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nyl mulching cultivation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3초

참깨 P.E 멀칭 재배하에서의 도복방지 (Studies on Lodging Control of Sesame for Polyethylene Film Mulching Cultivation)

  • 권병선;이돈우;이정일;이유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16-419
    • /
    • 1986
  • 본 실험은 우리나라 참깨의 단작, 맥후작별 vinyl mulching 재배하에서의 도복방지효과를 보고자 장려품종인 안산깨. 단백깨, 광산깨를 공시하여 개화초기에 75$^{\circ}$ 45$^{\circ}$의 인위도복 처리와 도복방지 처리로서 개화시에 지주를 세워 처리간의 효과를 조사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초기에 75$^{\circ}$ 도복은 도복되지 않은 것에 비해 가장 감수정도가 커서 단작에서 75%, 맥후작에서 81% 감수되었다. 2. 개화초기의 무처리한 구에서는 단작직파에서 약간의 자연도복이 되어 18% 감수되었고 맥후작직파에서는 태풍피해로 75%의 큰 감수를 보였다. 3. 단작, 맥후작별 vinyl mulching 재배에서 개화초기에 지주를 세워 재배한 처리는 완전다수였다.

  • PDF

비닐멀칭 작물재배용(作物栽培用) 지효성(遲效性) 전용복비(專用複肥) 개발(開發) -II. 고추 전용복비(專用複肥)의 비효시험(肥效試驗) (Mono-granular Compound Fertilizer Acting Slow Release for the Crops Under Vinyl Mulching Cultivation -II. Effect of newly developed compound fertilizer on red pepper)

  • 임동규;신제성;송정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7-221
    • /
    • 1987
  • 요소(尿素), DAP, 증화가리(增化加里)를 주재료(主材料)로, 분뇨잔사(糞尿殘渣)와 Zeolzte를 부재료(副材料)로 활용(活用)하여 제조(製造)한 고추전용복비(專用複肥)인 시제품(試製品) I II를 비닐멀칭재배(栽培)로 비효시험(肥效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가. 고추의 초장(草長)과 간경(幹徑)은 시제품(試製品)II구(區)가 대조구(對照區) (NPK분시구(分施區))에 비해 좋았다. 나. 고추의 총적과수량(總赤果收量)은 시제품(試製品)II구(區)가 가장 증수(增收) 하였으나 대조구(對照區)에 비해 통계적(統計的)인 유의성(有意性)은 없었다. 다. 개발(開發)된 시제품(試製品)은 비닐멀칭조건에서 고추재배(栽培)를 위한 전량기비용비료(全量基肥用肥料)로서 가능(可能)하였다.

  • PDF

질소비료형태(窒素肥料形態)가 Vinyl Mulching 재배시황색종(栽培時黃色種) 입담배의 휘발성 (揮發性) 향기성분(香氣成分)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Ammonium and Nitrate Nitrogen on the Volatile Oil of Flue-cured Tobacco under Vinyl Mulching Cultivation)

  • 장기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1-40
    • /
    • 1988
  • 1. 황색종(黃色種) 담배를 P. E. Mulching 재배(栽培)시 $NH_4-N$ 처리구(處理區)가 $NH_4-N$ 처리구(處理區)에 비(比)하여 Nicotine함량(含量)이 적고 환원당(還元糖) 함량(含量)이 높았다. 2. 건조엽(乾燥葉)의 휘발성(揮發性) 향기성분중(香氣成分中) Furfural, Benzyl alcohol 및 Phenethyl alcohol의 경우(境遇) $NH_4-N$$NO_3-N$ 처리간(處理間)에 별(別) 차이(差異)가 없었다. 3. 담배 향미(香味)에 좋은 영향(影響)을 미치는 Linalool, Solanone, Damascenone, Neophtadiene 및 Oxysolanone+megastigmatriene-one의 함량(含量)이 $NH_4-N$ 처리구(處理區)보다 $NO_3-N$ 처리구(處理區)에서 현저(顯著)히 높았다. 4. 결론적(結論的)으로 $NO_3$태(態) 질소(窒素)보다 황색종(黃色種) 담배의 Nicotine함량(含量)을 감소(減少)시키면서 상대적(相對的)으로 중요(重要)한 향기성분(香氣成分)을 증가(增加)시키는 효과(效果)가 있었다.

  • PDF

녹비작물재배후 플라스틱필름 멀칭에 따른 가을감자의 더뎅이병 방제 및 수량특성 변화 (Effect of Soil Mulching after Green Manual Crops on Control of Common Scab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Fall Potato)

  • 송창길;강봉균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99-109
    • /
    • 2000
  • 제주지방에서 가을감자의 더뎅이병 방제 및 수량증대를 위해 전작물로 녹비작물(콩, clover, pioneer, orchardgrass)을 '98년 5월 21일부터 7월 28일까지 재배하여 생육최성기에 파쇄, 경운하고 P.E 투명필름(0.01mm)으로 멀칭후 터널 설치, 태양열 토양소독을 실시한 포장에 가을감자를 재배하여 생육상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작물로 재배한 청예수량은 pioneer BSSF(64.3MT/ha)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콩((25.0MT/ha), clover, orchardgrass 순이었다. P.E 필름멀칭+터널설치중의 상승한 평균지온은 토양깊이 5cm에서 54$^{\circ}C$, 10cm에서 45$^{\circ}C$, 20cm에서 44$^{\circ}C$였다. 콩, red clover 재배구가 비닐멀칭에 의한 토양소독효과로 인하여 가을감자의 더뎅이병 발병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초장, 엽록소함량치, 지상부생체중, 괴경수량 등의 생육형질은 녹비작물재배 및 비닐멀칭처리에 의해 양호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콩, red clover, pioneer 855F 재배후 감자재배구가 괴경수량이 많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가을감자 지상부 및 괴경 중의 T-N, K, Ca함량도 녹비작물재배 및 P.E 필름멀칭에 의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토양중의 T-N, 유기물함량, K함량은 녹비작물재배 및 P.E 필름멀칭후에 높아졌다가 가을감자 수확후에는 시험시작전 토양의 상태로 다시 낮아지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 PDF

비닐멀칭작물재배용(作物栽培用) 지효성(遲效性) 전용복비(專用複肥) 개발(開發) -I. 제립(製粒)이 지효성(遲效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Mono-granular Compound Fertilizer Acting Slow Release for the Crops Under Vinyl Mulching Cultivation -I. Effect of formulation and granulation on slow release)

  • 신제성;임동규;성기석;김복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7-100
    • /
    • 1987
  • 비닐멀칭 재배용 복비(複肥)는 요소(尿素), DAP, 염화가리(鹽化加里)를 원료비료(原料肥料)로, 제오라이트, 부생석고(副生石膏) 및 분뇨잔사(糞尿殘渣)를 증량제(增量劑)로 하여 아미노산폐액(酸廢液)을 이용(利用) 조립(造粒) 제조(製造)하였다. 시제품(試製品)의 NPK성분함량(成分含量)은 고추비료(肥料), 12-10-11, 5, 참깨비료(肥料) 8-8-6, 땅콩비료(肥料) 4-19-14이었고 시제품(試製品)의 수중(水中)N용출량(溶出量)은 비교적(比較的) 낮아 고추비료(肥料)에서 80%, 참깨비료(肥料) 55%, 땅콩비료(肥料) 70%로 비료지효화(肥料遲效化) 기준치(基準値) 50%에 근사(近似)하여 비닐멀칭재배시(栽培時) 전량기비시용(全量基肥施用)이 가능(可能)할 것이다.

  • PDF

멀칭재료가 시설참외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ching Material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 in Protected Cultivation)

  • Su Gon Bae;Yong Seub Shin;Il Kweon Yeon;Han Woo Do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37-243
    • /
    • 2001
  • 무가온 촉성재배시 멀칭재료가 참외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토양 멀칭재료로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 배색 P.E. 필름, 녹색 P.E. 필름과 대조구로 투명 P.E. 필름을 설치하여 지온의 변화와 생육, 과실품질 등을 조사하였다. 토양 5cm 깊이의 일.월중 지온은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에서 높았으나 광 투과율이 낮은 녹색 P.E필름에서 낮았다. 토양 심도별 야간지온은 녹색 P.E. 필름은 토양 깊이 20cm에서 나머지 필름은 토양 깊이 5cm에서 가장 높았으며, 멀칭 재료별 지온차는 깊이 내려갈수록 점차 감소되었다. 정식 후 30일의 초장과 절수는 지온이 높은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LAI, CGR, RGR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정식 후 30일의 잡초 발생량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정식 후 90일에는 투명 P.E.필름에서 많았다. 과실 수확은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에서 빨라 투명 P.E.필름보다 2일 단축되었으나, 과중, 과장, 당도 등 과실특성은 큰 차가 없었다. 하우스외피복 재활용필름에서 상품수량은 2,426kg.10a$^{-1}$로 투명 P.E. 필름보다 6% 증수되었다.

  • PDF

감귤(柑橘)의 내한성(耐寒性) 품종육성(品種育成) 및 내한(耐寒) 재배기술(栽培技術)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Breeding of Cold Hardiness and Technique of Overwintering Cultivation in Citrus)

  • 김지문;송호경;김정석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126-140
    • /
    • 1977
  • 제주도(濟州道)와 남부(南部) 도서지방(島嶼地方)에서 한해(寒害) 및 풍해(風害)에 대한 감귤(柑橘)의 안전재배(安全栽培)와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 비닐하우스 피복(被覆)및 비닐 하우스 피복재배(被覆栽培)를 효율적(效率的)으로 수행(遂行)하기 위하여 온주밀감(溫州蜜柑)의 내한성(耐寒性) 품종(品種)의 선발(選拔), 내한성(耐寒性) 조기검정(早期檢定) 및 내한재배기술(耐寒栽培技術)에 관한 연구(硏究)를 실시한 바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적요(摘要)한다. 1. 거치로 피복(被覆)한 비닐하우스에서 월동후(越冬後) 무동해개체(無凍害個體)를 내한성(耐寒性) 조기검정(早期檢定)(leaf freezing test)에 공시(供試)한 결과(結果) $-9^{\circ}C$ 저온(低溫)에 2시간(時間) 처리(處理)하여 건전개체(健全個體) 12, 약간동해개체(若干凍害個體) 15로 나타났다. 2. 비닐하우스에 거치 두겹을 피복(被覆)하고 상면(床面)에 벼짚 멀칭과 낮에 채광(採光)하는 조건에서 기온(氣溫) $-15^{\circ}C$ 내외(內外)(대전지방(大田地方))에서 하우스 내부(內部) 온도(溫度)는 $-3^{\circ}C$, 지온(地溫)은 $0^{\circ}C$ 이상(以上)으로 유지되었다. 3. 하우스내(內) 비닐 터널 설치(設置) 상면(床面) mulching은 모두 유의성있게 보온 효과를 나타냈으나, 외부 기온에 따라 다르며, 하우스내(內) 비닐 터널은 필림의 색(色)에 의한 유의차는 없었다. 4. 하우스 내부(內部)의 수직적 온도(溫度) 분포(分布)는 하우스내(內)의 온도(溫度)가 높을 때는 상부(上部)일수록 온도(溫度)가 약간 높았고 하우스 내(內)의 온도(溫度)가 낮을 때에는 중앙부(中央部) 상면(床面), 상부(床部)의 순서(順序)로 낮았다. 5. 하우스 내부(內部)의 수평적(水平的) 온도(溫度) 분포(分布)는 북면(北面)이 지온(地溫) 및 상면온도(床面溫度)가 낮고 그 밖의 동서남북(東西南北)의 가장자리 부분(部分)은 모두 낮아서 공시목(供試木)이 동해(凍害)를 받았으며 북쪽 벽면(壁面)에서 30cm내(內)의 공시목(供試木)은 동해(凍害)가 심했다. 6. 북면(北面) 바깥쪽 벽면하(壁面下)에 $30{\times}30{\times}30cm$의 짚다발 절록구(絶綠溝)의 설치(設置)는 북면(北面)의 지온(地溫) 및 상면(床面) 온도(溫度) 강하(降下)를 막아서 동해(凍害)를 막는 효과(效果)가 기대(期待)된다. 7. 흐린날, 눈 나린 날은 하우스 내외(內外)의 온도(溫度) 차이(差異)가 적었으나 방열이 적어서 내부(內部) 온도(溫度)는 야간(夜間)에도 비교적 높게 유지되었다. 8. 1일중 최고온도(最高溫度)의 peak는 하우스 내외(內外) 모두 15시(時) 전후(前後)에 있고 최저온도(最低溫度)의 peak는 모두 6시(時) 전후(前後)에 있으며 외부(外部) 온도(溫度)의 최저(最低)에 따라 내부(內部)도 변한다. 맑은 날의 최고온도(最高溫度)는 차(差)가 크고($19^{\circ}C$, 11월하순(月下旬)) 눈오는 날, 흐린 날은 차(差)가 적었으로($9^{\circ}C$, 11월하순(月下旬)) 특히 눈온 날 하우스내(內)의 온도(溫度) 강하(降下)가 적어서 야간(夜間)에 온도곡선(溫度曲線)은 평행(平行)에 가까왔다. 9. 내한성(耐寒性), 반왜성(半矮性)(semi-dwarf type), 단지형(短枝形)(spur type) 우량품종(優量品種)을 효과적(效果的)인 방한(防寒) 피복(被覆) 재배(栽培)의 기술(技術)을 적용(適用)한다면 제주도(濟州島) 및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의 감귤(柑橘)의 안전재배(安全栽培)와 재배(栽培) 면적(面積)의 확대(擴大)가 기대(期待)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the soil loss and soil salinity of upland soil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in western South Korea

  • Kim, Young Joo;Lee, Su Hwan;Ryu, Jin Hee;Oh, Yang Yeol;Lee, Jeong Ta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16-316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quantitatively soil salinity and soil loss at upland soils in agriculture land region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on the south Korea coasts. Soil loss and soil salinity are the most critical problem at reclaimed tidal saline soil in Korea. The several thematic maps of research area such as land cover map, topographic and soil maps, together with tabular precipitation data used for soil erosion and soil salinity calculation. Meteorological data were measured directly as air temperature, wind speed, solar radiation, and precipita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2% sloped lysimeter ($5.0m{\times}20.0m$) with 14 treatments and it were separated by low salinity division (LSD) and high salinity division (HSD) install. The cation content in ground water increased during time course, but in the case of land surface water the content was variable, and $K^+$ was lower than that of $Na^+$ and $Mg^{2+}$. At the LSD under rainproof condition, the salinity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soil water content, but at the HSD the tendency was no reversed. In condition of rainproof, the amount of soil salinity was higher at the HSD than at the LSD. Positive correlation was obtained between the soil water content and available phosphorous content at the rainfall divis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at the surface soil of the rainproof division. Sodium adsorption ratio and anion contents in soil were repressed in the order of vinyl-mulching > non-mulching > bare fiel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soil loss, soil loss occurred in a vinyl-mulching, a non-mulching and a bare field in size order, and also approximately 11.2 ton/ha soil loss happened on the reclaimed land area. The average soil loss amount by the unit area takes place in a non-mulching and bare field a lot. Our results indicate that soluble salt control and soil erosion are critical at reclaimed tidal saline soil and the results can provide some useful information for deciding management plans to reduce soil loss and salt damage for stable crop production and diverse utilization or cultivation could be one of the management options to alleviate salt damage at reclaimed tidal saline soil in Korea.

  • PDF

새만금간척지에서 토양염농도 및 재배조건이 이랑의 유지와 밭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Salinity and Culturing Condition on the Maintenance of Ridge and the Growth of Upland Crops in the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 손용만;송재도;전건영;김두환;박무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29-539
    • /
    • 2010
  • 최근 조성된 새만금간척지의 범용화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간척지의 밭작물재배를 위하여 새만금간척지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염농도, 배수 및 이랑안전 성에 대한 연구검토가 시급하다. 시험연구는 새만금간척지에 조성된 시험포에 옥수수, 콩 및 고구마를 공시작물로 하여 각 작물당 3-4개의 품종을 파종하여 유기물시용과 비닐피복, 염농도변화, 토양의 수분 및 침수 등 재배조건이 이랑의 안전성과 작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작물의 수량은 옥수수가 청예수량 170~1,465 kg $10a^{-1}$, 건물수량 83~649 kg $10a^{-1}$, 옥수수의 이삭수량이 0.07~0.78 No. $plant^{-1}$이었고, 콩은 청예수량이 320~1,746 kg $10a^{-1}$, 건물수량 117~566 kg $10a^{-1}$ 종실수량 19~90의 범위였고, 고구마는 생물총량 1,108~3,998 kg $10a^{-1}$, 식용부분인 고구마괴근 수량 306~1,729 kg $10a^{-1}$로 일반 경지에 비하여 수량성이 매우 낮았다. 이처럼 수량성이 낮은 원인은 (1) 새만금 간척지에 조성된 시험지는 극세사 함량이 높은 양질 사토로서 제염상태가 많이 진전되어 대부분 2 dS $m^{-1}$이하로 제염되어 염농도가 작물의 생육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지만, 일부 지역에서 염농도가 16 dS $m^{-1}$ 이상으로 높아서 출현되지 못하거나 생육불량 정도가 극심하였고, (2) 새만금간척지 토양은 견지성이 약하여 이랑 침식으로 인한 도복과 뿌리노출로 고사하는 피해가 극심하였으며, (3) 토양의 투수력은 빠르나 지하수의 상승으로 토양의 강우수용능력이 감소되어 과습과 침수해가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4)토양이 척박하고 보비력이 약하여 세탈이 심하여 비절에 의한 양분장해가 심하였던 것으로 요약되었다. 유기물시용과 비닐피복은 이랑의 붕괴와 침식을 감소시켜 이랑유지능력이 증가하고 토양의 치밀화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수량증가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