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nyl addition polymerization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초

일부 PVC 수지 제조 및 가공 근로자의 염화비닐 폭로 평가와 대책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Control and Exposure Assessment to Vinyl Chloride in the Factory Processing and Producing PVC Resin)

  • 박동욱;신용철;이나루;이광용;오세민;정호근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3-42
    • /
    • 199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worker exposure to vinyl chloride monomer (VCM) and to present control measures in the factories processing and producing polyvinyl chloride (PVC) resin. The conclusion remarks are as follows. Only two personal samples in the factory ("E") processing polyvinyl chloride resin were analysed to be 27.6 ppm and 12.6 ppm, respectively. But, these concentration exceed 1 ppm, Permissible Exposure Limits (PEL) of OSHA. So, worker's exposure to VCM at "E" factory should be reevaluated. In "A", "B" and "C" factory producing polyvinyl chloride resin, the average worker's exposures to VCM were 0.12 ppm, 0.86 ppm and 1.23 ppm, respectivery. Worker exposure to VCM at distillation and dry process was higer than other processes at "A" factory. The average exposure concentration of worker at polymerization process of "B" and "C" factory was 1.23 ppm, and 1.46 ppm respcetively. These concentration exceed 1 ppm, Permissible Exposure Limits of OSHA. Control room of "B" and "C" factory had 0.91 ppm and 0.65 ppm of worker's exposure concentration respectively. "A" factory was evaluated to be "acceptable", but "B" and "C" factories were evaluated to be "not acceptable", by the workplace exposure assessment program of AIHA. Process other than bagging and control room of "A" factory was evaluated to "not acceptable". Immediate correction measures for preventing workers from exposure to VCM should be performed in the factories or process that were evaluated to be "not acceptable". After these control measures are taken, worker exposure to VCM must be reevaluated through personal air monitoring. Control measures presented by this study are complete sealing of connecting pipe lines, flanging, packing, bolting and nutting. Periodic leak test for leak parts is also required. And positive pressure facility should be constructed at control room of "B" and "C" factory. Fresh air through cleaner such as HEPA filter should be supplied to control room. In addition to these control measures, periodic personal monitoring for evaluating worker exposure to VCM should be performed.

  • PDF

Poly(vinyl alcohol)의 합성과 유변학적 성질

  • 이정경;이향애;김경기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555-561
    • /
    • 2001
  • 개시제로서 AIBN(2,2`-Azobisisobutyronitrile)을 이용하여 PVA수지 제조에 있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vinyl acetate를 벌크 중합하여 PVAc로 전환시킨 후 비누화를 위해 첨가되는 NaOH의 농도를 달리하여 PVA를 합성하였다. GPC를 사용하여 분자량을 조사한 결 과 첨가된 NaOH의 농도가 2.5N, 5.0N, 7.5N, 10N로 증가할수록 분자량이 증가하였으며, 다분산도는 대체적으로 유사한 값을 가졌으나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NMR을 통한 입체규칙성 관찰에서도 10N-NaOH로 처리한 PVA에서 교대배열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는데 이로부터 입체 규칙성 정도도 높은 것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는 GPC로 측정된 다분산도의 경향과도 일치하였다. FT-IR측정 결과로부터 10N-NaOH로 검화시킨 PVA의 경우가 다른 농도의 NaOH로 검화시킨 경우에 비해 가수분해가 더 많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수 있었다. 이로부터 NaOH농도를 달리하면서 합성시킨 각 PVA의 분자량과 다분산도 및 입체규칙성과 가수분해 현상을 관찰한 결과, 첨가된 NaOH농도에 따라 PVAc의 검화 정도가 다른 PVA가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PVA의 유변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Ubbelohde점도계를 사용하여 고유 점성도를 관찰하였는데 PVAc의 검화를 위해 위해 첨가한 NaOH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Casson plot을 통해 PVA수용액이 전단박화(shear thinning)거동을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10N-NaOH로 검화시킨 PVA의 경우가 항복응력(yield value)이 크게 나타남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PVA의 열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DSC로 측정하였는데 2,5N-NaOH로 처리한 PVA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Tp가 214$^{\circ}C$로 거의 일정하였으며 ${\Delta}H$는 첨가한 NaOH의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 특성들로부터 진한 NaOH농도로 처리하여 합성된 PVA가 묽은 농도로 처리한 경우보다 분자간 수소결합이 많이 생겼으며 이러한 수소결합 및 소수성 상호작용 증가가 유변학적 및 열적 성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