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ble peanut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2초

Oil content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83 Groundnut (Arachis hypogaea L.) Genetic resources

  • Jae Eun Lee;Awraris Derbie Assefa;Young Jee Kim;Ae jin Hwang;Bich Saem Kim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5-95
    • /
    • 2020
  • The groundnut (Arachis hypogaea L.), also known as peanut, is a high amount of good-quality vegetable oil in seeds cultivated worldwid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analyze oil composition of 83 groundnut accessions collected from 7 countries include Korea and Philippines. Total oil contents were recovered by Soxhlet extraction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analyzed by using gas chromatography. Total oil contents of 83 groundnut accessions showed a significant variability among the entire domain of collections and rangerd from 44.59 to 57.58 %. The averages of palmitic and stearic acid were 11.36 and 3.39 % ranged from 8.77 to 13.65 %, and 1.88 to 7.22 %, respectively. Oleic and linoleic acid showed a wide variation which ranged from 40.32 to 61.67 %, and 22.54 to 41.99 %, respectively. Arachidic acid was ranged from 0.93 to 2.42 %.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oleic and linoleic acid.

  • PDF

방제방법이 땅콩뿌리혹선충 밀도와 참외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trol Methods on Yields of Oriental Melon in Fields Infested with Meloidogyne arenaria)

  • 김동근;최동로;이상범
    • 식물병연구
    • /
    • 제7권1호
    • /
    • pp.42-48
    • /
    • 2001
  • 참외 연작지에서 문제가 되는 뿌리혹선충의 효율적인 방제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땅콩뿌리혹선충이 감염된 성주과채류시험장 온실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재배적 방제로는 참깨, 파, 옥수수 및 벼를 참외 심기 전에 윤작작물로 재배하였고, 물리적 방제는 건토, 태양열처리 및 객토였으며, 화학적 방제약제로는 forthizate 입제를 사용하였다. 방제효율은 방제 방법간 큰 차이가 있었는데, 벼 윤작, 태양열처리, 객토에서 방제효과가 가장 높아 뿌리혹선충 밀도는 90% 감소하였고 참외 수량은 무처리에 비해 2배 증수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구에서 선충밀도가 6월 이후 다시 증가하여 처리효과는 참외 한 작기에만 유효하였다. 다음으로 효과가 높은 것은 옥수수 윤작, 건토, forthizate 처리였다. Forthizate 처리는 초기 수량에서 유의한 증수 효과가 인정되었으나(P=0.05) 후기 수량과 전체 수량에서는 증수 효과가 없었다. 윤작작물로 참깨와 파는 선충 방제 효과가 없었다.

  • PDF

대구지역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식품선호도 및 영양소 섭취 실태 조사 (Survey of the Food Preferences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People Hospitalized in a Nursing Hospital in Daegu)

  • 박주연;김은정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30권1호
    • /
    • pp.41-60
    • /
    • 2024
  • The number of elderly in care facilities is increasing in parallel with a rapid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We analyzed the meal satisfaction ratings, food preferences, and nutritional intakes of 74 patients aged ≥65 years living in a nursing hospital in Daegu. Food preferences were high for cooked rice, rice gruel, meat soup, soybean paste stew, beef, frozen pollack, squid, egg, spinach, sea mustard, cabbage kimchi, apple, peanut, drinking yogurt, pickled perilla leaves, and salted squid. Preferences for duck (P<0.01) and vegetable (P<0.01) cooking metho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men and women, and preference for soybean paste stew increased with age (P<0.05). Regarding nutrient intakes, men had higher energy (P<0.01), carbohydrates (P<0.05), and zinc (P<0.05) intakes than women, while women had higher vitamin C (P<0.05) intake than men. Furthermore, energy (P<0.001), carbohydrates (P<0.001), protein (P<0.05), dietary fiber (P<0.01), vitamin B6 (P<0.01), phosphorus (P<0.05), and zinc (P<0.001) intake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ge. Men had a significantly higher nutrient adequacy ratios (NARs) for carbohydrates (P<0.05) and cal- cium (P<0.01) than women, while women had a significantly higher NARs for protein (P<0.05), vitamin A (P<0.01), vitamin C (P<0.05), thiamine (P<0.01), riboflavin (P<0.001), iron (P<0.001), and zinc (P<0.01). Mean adequacy ratios were 0.69 for men and 0.75 for women. In particular, NARs for carbohydrates (P<0.01), vitamin B6 (P<0.01), and calcium (P<0.05)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In summary, the study shows that supplementing vitamin C, vitamin B6, calcium, and iron, reducing sodium, and providing meals that reflect preferences will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es of elderly residents in a nursing hospital.

식품 중 결합형 3-MCPD 오염실태조사 (Survey of Contaminants of Bound 3-MCPD in Food)

  • 강영운;박성국;서정혁;김동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9-293
    • /
    • 2010
  • 식품을 제조, 가공하는 과정 중 생성되는 3-MCPD (3-Monochloropropane-l,2-diol)는 식품 중 미량 존재하는 유해 물질로 우리나라에서는 산분해간장 빛 혼합간장과 산분해단백질 (HVP)에 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3-MCPD 지방산에스테르라고도 불리는 결합형 3-MCPD는 지방산과 글리세라이드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중간물질로서, 독일 연방위해 평가원(BfR)에서는 3-MCPD 지방산에스테르 자체의 독성이나 위해성에 대한 자료는 부족하지만, 인체내에 식품형태로 들어가서 가수분해될 때 3-MCPD가 생성될 수 있으므로 저감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개발된 결합형 3-MCPD 분석법을 이용하여, 간장 등 장류 식품, 조미식품과 식육가공품 등 209건에 대해 결합형 3-MCPD 함량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209건의 검체 중에서 장류의 경우 44건의 검체 중에서 8건에서 결합형 3-MCPD가 검출되었고(0.02~0.28ppm), 스프 12건 종 8건에서 결합형 3-MCPD가 검출되었다(0.01~0.96ppm). 소스는 60건 중 22건에서 결합형 3-MCPD가 검출되었으며(0.01~0.55ppm), 식육가공품의 경우 총 30건의 검체 중 16건에서 결합형 3-MCPD가 검출되었다(0.04~0.l8ppm). 스낵과자에서는 28건 중 20건에서 결합형 3-MCPD가 검출되었고(0.09~1.43ppm), 유탕면제품 10건 중 8건에서 검출되었다(0.04~1.22ppm). 견과류가공품 10건 중 6건에서 결합형 3-MCPD가 검출되었으며 (0.06~0.25ppm), 식물성크림에서는 15건 중 1건에서 결합형 3-MCPD가 0.05ppm이 검출되었다. 이상의 검출수준은 제외국과 비교할 때 낮은 수준이었다.

지방질성분(脂肪質成分)이 보리가루의 Amylograph특성(特性)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pid Constituents on the Amylograph Characteristics of Barley Flour)

  • 최인숙;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9-107
    • /
    • 1984
  • 지방질(脂肪質)과 유화제(乳化?)가 보리가루의 점조성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기 위하여 쌀보리품종(品種)인 백동을 분말로 만들어 각종(各種) 첨가물질(添加物質)을 1%목준(木準)으로 동일(同一)하게 첨가(添加)하고, 그 점조성을 Brabender Amylograph를 사용(使用)하여 측정하였다. 보리가루의 amylogram 점성은 밀가루에 비하여 높으며 최고점도는 밀가루의 3배가 되었다. 유리지방질(遊離脂肪質)을 제거한 보리가루의 점도곡선(曲線)은 탈지(脫脂)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호화개시온도와 최고점도가 저하되었다. 이때 추출(抽出)한 유리지방질(遊離脂肪質)을 원래의 수준(水準)으로 다시 첨가(添加)하여 그 점도곡선(曲線)은 탈지(脫脂)하지 않은 보리가루의 점도곡선(曲線)과 잘 일치(一致)되었다. 보리추출지방질(抽出脂肪質)을 결합(結合) 및 유리지방질(遊離脂肪質), 극성(極性) 및 비극성지방질(非極性脂肪質)로 분리(分離)하여 첨가(添加)한 경우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의 호화양상은 극성지방질(極性脂肪質)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유리지방질(遊離脂肪質)은 비극성지방질(非極性脂肪質)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비극성지방질(非極性脂肪質)의 첨가시(添加時)에는 최점도가 상승되었으며, 극성지방질(極性脂肪質)의 첨가시(添加時)에는 최고점도에 별다른 영향(影響)이 나타나지 않았다. 지방산(脂肪酸)의 첨가시(添加時), 탈지(脫脂)보리가루의 최고점도와 그때의 온도는 상승하는 경향(傾向)이었다. 지방산의 첨가효과(添加?果)는 포화지방산(脂肪酸)보다 불포화지방산(脂肪酸)의 경우 크게 나타났으며, 포화지방산중(脂肪酸中)에서는 팔미트산과 미리스트산의 경우에 가장크게 나타났다. 식물성기름을 첨가(添加)한 경우 호화개시온도는 다소 감소(減少)되었으며, 최고점도와 그때의 온도는 약간 상승되었다. 또한 식물성 기름의 첨가수준(添加水準)을 높이면 최고점도는 다소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다. 유화제(乳化劑)의 첨가(添加)는 탈지(脫脂)한 보리가루에서 보다는 탈지(脫脂)하지 않은 보리가루에서 점도의 상승효과(上昇? 果)가있었다. 탈지(脫脂)보리가루에 있어서 M-ethocel 4000, sodium polyacrlate, calcium stearyl lactyalte는 최고점도를 상승(上昇)시켰으며, 특(特)히 calcium stearyl lactylate는 냉각점도를 크게 상승(上昇)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