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ntricular

검색결과 2,088건 처리시간 0.025초

선천성 대동맥판 협착증에서 폐동맥판 자가이식편을 이용한 대동맥판 교체술:동종판막을 쓰지 않는 Ross술식 (Aortic Valve Replacement with Pulmonary Autograft in Patient with Congenital Aortic Stenosis : Ross Procedure without Homograft -one case report -)

  • 이은상;윤태진;서동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303-306
    • /
    • 1999
  • 본 증례는 Ross 술식에서 동종판막이나 이종판막을 쓰지않고 자가 대동맥 조직과 심낭으로 우심실 유출로를 성공적으로 재건한 보고이다. 선천성 대동맥판막 협착증을 진단 받은 8세 환아에서 시행한 폐동맥 자가 이식편을 이용하여 대동맥판을 교체하고 자가 대동맥 조직과 심낭편으로 단엽 판막을 만들어 우심실 유출로를 재건하였다. 술후 검사에서 심실과 새로운 대동맥판의 기능이 좋아 투약없이 19개월째 외래 추적관찰 중이다.

  • PDF

뇌실염이 합병된 수두증환자에서 피하터널 조루술 - 증례보고 - (Percutaneous Tunnel Ventriculostomy for the Hydrocephalus Complicated with Ventriculitis - Case Report -)

  • 황성남;조재영;박승원;김영백;최덕영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7호
    • /
    • pp.939-942
    • /
    • 2001
  • Thirty nine-year-old man who required urgent shunt operation due to rapidly deteriorating visual acuity suffered from ventriculitis after aneurysmal operation. Daily dose of 20mg of vancomycin and amikyn were given intraventricularly via external ventricular catheter after failure of various kinds of systemic antibiotics. The exit of the catheter was made on the upper chest wall to prevent superinfection. External ventricular drainage could finally be switched to ventriculo-peritoneal shunt and he was discharged with clinical improvement.

  • PDF

Role of Protein Kinase C in $\alpha_1$-Adrenergic Regulation of $a^i_{Na}$ in Single Guinea Pig Ventricular Myocyles

  • Jo, Su-Hyun;Lee, Chin-Ok
    • 한국생물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물리학회 1997년도 학술발표회
    • /
    • pp.28-28
    • /
    • 1997
  • Stimulation of $\alpha$$_1$-adrenergic receptor ($\alpha$$_1$-AR) by phenylephrine produced a decrease in intracellular N $a^{+}$ activity ( $a_{Na}$ $^{i}$ ) in multicellular preparations of cardiac tissues. The role of protein kinase C (PKC) in $\alpha$$_1$-adrenergic regulation of $a_{Na}$ $^{i}$ was studied in single ventricular myocyte isolated from guinea pig hearts. $a_{Na}$ $^{i}$ and membrane potential were measured with N $a^{+}$ indicator, sodium-binding benzofuran isophthalate tetraacetoxy methyl ester (SBFI/AM) and microelectrodes respectively when ventricular myocyte was stimulated at 0.3 Hz.(omitted)d)

  • PDF

Spontaneous closure of perimembranous ventricular septal defect in a cat

  • Soolyi Park;Hyunseon Jeong;Seunggon Lee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3권4호
    • /
    • pp.36.1-36.4
    • /
    • 2023
  • We discuss the case of a 5-month-old male British Shorthair cat referred to our hospital following the detection of a heart murmur during a routine vaccination appointment. Two-dimensional echocardiography revealed a 1.18 mm ventricular septal defect (VSD) located immediately below the aortic valve, without signs of secondary cardiac remodeling. Given the absence of cardiac dysfunction, no treatment was administered, and the cat was periodically monitored over the next 2 years. Echocardiography at 29 months of age revealed no signs of the VSD.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increase the evidence base for spontaneous VSD closure in small animals.

A Knife Penetrating the Right Ventricle, Interventricular Septum, and 2 Valves: A Case Report

  • Megan Minji Chung;Stephanie Nguyen;Isao Anzai;Hiroo Takayama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6권6호
    • /
    • pp.456-459
    • /
    • 2023
  • Penetrating chest trauma may result in significant intracardiac injury. A traumatic ventricular septal defect is a rare complication that requires surgical management, particularly if heart failure ensues. We report a case of delayed repair of an outlet-type ventricular septal defect and perforation of the aortic and pulmonary valve leaflets following a stab wound. This report highlights diagnostic and surgical considerations and also presents an opportunity to review the conotruncal anatomy, which may be relatively unfamiliar to many adult cardiac surgeons.

조기 수축의 진단과 치료 (Diagnosis and Treatment of Premature Atrial or Ventricular Complexes)

  • 안진희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 /
    • 제99권1호
    • /
    • pp.17-24
    • /
    • 2024
  • Premature atrial complex (PAC) and premature ventricular complex (PVC) are the most common arrhythmias. Most of them are benign, whereas some could be an initial sign of any underlying significant heart disease. Evaluation of daily burden and the presence of any association with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are essential for proper assessment. Recently, newly developed electrocardiogram smart devices are widely available to document arrhythmias and identify correlations with symptoms. Management is required if the daily burden is high, patients are highly symptomatic, or significant structural heart disease is present. Antiarrhythmic drugs (AADs) are the first-line treatment, but if arrhythmias are drug-refractory or the patients are intolerable to AADs, catheter ablation is considered a good alternative in selected cases. In this paper, the proper diagnosis and management for PAC and PVC will be comprehensively reviewed.

온전한 심실 중격을 가진 폐동맥 폐쇄증의 신생아기 수술 치료의 중기 성적 (Mid-term Results of Neonatal Surgical Management of Pulmonary Atresia with Intact Ventricular Septum)

  • 곽재건;김웅한;김동진;이창하;이정렬;김용진;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2호
    • /
    • pp.815-820
    • /
    • 2005
  • 배경: 온전한 심실 중격을 가진 폐동맥 폐쇄증은 드문 선천성 심장 질환으로, 치료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법이 있어 왔지만, 아직까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방법은 없는 실정이다. 대상 및 방법: 1999년에서 2000년 사이에 온전한 심실 중격을 가진 폐동맥 폐쇄증을 진단 받고 수술한 14명의 신생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심초음파로 삼천판막의 크기를 측정하여 Z 값을 구하였다. 환자 모두에게 심초음파에 의한 추적관찰이 가능하였으며,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46.0$\pm$9.5개월이었다. 결과: 14명의 환자들 중 2명의 조기 사망이 있었고, 1명의 환자는 1과 1/2심실교정의 시행 후 만기 사망하였다. 7명의 환자에서 양심실성 교정이 가능하였고, 이들의 Z값은 -0.8$\pm$1.50이었다. 1과 1/2심실 교정이 3명의 환자에게 시행되었으며, 이들의 Z값은 각각 -2, -2.5, -3이었다. Z값이 -4.5, -4.6인 2명의 환자에게 있어 단심실성 교정을 시행하였다. 이들 모두에 대한 심초음파 추적이 이루어졌으며, 남아 있는 심장 내의 결손으로 중등도의 폐동맥판막 폐쇄부전이 2명, 심한 정도의 폐동맥판막 폐쇄부전이 2명 있었다. 환자들의 우심실 기능은 비교적 괜찮았으며, 좌심실 기능은 정상이었다. 결론: 온전한 심실 중격을 가지고 있는 폐동맥 폐쇄증을 가지고 있는 신생아 환자들에게 있어 수술적 치료의 사망률은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삼첨판막의 크기를 고려한 수술 방침의 결정은 비교적 안전하고 좋은 결과를 보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기 유압식 심실보조장치의 동물실험 연구 (An Animal Study on Electrohydraulic Type Ventricular Assist Device)

  • 백완기;심상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7호
    • /
    • pp.689-699
    • /
    • 1996
  • 신개발한 전기 유압식 심실 보조장치의 생 체 내 성능 테스트와 상기 심실보조장치를 이용한 좌심실 보 조가 자연심장 좌심실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동물실험을 고안하였다. 총 성숙 면양 8마리가 실험에 사용되었으며 이중 7마리로부터 자료 수집이 가능하였다. 심실 보조시 간은69분부터 7일 사이로 심실보조장치는 자연심장의 박동수범위 내에서 동기식 및 비동기식 방식 모 두 만족스럽게 작동하였으며, 좌심방 내의 음압의 발생 없이 주어진 정상 좌심방압 내에서 분당 4리터 이상의 보조 혈류량을 얻을 수 있었다. 심실보조 개시 3일 이후부터 혈중 유리혈색소의 급격한 증가를 보여 상당량의 용혈이 진행되고 있음 을 시사하였다. 또한 심실보조 후 혈액 남의 부동형 고분자판막(floating type polymer valve)에 소량의 혈 전이 발견되어 혈액적 합성 및 혈전저항성 면에 있어 보다 많은 연구 및 개선의 여지가 있음을시사하였 다. 심실보조시작후의 혈역학의 변화는혈류보조량분당2.0∼2.5리터 사이에서 자연심장의 박동수및 박출량과 좌심실 분당작업량(left ventricular minute work), 심내막 생육력비 (endocardial viability ratio), 흔합 정맥혈 및 관상동맥 정맥혈 산소량은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으며,반대로 좌심실압 및 좌심방압과 좌심실압 변화율(left ventricular dp/dt)은 감소하는 소견을 보였다. 이중 심박출량의 변화 외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효과적 인 좌심실의 탈부하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동기식 심실보조시 심내막 생육력비 및 관상정맥혈의 산소량은 비동기식 심실보조시와 비교할 때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동기식 심실보조에 의한 반박동(counterpulsation)이 심근의 관 류량을 증가시키며 따라서 손상된 심근의 회복에 유리 함을 시사하였다.

  • PDF

좌심실유출로 협착증의 외과적 요법 - 대동맥판막하 협착증의 임상고찰 - (Surgical Mnayement of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Obstuction -A Clinical Study on Subaortic Stenosis-)

  • 김관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11호
    • /
    • pp.893-901
    • /
    • 1994
  • Forty nine patients [M: 31, F: 18], age from 2 months to 17 years [mean= 4.9 years], underwent operations, from April 1986 to December 1992, for the relief of subvalvular aortic stenosis in normal atrioventricular and ventriculoarterial connections.There were 4 anatomic types of subaortic stenosis : membranous in 29 cases [59.2%], fibromuscular in 11 [22.4%], diffuse tunnel type in 7 [14.3%], and miscellaneous in 2 cases. Thirty four patients [69.4%] had associated cardiac anomalies, of which ventricular septal defect was the most common [27 cases]. Other anomalies were patent ductus arteriosus, coarctation of the aorta, valvular aortic stenosis, double chambered right ventricle [DCRV], infundibular pulmonic stenosis, persistent left superior vena cava, and rigt aortic arch. Mean systolic pressure gradient between the left ventricle and ascending aorta was 26.4$\pm$17.6 mmHg : 13.1$\pm$17.6mmHg in the membranous type, 22.0$\pm$18.4mmHg in the fibromucular type, and 56.1$\pm$38.4mmHg in the diffuse tunnel type. Operative procedure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subvalvular aortic stenosis : simple excision of subaortic membrane in the membranous type [29 cases], left ventricular myectomy with or without myotomy or fibrous tissue excision in the fibromuscular type [11 cases]. Among the 7 of diffuse tunnel type cases, ventricular myectomy was performed in 2 and a modified Konno operation was performed in 5 . Postoperative follow up was made with periodic echocardiography. The Mean postoperative follow up period was 33.8 months. There were 2 hospital mortalities [4.1%] and 2 late deaths. Residual stenosis remained in 3 cases and recurrence developed in 2 cases during the follow up period. 5 years actuarial survival rate was 91.8$\pm$3.9% and 5 year complication free rate was 72.3$\pm$10.4%. Conclusions : 1. Subvalvular aortic stenosis should be relieved completely as soon as possible when diagnosed, regardless of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pressure gradient. 2. Good results were obtained using only simple excision of subaortic membrane in the membranous type of subaortic stenosis. However, aortoventriculoplasty [modified Konno prodedure] was necessary for good results in the diffuse tunnel type. 3. Periodic postoperative echocardiography was helpful in detecting the progression of residual stenosis and development of new stenosis.

  • PDF

영아기 심실중격결손의 개심술 (Open Heart Surgery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in Infancy)

  • 조준용;허동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271-277
    • /
    • 1996
  • 영아기에는 수술에 따른 위험 도가 높기 때문에 가능하면 수술을 피 해야 하지만, 제한된 경우에서 비 교적 큰 심실중격결손을 가진 영아에서도 개심술을 시행하게 된다. 따라서, 난치성 울혈성 심부전, 폐동 맥고혈압, 발육부진, 그리고 반복되는 호흡기 감염이 있는 경우에는 개심술을 시행하게 된다. 저자들은 1991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31례의 영아 심실중격결손환아에서 개심술을 시행하였다. 연령분포는 6개월에서 12개월까지 였고 평균연령은 9.2개 월이 었다. 31례중 남자가 23례 였고, 여자가 8례 였다. 평균 체중은 7.4킬로그램이 었다. 심실중격 결손의 가장 흔한 형 태는 막상주위 형 (64.5%)이었으며, 동반 심기 형은 17례 (55.8%)에서 있었다. 승모판 폐쇄부전이 가장 많았으며 (16.1%), 동맥관개존이 그 다음이 었다 (12.8%). 심 도자검 사결과에서 폐-체 혈류량비, 폐-체 혈압비, 폐-체저 항비는 각각 2.1∼3.0, 0.70이상, 0. 1∼0.25사이 에서 가장 많았다. 수술적응증에서는 폐동맥고혈압이 20례, 울혈성 심부전이 3례, 반복되는 호흡기 감염이 10El,그리고 발육부전이 14례로 나타났다. 가장혼한심장절개법과수술방법은우심방 절개 (58%)와 다크론패취봉합(94%)이 었다. 술후 합병증은 10례 (32%)에서 있었으며, 사망률은 12.9% (4례)이었다 사망례는8개월, 8킬로그램이하의 영아에서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