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tion period

검색결과 395건 처리시간 0.02초

Global Warming and Alpine Vegetation

  • Kong, Woo-seok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6호
    • /
    • pp.363-369
    • /
    • 1999
  • Reconstruction of the past vegetational changes of Korea in connection with climate changes enables to understand the impacts of past and future global warming on alpine vegetation. Despite the early appearance of the cold-tolerant vegetation since the Mesozoic Era. the occurrence of warmth-tolerant vegetation during the Oligocene and Miocene implies that most of alpine and subalpine vegetations have been confined to the alpine and subalpine belts of northern Korean Peninsula. The presence of cold-episodes during the Pleistocene. however. might have caused a general southward and downslope expansions of cold-tolerant alpine and subalpine vegetation. But the climatic warming trend during the Holocene or post-glacial period eventually has isolated cold-tolerant alpine and subalpine vegetation mainly in the northern Korea. but also on scattered high mountains in the southern Korea. The presence of numerous arctic-alpine and alpine plants on the alpine and subalpine belts is mainly due to their relative degree of sensitivity to high summer temperatures. Global warming would cause important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ltitudinal distributional pattern. The altitudinal migration of temperate vegetation upward caused by climatic warming would eventually devastate alpine plants.

  • PDF

충남 아산 곡교천 유역의 제4기 후기 화분분석 - 최종빙기 최성기~만빙기 식생 및 기후환경에 주목하여 - (The Late Quaternary Pollen Analysis of Gokgyo River Basin in Asan-City, Korea - Focused on Vegetation and Climate Environment between the Last Glacial Maximum and the Late Glacial -)

  • 박지훈;김성태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20
    • /
    • 2013
  • 충남 아산 곡교천 유역에 있어서 최종빙기 최성기~만빙기의 기후 및 식생환경을 밝히기 위하여 아산 장재리 지역의 곡저평야 충적층을 대상으로 화분분석을 실시하였다. 시료채취지점은 현재 낙엽활엽수림대(냉온대 남부)에 포함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지역의 약 19,300-14,100yrB.P.의 식생환경은 크게 YJ-I 기(期)와 YJ-II 기(期)로 구분되며, YJ-Ia 기(期)는 다시 YJ-Ia 기(期)와 YJ-Ib 기(期)로 세분된다. YJ-Ia 기(期)(19,300-17,500yrB.P.)는 최종빙기 최성기에 대비되며 당시의 식생은 삼림에 비해 초지의 분포역이 상대적으로 약간 넓으며 이 시기의 삼림식생은 침활혼합림이다. YJ-Ib 기(期)(15,400-14,750yrB.P.)는 만빙기(또는 최종빙기 최성기)에 대비되며 YJ-Ia 기(期) 보다 삼림에 비해 초지의 분포역이 더욱 넓어졌으며 이 시기의 삼림식생은 침활혼합림이지만 우점 수종에 있어 차이가 있다. YJ-II 기(期)(약 14,650-14,100yrB.P.)는 만빙기에 대비되며 당시의 식생은 YJ-Ib기(期)에 비해 삼림보다 초지의 분포역이 더욱 넓어졌으며 이 시기의 삼림식생은 침엽수림이다. (2) YJ-I 기(期)와 YJ-II 기(期)는 모두 만빙기 후기(약 12,000-10,000yrB.P.)~홀로세 초기(10,000-8,500yrB.P.)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랭 건조했다, 그리고 YJ-II 기(期)가 YJ-I 기(期) 보다 상대적으로 한랭했으며, YJ-Ib 기(期)가 YJ-Ia 기(期)에 비해 약간 더 습윤했다.

多島海 海上國立公園內의 常錄闊葉樹林에 對한 植物社會學的 硏究 ( 4 ) - 外羅老島의 植生을 中心으로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IV) -The Vegetation of Oinarodo Island-)

  • Kim, Chul-Soo;Jang-Geun Oh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1호
    • /
    • pp.49-61
    • /
    • 1991
  • Phytosociological invesstigation of the forest vegetation was carried out in Oinrodo island at the period from June 5th 1990 to June 10th 1990 by Braun-Blanquet's metho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0 communities,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Machilus thunsbergii, Neolitsea sericea, Quercus glauca-Actinodaphne lancifolia, Pinus thunbergii, Chamaecyparis obtusa, Cryptomeria japonica, Quercus acutissima, Quercus variabilis, and Carpinus coreana communit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drawn in 1 : 50,000 scale.

  • PDF

식생/모래기반 자연해빈에서의 지하수위 변동특성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water Level of Natural Vegetation and Sandy Beaches)

  • 박정현;윤한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2-73
    • /
    • 2016
  • 식생/모래기반 자연해빈에서의 파랑, 조석, 강우조건에 의한 지하수위 변동은 식생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는 식생 발달 및 지반 안정화에 크게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의 사주섬 중 최서측에 위치하는 진우도를 대상으로 실험구를 구축한 후 해안선의 법선 방향으로 관측점 5곳을 선정하여 2012년 3월부터 2014년 9월까지(약 799일간) 관측된 수온, 전기전도도, 압력값을 이용하여 지하수위 변동해석을 하였다. 지하수위의 수온, 염분, 수위 변동과 조위, 파랑, 강수량 등의 외력조건과의 시계열 분석 및 상관분석을 통하여, 소상대 정점에서는 파랑 및 조위의 영향, 식생 및 모래지반 정점에서는 강수량 및 조위의 영향을 크게 받음을 알 수 있었다. 고파랑 내습시 관측점간의 지하수위 및 전기전도도의 공간적 거동을 살펴본 결과 Sand dune 및 Vegetation zone이 시작되는 인근에서 담수층과 해수층의 천이 영역(Transition zone)이 존재하였다.

국내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용 식생기반재의 이화학적 특성 및 탄소고정량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Carbon Storag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egetation Soil for Extensive Green Rooftop Used in Korea)

  • 이상진;박관수;이동근;장성완;이항구;박환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5-125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comparison of carbon storag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egetation soil for extensive green rooftop establish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september 2013. For this study, 42 plots were made by 2 kinds of vegetation soil including A-type and B-type. A-type vegetation soil plots were made of 90% perlite and 10% humus and B-type vegetation soil plots were made of 60% perlite, 20% vermiculite, 10% coco peat and 10% humus. This study used 6 kinds of plants which are Aster koraiensis, Sedum takesimense, Zoysia japonica Steud, Euonymus japonica, Rhododendron indicum SWEET and Ligustrum obtusifolium. Field research was carried out in 11 months after planting.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B-type vegetation soil plots were better than A-type vegetation soil plots in every way and soil carbon content was also higher at B-type vegetation soil plots as well. B-type vegetation soil plots were maintained 10 to 20% higher soil water content than A-type vegetation soil plots of the study period. The species of herb which showed the best carbon storage was Zoysia japonica Steud at B-type vegetation soil plots. The species of shrub which showed the best carbon storage was Ligustrum obtusifolium at B-type vegetation soil plots. Plants generally showed better growth at B-type vegetation soil plots and B-type vegetation soil plots were higher than A-type vegetation soil plots in soil carbon stock.

多島海 海上國立公園內의 常綠闊葉樹林에 對한 植物社會學的 硏究 ( II ) - 金鰲列島의 植生을 中心으로 -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The vegetation of Kumo Archipelago-)

  • Kim, Chul-Soo;Oh, Jang-Ge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3권4호
    • /
    • pp.343-359
    • /
    • 1990
  •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forest vegeation was carried out in Kumo archipelago at the period of May 21th 1990 to May 29th 1990 by Braun-Blanquet's metho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7 communities, Camellia japonica,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Machilus thunbergii, Camellia japonica-Pinus thunbergii, Camellia japonica-Torreya nucifera, Carpinus coreana and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the actual vegetation maps were drawn in 1 : 50,000 scale.

  • PDF

휴경답에서의 토양의 이화확적 특성, 주요 영양분 및 잡초종의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Soil Properties, Major Soil Nutrient Contents, and Weed Vegetation in Paddy Fields during Fallow Period)

  • 한성욱;정갑채;천상욱;이희재;구자옥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1-214
    • /
    • 1998
  • 휴경답에서의 휴경년한에 따른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주요 영양분의 변화 및 잡초종의 식생 변화를 조사하였다. 휴경년한이 경과할수록 휴경답 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pH는 휴경후 3년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이후로는 다소 증가하였다. 토양의 양이온치환용량 및 치환성 N, K, Ca, Mg의 함량은 휴경후 3년까지는 감소하였으나 휴경년한이 길어지면서 증가하였다. 유효 $P_2O_5$의 함량은 휴경년한이 길어지면서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유효 $SiO_2$의 함량은 3년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그이후로는 증가하였다. 휴경답에서의 잡초종 구성은 초기에는 화본과, 사초과 및 국화과가 주종을 이루었으며 휴경년한이 경과할수록 마디풀과와 골풀과의 잡초 발생이 증가하는 반면 콩과, 물옥잠과, 닭의장풀과, 바늘꽃과의 잡초 발생이 점차 감소하였다. 그러나 화본과의 사초과의 잡초종은 휴경년한의 경과와는 관계없이 항상 우점종으로 발생하였다. 일반적으로 휴경화가 진전될수록 일년생 잡초종에 비해 다년생 잡초종의 발생 비율이, 또한 논 잡초종에 비해 밭 잡초종의 발생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 PDF

SEMI-AUTOMATIC EXTRACTION OF AGRICULTURAL LAND USE AND VEGETATION INFORMATION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 Lee, Mi-Seon;Kim, Seong-Joon;Shin, Hyoung-Sub;Park, Jong-Hwa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147-150
    • /
    • 2008
  • This study refers to develop a semi-automatic extraction of agricultural land use and vegetation information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Data of IKONOS satellite image (May 25 of 2001) and QuickBird satellite image (May 1 of 2006) which resembles with the spatial resolution and spectral characteristics of KOMPSAT3. The precise agricultural land use classification was tried using ISODATA unsupervised classification technique and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on-screen digitizing land use accompanying with field investigation. For the extraction of vegetation information, three crops of paddy, com and red pepper were selected and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during each growing period using ground spectroradiometer. The vegetation indices viz. RVI, NDVI, ARVI, and SAVI for the crops were evaluated. The evaluation process is under development using the ERDAS IMAGINE Spatial Modeler Tool.

  • PDF

광양만의 해조류에 관한 연구 1. 해조군집의 계절적 변화 (A Study on the Marine Algae in the Kwang Yang Bay 1. the Seasonal Variation of Algal Community)

  • 이인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8권3호
    • /
    • pp.109-121
    • /
    • 1975
  • The seasonal variations of the marine algal community were detected with quadrat method during May, 1974-May, 1975 at several stations in the Kwang Yang Bay.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alinity and water current, etc., and algal vegetation, the Bay was divided into 3 sections; Section I-Myodo and the adjacent area; Section II-Eomnamuseom and the adjacent area; Section III-inlet of the Bay from Odongdo, Yeosu. The dominant species, shown by 5-grades coverage and bimonthly investigations, appear in the order of Sargassum thunbergii(Jan.)>Chondria crassicaulis (Mar.)>Ulva pertusa(May)>U. pertusa (July)>U. pertusa and Gigartina intermedia(Sept.)> Sarg. thunbergii and Gelidium pusillum (Nov.) in Section I, and Sargassum thunbergii(Jan.)>Ulva pertusa and Hizikia fusiforme (Mar.)>U. pertusa and Sarg. thunbergii(May)>Chondria crassicaulis (Sept.)>Ch. crassicaulis (Nov.) in Section II. The members such as Srgassum thunbergii, Gelidium pusillum, G. divaricatum, Hizikia fusiforme, Carpopeltis affinis, and Chondria crassicaulis show the most luxuriant period of growth in winter (Nov.-Mar.), while Ulva pertusa shows the period in May. However, considering the dry weight of total vegetation, the most luxuriant period apperas in May and the poorest one in July. The total dry weight of the vegetation in Section II is about 3.2 times more than the one in Section I.

  • PDF

1950년 이후 한국, 중국, 일본의 식생변화 및 이에 따른 수문순환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 in hydrological cycles of South Korea, China and Japan due to the change of their vegetation since 1950)

  • 송성욱;조은샘;유철상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70-483
    • /
    • 2017
  • 산림면적의 변화와 같은 토지피복 또는 토지 이용의 변화는 물과 에너지 순환의 변화를 유발하여 궁극적으로 하천 유량, 증발산, 토양수분, 기저유량과 같은 수문순환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지표수문모형과 다양한 토양, 토지이용, 식생, 기상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과거 장기간에 걸쳐 나타난 수문순환의 변화를 모의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에 해당하는 중국, 일본, 남한에서 나타난 과거 50여 년 간(1955-2010년)의 수문순환 변화를 모의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시기별 동아시아 국가들의 식생분포를 적절히 반영하는 토지피복도를 선별하여 이용하였다. 수문순환 모의 결과, 전 기간에 걸쳐 중국의 유출률 평균이 47.0%로 나타나고, 일본의 경우에는 62.7%, 남한의 경우에는 49.4%로 나타났다. 전체 모의 기간에 따른 토양수분의 평균을 국가별로 살펴보면, 중국이 22.2%, 일본이 35.6%, 남한은 23.9%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증발산의 경우, 중국의 경우 모의기간 전체에 대한 증발산율 평균은 52.7%, 일본은 37.3%, 남한은 50.4%로 모의되었다. 특히, 중국에서는 모의 시기별(1955-1990년, 1991-2000년, 2001-2010년)로 수문순환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일본은 식생 안정화에 따른 안정적인 수문순환 성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남한에도 식생 안정화에 따른 수문순환 성분의 안정화가 다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