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tical migration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8초

3차원 플래시 메모리의 전하 손실 원인 규명을 위한 Activation Energy 분석 (Study on the Activation Energy of Charge Migration for 3D NAND Flash Memory Application)

  • 양희훈;성재영;이휘연;정준교;이가원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2-86
    • /
    • 2019
  • The reliability of 3D NAND flash memory cell is affected by the charge migration which can be divided into the vertical migration and the lateral migration. To clarify the difference of two migrations, the activation energy of the charge loss is extracted and compared in a conventional square device pattern and a new test pattern where the perimeter of the gate is exaggerated but the area is same. The charge loss is larger in the suggested test pattern and the activation energy is extracted to be 0.058 eV while the activation energy is 0.28 eV in the square pattern.

치아 상실 및 치아의 병적 이동이 일어난 환자의 다과간 협력진료 증례 (Multidisciplinary approach for a patient with teeth loss and pathologic teeth migration: case report)

  • 강성남;김형문;이지영;손미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4호
    • /
    • pp.329-338
    • /
    • 2014
  • 치주질환이나 우식으로 인해 구치부 치아가 상실된 환자들은 잔존하고 있는 전치부 및 소구치부 치아로 안정된 교합고경을 유지하기 어렵다. 구치의 상실로 대합치의 정출이나 인접치의 경사가 발생되는 경우 교합평면이 붕괴되거나 부적절한 교합간섭을 야기하게 된다. 만약 치아 상실 상태가 지속된 경우에는 하악의 전방이동으로 인해 상악 전치의 동요와 순측 이개를 초래하게 되며 치주질환이 동반된 경우에는 더욱 심각한 상황으로 변화한다. 이와 같이 치아의 병적 이동이 일어난 환자의 치료는 보존 및 치주치료, 교정 치료를 통한 재배열, 그리고 상실된 치아의 보철수복을 통한 교합 고경의 재설정 및 유지와 같은 다과간 협력 진료가 매우 중요하다.

2차원 중합전 일반화된-막 구조보정 (2D Prestack Generalized-screen Migration)

  • 송호철;설순지;변중무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3권4호
    • /
    • pp.315-322
    • /
    • 2010
  • 위상막 구조보정과 split-step Fourier 구조보정은 주파수-파수, 주파수-공간 영역에서 단방향 파동방정식을 이용하여 빠른 계산 속도로 수평적 속도변화를 고려할 수 있는 구조보정이다. 일반화된-막(generalized-screen) 구조보정은 주파수-파수영역에서 수직전파를 가정하는 위의 두 구조보정과는 달리 수직전파를 가정하지 않고, 지수함수의 무한급수 전개를 이용한다. 또한 수직느리기항의 테일러 급수전개를 일반화하여 고차항을 추가함으로써 급격한 속도변화를 갖는 지하구조에서 넓은 각으로 전파하는 파동장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이 논문은 다양한 경사와 급격한 속도변화를 포함하는 복잡한 지하구조를 효율적으로 보다 정확하게 영상화하기 위하여 2차원 일반화된-막 구조보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일정한 미소변량(constant perturbation)을 갖는 매질과 SEG/EAGE 암염돔을 모사한 모델에 대하여 일반화된-막 전파자와 위상막 전파자의 전파된 파동장을 비교한 결과, 일반화된-막 전파자가 파동장의 넓은각 전파에 대해 위상막 전파자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일반화된-막 전파자의 차수를 증가시킬수록 넓은 각으로 전파하는 파동장의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큰 수평적 속도변화와 급경사를 갖는 모델과 SEG/EAGE 암염돔 합성 탄성파탐사 자료에 대하여 일반화된-막 구조보정과 위상막 구조보정을 적용한 결과, 일반화된-막 구조보정이 속도변화가 크고 급격한 경사를 갖는 반사면을 보다 정확한 위치에 뚜렷하게 영상화하였다.

어군탐지기에 의한 어군의 분포와 생태계측에 관한 연구 (Hydroacoustic Investigation on the Distribution and Migration Behavior of Fish)

  • 이대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8권4호
    • /
    • pp.337-346
    • /
    • 1992
  • 어군탐지기를 이용하여 어군의 분포와 그 행동생태를 계측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어군의 연직적인 일주회유이동 및 초음파산란강도의 변동특성을 검토하고, 또한 수온의 연직구조와 어군의 연직분포특성과의 관계, 선박의 항주상태에 따른 어군의 행동반응 등을 현장실험을 통하여 검토, 고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어군의 공간분포특성은 수온의 연직구조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동중국해 중앙부에서 일출 직전까지 수온약층 바로 아래쪽에 군집하고 있던 칼오징어와 전갱이 어군이 일출과 더불어 해저를 향해 급속히 하강하는 일주회유이동이 관찰되었고, 그 하강속도는 0.24m/min이었다. (3) 수온약층이 탁월했던 제주도 서방해역과 대만 북부해역을 대상으로 어군의 연직분포특성과 수온의 연직구조와를 상호 비교 분석한 결과, 표층과 저층의 수온차가 크고, 또 중층에 뚜렷한 수온약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전갱이와 칼오징어군은 야간에 수온약층의 바로 아래쪽에 농밀하게 군집하는 특성을 나타내고, 또 표층과 저층의 수온차가 적은 경우에 있어서는 표층까지 완전히 부상하여 군집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선박을 정선시킬 때, 선저 직하에 분포하는 어족생물이 급히 연직적으로 하향 이동하는 도피행동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그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다시 원래의 유영층으로 상향이동하는 행동패턴을 나타내었다. 한편, 수온약층을 경계로 하여 상층과 하층에 분포하는 어족생물의 행동패턴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수온약층 아래쪽에 있어서는 어군이 현저한 도피행동을 나타내었지만, 그 위쪽에 있어서는 그러한 징후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현상은 수온약층 아래쪽에는 유영성이 강한 어족생물이, 그 위쪽에는 유영성이 약한 어족생물이 군집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당시 이 해역에서 행한 저층 트롤의 주요 어획물은 물메기, 살오징어, 삼치 등이었다.

  • PDF

Vertical Transport of Protons in Amorphous Ice

  • Moon, Eui-Seong;Kim, Young-Soon;Shin, Sung-Hwan;Kang, Heon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2회 동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279-279
    • /
    • 2012
  • In order to estimate the average migration lengths of $H_3O^+$ ions in amorphous ice, we conducted experiments of reactive ion scattering (RIS), low energy sputtering (LES), and reflection absorption IR spectroscopy (RAIRS) with an ultra-high vacuum (UHV) chamber. Dopped water-ice films were grown on the clean surface of Ru single crystal and analyzed with RIS, LES and RAIRS methods. The population changes of probe molecules, which were buried at a controlled distance from the surface, were monitored by those methods so that we can mesure the migration efficiencies. From the measured efficiencies, we evaluated the average migration lengths. This result is expected to give the information about the dynamics of proton in water-ice film.

  • PDF

SONOS NAND 플래시 메모리 소자에서의 Lateral Charge Migration에 의한 소자 안정성 연구 (Reliability Analysis by Lateral Charge Migration in Charge Trapping Layer of SONOS NAND Flash Memory Devices)

  • 성재영;정준교;이가원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38-142
    • /
    • 2019
  • As the NAND flash memory goes to 3D vertical Silicon-Oxide-Nitride-Oxide-Silicon (SONOS) structure, the lateral charge migration can be critical in the reliability performance. Even more, with miniaturization of flash memory cell device, just a little movement of trapped charge can cause reliability probl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predicting the trapped charge profile in the retention mode. Charge diffusivity in the charge trapping layer (Si3N4) was extracted experimentally, and the effect on the trapped charge profile was demonstrated by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

Fourcade 빙하지역의 GPR 자료처리 (Data Processing for a GPR survey of Fourcade glacier)

  • 김기영;홍명호;이주한;홍종국;진영근;손호웅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7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9-144
    • /
    • 2007
  • To delineate subglacial and englacial images of the western Fourcade Glacier in Antarctica, GPR data were acquired along a 470 m profile in November 2006. Signature deconvolution, migration velocity analysis, and finite difference depth migration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vertical resolution, obtaining the velocity function, and yielding clear depth images of the mixed-phase single-channel data, respectively. The source signature was extracted through stacking reflection signals from the basement. The deconvolution successfully compressed the source signatures to increase temporal resolution and attenuated reverberations. Medium velocities were analyzed with 112 diffraction events by the constant-velocity migration method based on the Stolt algorithm. Finally, depth migration based on the finite difference algorithm provided clear englacial and subglacial images in the laterally-varying velocity field.

  • PDF

Seasonal and diel abundance and feeding patterns of Chaoborus flavicans in Sang-Chun reservoir

  • Jeong, Ga-Ram;Park, Sang-Kyu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4권4호
    • /
    • pp.297-303
    • /
    • 2010
  • To document the basic ecological aspects of Chaoborus species, which has never been reported in Korea,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species, to monitor seasonal and vertical dynamics, and to elucidate trophic relations of the species in Sang-Chun reservoir. Using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 identified the collected samples as C. flavicans. Also, we compared the distribution of C. flavicans, Daphnia rosea and chlorophyll a to observed seasonal dynamics. The increase of C. flavicans was observed 1-2 weeks after the increase of D. rosea. Survey of diel vertica migration patterns in the summer season showed that C. flavicans were in hypolimnion at daytime, but moved to the epilimnion at night. Finally, to determine trophic relationships in Sang-Chun reservoir, additional studies on the food web were undertaken by stable isotope analysis. Chaoborus flavicans I-II instars appear to be filter feeders based on carbon isotope values. Trophic levels of C. flavicans III-IV instars were shown to be higher than other zooplankto based on nitrogen isotope values.

공산호에서 수화발생동안 Microcystis aeruginosa 수직분포의 변동 (Diurnal Changes of Vertical Distribution of Microcystis aeruginoa during the Water Bloom in Kongsan Reservoir)

  • 문주환;김한순
    • 생태와환경
    • /
    • 제33권2호통권90호
    • /
    • pp.119-127
    • /
    • 2000
  • Miceocystis aeruginosa에 의한 심한 수화가 발생한 1996년 여름동안 공산호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일수직분포와 물리.화학적 요인을 조사하였다. 최대 현존량은 M. aeruginosa가 우점으로 나타난 표층에서 나타났으며, 수심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M. aeruginosa개체군의 높은 밀도가 이른 아침과 저녁에 표층에 축척되었으나 일몰 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현존량의 대부분은 수심 5m 내에 분포하였고, 현존량의 일변화가 표층에서 명확하게 나타났으나 수직이동은 나타나지 않았다. 표층에서 현존량의 일변화는 바람에 의한 수평적 이동의 결과로 추측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