 과산화물값, 갈변도, 헌터색조, 젤리강도 및 관능검사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고등어버거의 기능성 개선을 위한 유화물의 적절한 첨가량은 마쇄한 고등어육에 대하여 6%로 판단되었다. 채육한 고등어육에 대하여 6%에 해당하는 유화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고등어버거는 휘발성 염기질소, 총균수 및 히스타민함량이 각각 19.0 mg/100g, $6.2{\times}10^4CFU/g$ 및 50.7 mg/100g으로 그 함량이 낮아 식품위생적으로 안전하다고 판단되었다. 유화물 첨가 고등어버거의 포화산에 대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1.13이었다. 색조, 젤리강도, 지방산조성 및 관능검사를 측정한 결과 유화물 첨가에 의해 고등어버거의 색조, 조직감 및 지질의 기능성을 일부 개선할 수 있었다.

  • PDF

오징어 내장유의 정제 (Refining of Squid Viscera Oil)

  • 하진환;이응호;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4호
    • /
    • pp.294-300
    • /
    • 1997
  • 수산가공 부산물을 식용자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서 오징어 내장유의 정제조건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오징어 내장유 100ml에 대하여 인산 3ml를 첨가하고 $60^{\circ}C$에서 30분간 교반하여 탈검한 다음 이것에 20% 수산화나트륨을 0.6% 과잉첨가한 후 탈산처리 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탈산유에 대하여 10%에 해당하는 활성백토를 가한 후 감압하에 $100^{\circ}C$에서 20분간 탈색처리한 후 압력을 4torr 이하의 감압하에서 수증기증류법으로 $180^{\circ}C$에서 60분간 처리한 오징어 내장유가 물리, 화학적 성상이 가장 우수하였다. 정제유의 산값, 과산화물값 및 색도는 각각 0.20, 0.8 meq/kg 및 0.019이었다. 정제유의 포화지방산에 대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1.28이었고, 주요 구성 지방산은 16 : 0, 18 : 1n-9, 20 : 5n-3 및 22 : 6n-3 등으로 기능성이 우수하였다.

  • PDF

한국산(韓國産) 고등어의 Vitamin A 분포(分布) 및 시기적변화(時期的變化)에 대하여 (The Seasonal Variations of the Oil Content and Vitamin A Distribution of Mackerel Caught in Korea)

  • 이응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권
    • /
    • pp.15-24
    • /
    • 1965
  • 건착망(巾着網)에 의(依)해, 어획(漁獲)된 한국산(韓國産) 고등어(중형(中型)) 제장기(諸臟器)의 vitamin A 농도(濃度) 및 분포(分布)의 시기(時期)적(的)변화(變化)와 내장유성상(內臟油性狀)을 어기중(漁期中)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식선발달(生殖腺發達) 최성기(最盛期)라고 생각되는, 6월초순(月初旬)에 간장중량(肝臟重量)도 급격히 증가(增加)하여, 최고(最高)에 달(達)했는데 이는 영양(榮養) 및 생리적(生理的)인 현상(現象)으로서, 산란기(産卵期)의 체내(體內) 에너지 평형상태(平衡狀態)를 바로잡기 원해 간장실질(肝臟實質)이 급히 증량(增量)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2. 간유(肝油)의 vitamin A 농도(濃度)는, 자웅(雌雄) 모두 7월중순경(月中旬頃)에 최고(最高)였다. 함유율(含油率)과 Vitamin A농도(濃度) 사이에는 대체(大體)로 반대(反對)되는 경향(傾向)을 찾아볼 수 있었다. 3. 유문수유(幽門垂油)의 vitamin A 농도(濃度)는 7월하순(月下旬)에 최고(最高)였고, 함유율(含油率)과는 거이 반대(反對)되는 경향(傾向)이 있었다. 5월(月) 초순(初旬)${\sim}$6월중순(月中旬)에는 간유(肝油)의 vitamin A 농도(濃度)보다 훨씬 높았다. 4. 장유(腸油)의 vitamin A 농도(濃度)는 5월초순(月初旬)에 최고(最高)였고, 생식선유(生殖腺油)의 vitamin A 농도(濃度)는 극히 낮았으며 육(肉), 피(皮) 안유(眼油)의 vitamin A 농도(濃度)는 흔적에 불과(不過)하였다. 5. 전장기(全臟器) vitamin A 양(量)의 제장기별(諸臟器別) 분포율(分布率) 변화(變化) 범위(範圍) 및 평균분포율(平均分布率)은 간장(肝臟) : $7{\sim}92%$(평균(平均) 60.8%) 유문수(幽門垂) : $6{\sim}51%$(평균(平均) 29.4%), 장(腸) : $1{\sim}16%$(평균(平均) 5.7%), 위(胃) 및 위내용물(胃內容物) : $0{\sim}10%$(평균(平均) 2.2%), 생식선(生殖腺) : $0{\sim}12%$(평균(平均) 1.9%)이고, 간장(肝臟)과 유문수(幽門垂)의 vitamin A 분포율(分布率)은 서로 상반(相反)되는 경향(傾向)이 있었다. 6. 내장유특가(內臟油特價)의 시기적변화(時期的變化) 및 특가간(特價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는 찾아볼 수 없고, 다만 vitamin A 농도(濃度)가 특(特)히 높을 때 굴절율(屈折率), 불감화물량 및 iodine value가 최고(最高)였다. 7. 고등어 vitamin 유(油) 채취시기(採取時期)는 5월초순(月初旬)${\sim}$10월(月) 중순(中旬)이라 볼 수 있고, 간장(肝臟), 유문수장(幽門垂腸) 이외(以外)의 제장기(諸臟器)는 vitamin 유(油) 자원(資源)으로서 이용가치(利用價値)가 없다. 한편 전내장유(全內臟油)도 vitamin 유(油)로서 이용가치(利用價値)가 있다.

  • PDF

참치 내장유 중에서 레시틴의 분리, 정제 및 이용에 관한 연구 1. 레시틴의 분리 및 정제 (Studies on the Isolation, Refining and Utilization of Lecithin from Skipjack Viscera Oil 1. The Isolation and Refining of Lecithin)

  • 김귀식;정보영;배태진;오원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95-900
    • /
    • 1998
  • 참치 통조림 가공 중 얻어지는 부산물중 내장유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레시틴을 분리한 후 탈색과 탈취 등의 정제조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치 내장유에서 최적의 레시틴 분리를 위해 첨가하는 구연산량은 시료유 100ml에 대하여 0.4ml가 적당하였다. 레시틴의 탈색은 활성백토 $5\%$를 첨가하du 처리 ($40^{\circ}C$, 10분) 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탈취조건은 4Torr 이하의 감압하에서 수증기 증류법으로 처리 ($130^{\circ}C$, 60분)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참치 내장유중의 주요 인지질은 phosphatidyl choline, sphingomyelin 및 phosphatidyl ethanolamine이 었다. 참치 내장유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산의 함유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monoene산 및 polyene산의 순이였다. 이들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16:0, 18:1 (n-9), 22:6 (n-3), 18:0, 및 16:1 (n-7)의 순이였고 그 외에 14:0, 20:5 (n-3) 및 18:1 (n-7)도 주체를 이루고 있었다. 그리고 최후 정제공정을 거친 탈취 내장유 레시틴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산의 함유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polyene산 및 monoene산 순이였다. 또한 이들을 구성하는 주요지 방산은 16:0, 22:6(n-3), 18:1 (n-9), 14:0, 16:1 (n-7), 18:0 및 18:3 (n-3)순이였고 그 외에 16:1 (n-7), 20:5 (n-3) 및 14:0도 주체를 이루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