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negars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1초

인삼식초에 관한연구 (Studies on Ginseng Vinegar)

  • 김승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47-454
    • /
    • 1999
  • Ginseng-vinegars were produced by the fermentation of 5% ethanol solution contained ginseng, red ginseng, ginseng marc and red ginseng marc using Acetobacter aceti 3281 for 26 days at 35$^{\circ}C$. The ginseng and red ginseng vinegar contained 0.236mg/ml of total sugar 0.236mg/ml of reducing sugar and 0.05% of ethanol and 1.005 of specific gravity 8,58CFU of viable cell count 3,24 of pH and 5.11% of acidity. Whereas the vinegars produced using the water-extracted red ginseng marc and the ethanol-extracted red ginseng marc were consisted of total sugar was 1.27mg/ml and 1.60mg/ml reducing sugar was 0.077mg/ml and 0.725mg/ml specific gravity was 1.001 and 1.004 the number of viable cells was 8.51CFU/ml and 8.1CFU/ml pH was 2.81 and 2.89 acidity was 5.18% and 5.32% respectvely ethanol concentration was 0.05% in both cases. In five-grade scoring test of sensory evaluation, it was estimated favorable that each vinegar made by were-extracted red ginseng marc, ethanol-extracted red ginseng marc ginseng and red ginseng ginseng from 0.5 to 32% of water-and ethanol-extract red ginseng was extracted with 10% white vinegar for 30 days. The best sensory vinegars were obtained that ginseng of 0.4~1.6% above red glnsend of 0.8% water-extracted red ginseng marc of 0.8~1.6% and ethanol-extracted red ginseng marc of 0.4~1.6% added in 10% white vinegar respectively.

  • PDF

Surface Film Formation in Static-Fermented Rice Vinegar: A Case Study

  • Yun, Jeong Hyun;Kim, Jae Ho;Lee, Jang-Eun
    • Mycobiology
    • /
    • 제47권2호
    • /
    • pp.250-255
    • /
    • 2019
  •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determine the cause of surface film formation in three rice vinegars fermented using the traditional static fermentation method. The pH and total acidity of vinegar were 3.0-3.3 and 3.0-8.7%, respectively, and acetic acid was the predominant organic acid present. Colonies showing a clear halo on GYC medium were isolated from the surface film of all vinegars. Via 16S rDNA sequencing, all of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Acetobacter pasteurianus. Furthermore,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alysis showed that the bacterial cells had a rough surface, were rod-shaped, and were ${\sim}1{\times}2{\mu}m$ in size. Interestingly, cells of the isolate from one of the vinegars were surrounded with an extremely fine threadlike structure. Thus, our results suggest that formation of the surface film in rice vinegar was attributable not to external contamination, to the production of bacterial cellulose by A. pasteurianus to withstand the high concentrations of acetic acid generated during fermentation. However, because of the formation of a surface film in vinegar is undesirable from an industrial perspective, further studies should focus on devising a modified fermentation process to prevent surface film formation and consequent quality degradation.

장기간 숙성에 따른 죽초 및 목초액의 이화학적 변화 (Physicochemical Changes of Vinegars Obtained from Bamboo and Wood during Long Term Aging)

  • 구창섭;문성필;박상범;권수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74-79
    • /
    • 2002
  • 졸참나무, 맹종죽 및 소나무로부터 제조한 미정제 죽초 및 목초액을 약 1년 간 저장하고, 이들의 이화학적 변화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였다. pH, 유기산·용해타르 함량 및 비중은 전 숙성기간 중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색차의 경우 7~10개월 사이에서 현저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이 기간 동안에 이들 죽초 및 목초액의 색깔은 연한 노랑 띤 오렌지색에서 자주색과 오렌지색으로 크게 변화하였다. 죽초 및 목초액 중 유기산 및 중성 성분(dihydro-2(3H)-furanone, furfural, furfuryl alcohol, 2-hydroxy-1-methy-1-cyclopenten-3-one, 1-hydroxy-2-propanone, methanol)들의 함량은 3개월 간격으로 주기적인 증감을 나타내었다. 특히 유기산류와 중성 성분들의 관계는 0.92 정도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페놀류의 함량은 비록 유사한 주기적인 증감이 관찰되었으나, 그 함량의 경우 숙성 전 기간에 걸쳐 감소하였다.

감귤 미숙과 식초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Immature Citrus unshiu Vinegar)

  • 이미란;황준호;오유성;오현정;임상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50-257
    • /
    • 2014
  • 폐자원인 감귤 미숙과를 이용한 식초를 개발하기 위하여 초산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 동정하였고, 감귤 미숙과를 발효하여 식초를 제조한 후 품질 특성,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감귤슬러지 자연 발효물로부터 5개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그중 초산균으로 Acetobacter fabarum(A. sp. RIC I)과 A. pomorum(A. sp. RIC II, V)이 동정되었는데, A. sp. RIC V가 초산 생성능이 가장 우수하여 감귤 미숙과즙의 초산발효 균주로 선정하였다. A. sp. RIC V를 이용하여 감귤 미숙과즙의 첨가비율을 30, 35, 40%로 달리하였을 때 발효 13일 후 산도는 각각 5.38, 5.38, 5.32%, 발효 효율은 각각 73, 72, 70%이었다. 미숙과즙 초산발효 시 산도가 5%에 도달하는 기간은 과즙 첨가비율이 30%일 때는 11일, 35와 40%일 때는 9일이었다. 유리당으로 fructose와 glucose는 과즙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sucrose는 과즙 첨가비율과 관계없이 모두 비슷하였다. 유기산의 경우에는 미숙과 과즙의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acetic acid를 비롯한 총 유기산이 증가하였다. 감귤 미숙과 식초와 완숙과 식초의 총 페놀 함량은 각각 1,546.6과 $230.9{\mu}g$ GAE/mL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004.7과 $175.1{\mu}g$ QE/mL이었다.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은 감귤 미숙과와 완숙과 식초가 각각 29%와 5%이었고, ABTS 소거능은 각각 62.0%와 17.9%였다. SOA 소거활성은 감귤 미숙과 식초와 완숙과 식초가 각각 60.9%와 41.7%이었고, XO 억제활성은 각각 32.5%와 5%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 sp. RIC V를 이용하여 감귤 미숙과즙을 35와 40% 첨가하였을 때 초산발효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감귤 미숙과 식초는 높은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으로 인하여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기능성 식초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식초의 에탄올 및 초산 함량의 동시분석 (Simultaneous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Ethanol and Acetic Acid in Vinegar)

  • 윤희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247-1251
    • /
    • 1998
  • 식초의 에탄올과 초산을 동시에 분석하고자 packed column으로 gas chromatographic analysis을 모색하였다. Tenax-GC를 충진물로 사용하여 $2\;m{\times}2\;mm$의 stainless steel column을 제조하고 식초를 여과하여 column에 직접 주입한 결과 내부 표준 물질로 사용한 isopropyl alcohol과 에탄올, 초산이 20분 이내에서 완전히 분리되었으며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P<0.05)나타났다. 19종의 식초를 이용하여 적정방법으로 산도를, packed column GSC로 에탄올과 초산을, HPLC로 초산을, capillary column GLC로 에탄올과 초산을 각각 분석하여 분석치들을 상호 비교하였다.

  • PDF

불량 단감을 이용한 속성 감식초의 제조와 품질 평가 (Preparation and Quality Evaluation of the Quick Fermented Persimmon Vinegar Using Deteriorated Sweet Persimmon)

  • 정용진;신승렬;강미정;서지형;원충연;김광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21-227
    • /
    • 1996
  • 경제성이 없는 불량한 단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속성으로 감식초를 제조하여 국내 시판식초 및 재래식 감식초의 일반성분, 유기산, 알코올 및 무기성분을 비교.분석하여 품질평가하였다. 모든 식초의 pH는 2.02-3.02였으며 양조식초가 2.02로 가장 낮았고, 감식초 (A)가 3.02로 가장 높았다. 총 산은 4.62-9.78%이었고 감식초 (B)가 가장 낮았고 양조식초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초중의 유기산으로 acetic, citric, tartaric, malic, succinic, formic, oxal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특히 acetic acid가 3.96-8.36%로서 높았다. 총당의 함량은 0.45-6.43%이었고 양조식초가 0.45%로 가장 낮았고 감식초 (B)가 가장 높았다. 총 질소의 함량은 0.025-0.046%이었고, 아미노태질소는 0.015-0.029%이었다. Fe, Zn, Mn, Cu의 함량은 낮았고, 유해 중금속은 검출되지 않았다

  • PDF

2단계 발효에 의한 포도식초와 재래식 포도식초의 품질 비교 (The Quality Comparison of Grape Vinegar by Two Stages Fermentation with Traditional Grape Vinegar)

  • 정용진;이명희;서권일;김주남;이용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62-468
    • /
    • 1998
  • 편이었다. 미량성분으로는 K이 다량으로 존재하였고, 2단계 발효로 제조된 포도식초는 포도양파식초 보다K, Na, Cu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x Grape vinegar (A) and grape onion vinegar(B) added (3% of onion juice) were produced through two stages of fermentation(alcohol fermentation and acetic acid fermentation) to increase the grape's use. Grape wine which contained 5.6% alcohol was produced on the 3rd day of first stage. Then through the second stages, grape vinegar, of which total acidity was 5.37% was produced. The quality of (A) and ( B) which was produced through the two stages of fermentation wa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grape vinegar (C, D) in the market. The content of sugar in (D) was a little higher such as 5.4 $^{\circ}$Brix than others. That of (A) and (B) was 5.13, 4.98 $^{\circ}$Brix respectively. The content of remaining alcohol in (C) was high such as 0.23% comparatively. But there was no remaining alcohol in (A) and (B). The content of acetic acid was 4.3~5.3% as a major organic acid of vinegars. The content of tartaric acid was 340.0 in (A), 315.7 in (B), 322.6 in (C) and 391.7mg% in (D). The content of lactic acid was distinctly high such as 277.4mg% in (D) There were differences such as 9.2~15.5mg% in the content of total free amino acids among grape vinegars. (D) contained 15.5mg% of total free amino acid and (B) also highly such as 12.0mg%. Potassium was high in grape vinegars. The content of potassium, sodium and copper was higher in (A) than (B).

  • PDF

재래식과 개량식 발효식품의 유기산 분포 (Distribution of Organic Acids in Traditional and Modified Fermented Foods)

  • 오금순;강길진;홍영표;안영순;이향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177-1185
    • /
    • 2003
  • 전통발효식품(간장 및 된장, 고추장, 감식초 등)중에 재래식과 개량식 제품의 맛과 향에 기인하는 유기산의 분포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고, 아울러 식품공전에 보존료로 고시되어 있는 propionic acid가 발효과정 중에 생성됨에 따라 그 분포정도를 알고자 하였다 재래식 간장에서는 citric acid, formic acid, oxalic acid, propionic acid가, 개량식에서는 acetic acid와 lactic acid가 상대적으로 많이 검출되었으며, propionic acid는 검출되지 않았다. 재래식 및 개량식 된장 모두 유사한 분포양상을 보였으며, 재래식에서는 개량식 보다 citric acid와 succinic acid를 제외하고 약간 높은 함량을 보였다. 고추장의 경우 재래식이 개량식보다 citric acid, formic acid, acetic acid, lactic acid가 다소 높은 함량을 보였고, 그 외 다른 유기산들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재래식에서는 Propionic acid가 검출된 반면 개량식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일반 양조식초에서는 acetic acid가 주요 유기산이었고 미량의 form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감식초의 경우 acetic acid, lactic acid, propionic acid가 검 출되었다. 감식초중 flavonoid계 인 tannic acid 함량은 다소 제품별로 차이는 있었으나 그 범위는 366.9 ∼ 909.8 mg%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재래식 발효식품과 개량식 발효식품의 유기산 분포는 그 함량이 서로 달랐으며, 특히 보존료로 사용되고 있는 propionic acid는 된장을 제외한 재래식 발효식품에서 생성되었고, 개량식 발효식품에서는 생성되지 않았다. 또한 식초의 경우 감식초에서만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