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stibular-proprioceptive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6초

청소년기 특발성 척추측만증의 중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tervention for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 김승준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6권1호
    • /
    • pp.60-69
    • /
    • 2004
  • Many methods have been described for the early intervention of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is lateral and rotational spinal curvature in absence of associated congenital or neurologic abnormalities, the most common type of scoliosis observed in child and young adults, and refers to curves that develop after the age of $10{\sim}18$. The curves of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have the potential to progress rapidly during growth. Curves are currently universally measured by the Cobb's method and Ferguson method. Some curves do not remain small, these may be mildly or severely progressive and the ribs on the convex side of the curve separate, and those on the concave side ribs approximate so rib undergoes deformation with rib humping. The latter may make angles that can affect vestibular system, balance, sensory, especially cardipulmonary function. Intervention for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is based on the patient's age, the angular value of the curve, the maturity of their skeleton, and the topography. The purpose of intervention for adolescent idiopathic scoliosis consists of knowing how to go to the best approach the correction of the lateral curve and rotational deformity holding the achieved for the remainder of spinal growth, preventing significant cosmetic abnormality, pain and cardiopulmonary complication, control the muscle imbalance and proprioceptive postural disturbances, be less need for radical surgery to avoid early surgery.

  • PDF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침 흘림과 놀이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연구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with Oral Activity on Drooling and Play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Single-Subject Research)

  • 박소희;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4-64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구강감각의 감각조절장애가 있는 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구강활동을 포함한 감각통합 치료를 적용하여 침 흘림과 구강장난감을 활용한 놀이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2세 8개월의 구강감각의 감각조절장애가 있는 발달지연 남아 2명이었다. 단일대상연구 ABA' 중 대상자간 중다기초설계(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다. 목표행동은 목표성취도 척도(Goal Attainment Scale; GAS)를 사용하여 침 흘림과 구강 장난감을 활용한 놀이 대한 관심과 집중으로 측정하였다. 중재기(B) 10회기 동안 구강활동과 고유-전정 중심의 감각통합치료를 아동에게 적용하였다. 결과 : 침 흘림은 기초선 기간에 평균 목표행동 값(GAS)이 A 아동 0.25점, B 아동-0.5점에서 중재 기간에는 A 아동 1.88점, B 아동 1.4점으로 향상했고 유지기 동안 평균은 A, B 아동 모두 3점이었다. 놀이에 대한 기초선 기간에 평균 목표행동 값은 A 아동은 -0.75점, B 아동은 0.75점에서 중재 기간 A 아동은 1.9점, B 아동은 1.1점이었고 유지기 동안 평균은 A 아동 1.33점, B 아동 2점이었다. 결론 : 구강활동을 포함한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치료는 구강감각의 감각조절문제가 있는 아동에게 침 흘림과 구강장난감을 활용한 놀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의 구성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A Study for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

  • 김경미;신현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21
    • /
    • 2016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개발된 아동감각처리척도(Sensory Processing Scale for Children: SPS-C)의 구성타당도와 내적일치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2014년 1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감각처리 문제가 있는 만 3~5세 아동 117명을 대상으로 SPS-C 평가를 시행한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 분석과 내적 일치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요인분석 결과, 청각, 시각, 촉각 영역은 각각 높은 요인 부하량으로 묶였으며, 전정감각과 고유수용성감각은 두 영역의 요인 부하량이 중복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내적 일치도 검증 결과 전체 척도의 내적 일치도는 .728이었으며, 각 영역별 내적 일치도는 .323~.636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PS-C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및 표준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가상현실과 전통적 균형훈련이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Training and Traditional Balance Training on Balance in Patient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 김수현;박소희;김다정;곽유진;신연진;김수진
    • PNF and Movement
    • /
    • 제18권2호
    • /
    • pp.183-194
    • /
    • 2020
  • Purpose: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FAI) causes tension in the joints, ligaments, and tendons, and the impact on visual and vestibular organs leads to imbalance.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a traditional balance training program to virtual reality training to improve FAI. Methods: Twenty-four participants with FAI (CAIT score < 24) were assigned to a virtual reality training group (n = 13) and a traditional balance training group (n = 11). Both groups pursued their respective training program for four weeks. After a ten-minute warm-up, participants completed a 30-minute training session, three times per week. The traditional balance training group underwent static and dynamic training using a balance board and a stability trainer pad while the virtual reality group underwent balance training using a virtual reality program. Biorescue was used to measure changes in the speed and length of center of pressure (COP) for single-leg stance pre- and post-training. Results: The speed and length of COP improv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after training as compared to before (p < 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se outcomes between the virtual reality training group and the traditional balance training group (p>0.05).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both virtual reality training and traditional balance training in reducing ankle instability, with no difference in treatment effects.

감각통합치료가 뇌성마비 아동의 자기조절 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on the Self-regulation Capaciti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 주진옥;이혜림;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28
    • /
    • 2011
  •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한 후 자기조절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P시에 거주하는 4세의 여아와 6세의 남아로 양하지 뇌성마비로 진단받았다. 본 연구는 단일대상 연구 중 ABA'를 사용하였고, 자기조절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문제 행동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한 후 자유놀이와 중재 후 디지털 카메라로 10분간 녹화하여 문제 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체크하여 총발생빈도를 분석하였다. 실험과정은 2010년 12월 1일부터 2011년 2월 26일까지 약 12주가 총 22회기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A) 6회, 중재 기간(B) 14회, 유지 기간(A') 2회로 총 22회기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과 유지 기간은 감각통합치료를 하지 않았으며, 중재 기간에는 전정 및 고유수용성 감각처리를 중심으로 한 감각통합치료를 30분간 실시하였다. 결과 : 아동의 자기조절 행동 3개의 빈도수가 기초선 기간과 비교하여 중재기간에 대부분 2표준편차 이상으로 감소되었으며 유지기간에도 유지되었다. 결론 : 자기조절 행동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평가한 행동 빈도수의 총 평균이 감소되었으며 감각통합치료가 뇌성마비아동의 자기조절 행동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감각통합 중재가 취학 전 자세조절장애 아동의 자세조절과 작업수행(놀이)에 미치는 영향: 목표성취척도(Goal Attainment Scale)를 사용한 사례보고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on Postural Control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Play) of the Preschool Child With Postural Disorder: Case Study Using Goal Attainment Scale (GAS))

  • 류성운;김인선;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1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감각통합중재가 취학 전 자세조절장애 아동의 자세조절과 작업수행(놀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은 2012년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임상과정에 참여한 만 5세 8개월의 남아이다. 평가결과에 따라 치료목표, 치료계획을 제시하였고 11회기 동안 치료가 진행 되었으며 아동의 활동과 적응반응을 기술하였다. 각 회기별 목표를 목표성취척도(Goal Attainment Scale)를 이용해 측정하였으며 2012년 12월 재평가하였다. 결과 : 치료 후기 아동은 배와위굴곡자세를 20초 이상 유지하여 신체근위부 안정성이 향상되었고, 신체활동놀이 한 가지에 지속적으로 주의집중하여 노는 것이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 중재가 취학 전 자세조절장애 아동의 자세조절 향상과 함께 작업수행('신체활동놀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노인의 정적균형 조절과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Virtual Reality Program on Static Balance Control and Fall Efficacy of Elderly People)

  • 김은자;황병용;김미선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107-1116
    • /
    • 2010
  • 신체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자세조절에 관여하는 고유수용성 감각, 시각, 전정기능이 감소하고 근력이 약해지고 갑작스런 움직임의 변화에 대처하는 반사능력이 감소하여 균형조절에 영향을 주고 낙상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균형조절의 어려움은 낙상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하여 낙상효능감에 영향을 주고 독립적인 일상생활에 많은 장애를 일으킨다. 본 연구는 요양원에 입소한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노인의 정적균형 조절과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65세 이상 노인 14명을 대상으로 하여 가상현실군(n=7)과 대조군(n=7)으로 매회 30분씩, 총8회 실시하였다. 가상현실군은 일반적 운동치료법근법과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일반적 운동치료접근법을 실시하여 치료 전·후를 평가 비교하였다. 대상자의 정적균형 조절과 낙상효능감은 Bio-Rescue와 낙상효능감척도로 평가를 하였다. 결과에 따른 자료 분석은 Wilcoxon signed test와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가상현실군이 정적균형 조절 평가에서 눈을 뜬상태에서의 정적균형 조절이 향상되었으며, 안정성 한계 변화에서 움직임의 범위가 증가하였다. 낙상효능감의 변화에서도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가상현실 프로그램은 노인에게 정적균형 조절과 낙상효능감에 효과가 있으며, 노인에게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양한 치료 방법과 치료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DHD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 특성과 행동학적 특성: 체계적 고찰 (The Physiological Responses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ensory Stimulation of ADHD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 이나핼;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51-60
    • /
    • 2011
  • 목적 : ADHD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특성은 감각자극의 종류, 측정도구, 그리고 반응으로 알아보고, 행동학적 특성은 측정도구, 빈도, 측정도구별로 공통된 문제 항목을 분석하여 ADHD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체계적 고찰방법을 사용하였다. 1990년 1월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Riss4U, MEDLINE/PubMed, CINAH을 통해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ADHD, Children, Sensory processing, sensory integration, SP, SSP, SOR, TIE, CSP, SEP, EDR"으로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5개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결과 : 1. ADHD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에 관한 연구는 5개(33.33%)이고, 행동학적 반응에 관한 연구는 10개(66.67%)이며, 두 가지를 병행한 연구는 2개(13.33%)로 전체 15개(100%)논문을 분석하였다. 2. 생리학적 반응에 관한 연구 5개 중, 촉각과 고유 감각 자극을 사용한 연구는 3개, 후각, 청각, 시각, 촉각, 전정감각을 모두 사용한 연구는 2개였다. 3. 행동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10 중, SP는 5개, SSP는 3개, SOR은 2개, TIE는 1개, CSP는 1개이다. 4. ADHD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특성은 일차감각피질의 손 영역에 있는 신경원세포의 활동전위에서 큰 반응을 보였다. 반응 시 초기에 큰 반응을 보였고 뒤로 갈수록 빠른 습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회복 시에 많은 비 특이적 반응을 보였다. 5. 행동학적 반응특성은 부주의/산만, 전정감각처리, 지구력/근 긴장도 조절, 감정반응에 대한 감각입력 조절, 활력이 부족하고 허약함을 보이는 특성이 있었다. 결론 : ADHD아동의 감각자극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 특성과 행동학적 특성을 아는 것은 ADHD아동의 감각조절 문제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된다.

  • PDF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 (A Study of Postural Control Characteristics in School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이형수
    • 재활복지
    • /
    • 제14권3호
    • /
    • pp.225-256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각, 안뜰감각 그리고 몸감각을 조합하여, 실험 조건에 따라 자세유지를 위하여 어떤 감각을 활용하고 있는지, 부적절한 감각자극에 대해서 통합시스템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 외부 동요에 대해 신경근육의 자세조절 전략 시 동원되는 근육의 수축 개시시간과 개시순서를 각각 측정하여, 지적장애 아동의 자세조절 특성을 살펴보고, 나아가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여 자세조절능력 향상 프로그램에 적용 시 방향을 제시해주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성별과 연령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 26명과 일반아동 26명의 아동으로부터 자세조절능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자세조절과 감각계와의 관계를 파악한 평형점수와 감각활용 분석, 엉덩관절 전략에 의지하는 자세조절 전략, 근수축 개시지연과 근수축 개시순서의 변화 등을 종합해 볼 때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의 문제는 운동시스템, 감각시스템, 통합시스템의 자세조절 시스템 전반에 걸친 총체적인 문제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운동시스템, 감각시스템, 통합시스템을 포함하는 포괄적 자세조절 훈련 프로그램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세조절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다양한 감각을 제공하여 주고, 제공된 감각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감각훈련과 함께 고위중추에서 입력된 감각들을 정상적인 자세조절 발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훈련 시켜주어야 한다. 적응 반응을 계획하고 조직화하여 의미 있는 활동을 통해 중추신경계의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는 치료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자세조절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안정성 한계를 넓힐 수 있는 신경발달학적 치료와 함께, 근골격계에서 빠른 근수축 반응과 효율적인 근수축 개시순서를 유발 할 수 있도록 고유수용성 운동조절 프로그램, 자세반응 촉진 프로그램과 같은 훈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