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ble growing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9초

Nutritional value and in situ degradability of fruit-vegetable byproducts and their feeding effects on performance of growing Hanwoo steers

  • Song, Keun Hong;Woo, Jun Sik;Kim, Ju Ri;Ryu, Gyeong Lim;Baek, Youl Chang;Oh, Young Kyoon;Kwak, Wan Sup;Park, Keun Ky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6호
    • /
    • pp.973-980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nutritional value and in situ degradability of fruit-vegetable byproducts and their feeding effects on performance of growing Hanwoo steers. Methods: Nutritional value and in situ degradability of cabbage, Chinese cabbage and fruit-vegetable byproducts were assessed. In vivo feeding trial was also performed for 12 weeks. Thirty-six growing steer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body weight (BW) and age in 12 pens (4 replications/treatment) and assigned to one of the three dietary treatments: control (byproduct 0%), FV-B (fruit-vegetable byproduct 20%), and CA-B (cabbage peel 15% plus Chinese cabbage peel 15%, total byproduct 30%). Results: The crude protein contents of cabbage, Chinese cabbage and fruit-vegetable byproducts were 18.69%, 20.20%, and 10.07%, respectively. Concentrations o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were higher in cabbage (22.31%) and Chinese cabbage (28.83%) than fruit-vegetable (13.94%). Higher concentrations of non-fiber carbohydrate were observed for fruit-vegetable (66.72%) than cabbage (44.93%) and Chinese cabbage byproducts (24.69%). The effective degradability (ED) of both dry matter (DM) and NDF for fruit-vegetable byproduct (DM, 84.69%; NDF, 85.62%) was higher (p<0.05) than cabbage (DM, 68.47%; NDF, 55.97%) and Chinese cabbage byproducts (DM, 68.09%; NDF, 54.22%). The DM intake was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s because the amount of feed was kept constant according to the BW of growing steers to prevent overweight during the growing period. The average daily gain during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was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s (1.26, 1.25, and 1.34 kg/d for control, FV-B, and CA-B). The ED of both DM and NDF degradability of the total mixed ration (TMR) diets were very similar among treatments. Feed conversion ratio during the whole perio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fruit-vegetable and cabbage byproducts up to 20% and 30% (as fed basis), respectively can be included in TMR diets for growing beef cattle.

메밀채소의 생산성 및 채소적 가치 (Vegetable Value and Productivity of Buckwheat Seedlings)

  • Choi, Byung-Han;Park, Keun-Yong;Park, Rae-Kye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6-92
    • /
    • 1992
  • 최근들어 우리나라 국민의 식품소비 형태가 점차 고급화됨에 따라 메밀의 어린 식물체와 종실은 건강 별미식품의 원료로서 수요량은 단속 증가될 전망이다. 엽채소용으로 이용되는 메밀의 어린 식물체는 30% 이상의 단백질과 500mg / 100g 이상의 Rutin과 상당한 양의 미네랄, 비타민 함유하여 단경기 재배시 녹채소의 수량은 파종량, 파종기, 재배환경 조건에 따라서 262~2,270 / 10a로 차이가 매우 컸으며 예상조수익도 52.4~183.5만원 / 10a이었다. 엽채소용 메밀의 육묘기간을 20, 25, 30일로 하였을 경우 육묘기간이 길수록 초장, 줄기의 굵기, 잎의 수와 크기가 증대되었다. 4배체품종 신주대메밀의 생체중은 2배체품종 수원재래와 신농001에 비하여 35%가 더 무거웠으며 엽육이 두껍고 잎이 커서 상품가치가 더 좋았다.

  • PDF

생육도일온도에 따른 고추의 생육 및 수량 예측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Prediction Growth and Yield Models by Growing Degree Days in Hot Pepper)

  • 김성겸;이진형;이희주;이상규;문보흠;안세웅;이희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24-430
    • /
    • 2018
  • 본 연구는 고추의 생육특성인 초장, 엽면적, 생체중, 건물중을 조사하였고, 기상요인에 따른 수량 예측 모델개발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생육도일온도에 따른 고추의 생체중, 건물중, 초장 및 엽면적에 대한 생장 모델(시그모이드 곡선)을 개발하였다. 고추는 정식 후 50일전후로 초장,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이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140일 이후에는 생장요인들이 평행을 이루었다. 그리고 생육도일온도에 따른 고추의 생장을 분석 한 결과 지수 함수적으로 생장이 늘어나는 시점의 GDD는 1,000였다. 고추의 건물중에 대한 상대생장 속도를 계산하는 식은 RGR $(dry\;weight)=0.0562+0.0004{\times}DAT-0.00000557{\times}DAT^2$ 였다. 수확한 적과의 생체중과 건물중으로 고추의 단수를 구하였을 때, 정식 후 112일에 1,3871kg/10a였고, 건고추의 단수는 정식 후 112일에 291kg/10a이였다. 고추 작황예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는 고추의 생산성에 관여하는 주요요인을 분석하고, 실시간으로 계측한 생육 및 기상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생육모델을 보정 및 검증해야 할 것이다.

도시 텃밭 재배활동 다양화를 위한 기능성 텃밭모델 이용자 분석 (User Analysis of the Functional Vegetable Garden Model to Diversify Vegetable Gardening Activities)

  • 박은희;한경숙;장윤아;정순진;박동금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779-794
    • /
    • 2016
  • In this study, a functional vegetable garden model is proposed for vegetable gardening users in urban areas to grow different vegetables for various purposes. H vegetable garden user(uneducated) and Y vegetable garden user(educated) urban vegetable gardening users were provided with the functional vegetable garden model and allowed to manage their allocated gardens directly. As the issues raised by the field work and its associated solutions were investigated, the opinions from each group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usage survey for vegetable gardening, both groups responded that they had mostly cultivated vegetables. Second, with regard to the kinds of vegetables cultivated in autumn, both groups chose the vegetables required for producing Kimchi. Third, both groups responded that their interest in growing various plants was the major motivation to start gardening. Fourth, regarding the inclusion of flowers and herbs in the functional vegetable garden, more than 90% of the members of both groups responded that the level of the inclusion was appropriate or could be higher.

내마모첨가제가 첨가된 식물성유의 마모특성연구 (Wear Properties of Vegetable Oils Formulated with Some Antiwear Additives)

  • 최웅수;안병길;정용진;권오관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12권3호
    • /
    • pp.6-11
    • /
    • 1996
  • There has been a growing concern for the use of mineral oil based lubricants because of the worldwide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This has prompted the use of vegetable oils as more environmentally acceptable base fluids. In view of this, four-ball wear tes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ribological behavior of selected vegetable oils blended with ZDDP, TCP and DBP under high speed and temperate conditions. Of the additive evaluated, the new additive, DBP has provided antiwear performance superior to the two other additives more commonly used. This superior performance by DBP is probably caused by different wear mechanism. This wear mechanism has been evidenced by the surface analysis of worn balls conducted using optical microscope and EDAX.

한국산 개량메밀의 성장시기에 따른 Rutin과 무기질의 함량 (Rutin and Mineral Contents on Improved Kinds of Korean Buckwheat at Growing Stage)

  • 김영순;정수현;서형주;정승태;조정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59-763
    • /
    • 1994
  • 약성(藥性)을 갖고 여러가지 질병에 유익한 메밀을 채소로 식용하고자 무기성분과 rutin의 함량을 개량종 9품종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9품종의 종실에 대한 일반 성분은 조단백 함량이 $16.2{\sim}20.4%$, 조지방은 $2.2{\sim}2.9%$이었다. 회분 함량은 $2.4{\sim}43%$로 재래종 $(2.4{\sim}2.6%)$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섬유소는 재래종에 비해 $2{\sim}3%$ 낮으며 전체적으로 당질의 함량이 다소 낮았다. 개량중 중 수원 11호와 5호가 각각 0.12%, 0.11%로 높은 rutin 함량을 보였다. 무기물은 회분에 대하여 10% HCI 불용물이 $0.5{\sim}55.32%$ 였으며 K, Ca, Mg 및 Fe 순으로 함유되어 재래종에 비해 우수하였다. 메밀채소의 일반성분은 높은 단백질 함량을 보였으며 수원 10, 11호가 가장 높은 단백질 함량을 보였다. 메밀 채소증 rutin 함량은 $0.20{\sim}0.40%$로 수원 5호가 가장높은 0.40% 함량을 보였다. 메밀함량이 높은 수원 5호의 성장과정중의 rutin함량의 변화는 떡잎시 0.40%, 본잎 $4{\sim}5$장시 1.10%였다. 또한 무기성분의 변화는 10% HCI 불용물이 성장초인 떡잎시 69.8%인 반면 완전 성장시기인 개화시 4.68%였다. Fe와 Ca는 채소성장과 더불어 증가되었다.

  • PDF

Vegetable Leather 표면코팅에 대한 Glycerol을 이용한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합성 및 기계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and Synthesis of Polyurethane Dispersion by Glycerol for Vegetable Leather Surface Coatings)

  • 이주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0-107
    • /
    • 2015
  • Vegetable leather 표면 코팅에 사용된 폴리우레탄 수지는 glycerol의 함유를 mole % 비로 달리하면서 합성하였다. 합성된 폴리우레탄 수지의 기계적 특성은 SEM, FT-IR, UTM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친환경적인 고분자 수지의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용제의 사용을 최소화한 vegetable leather 코팅에 사용되는 수분산 수지를 합성하였다. 지방족 3가 알콜인 glycerol의 mole % 비가 증가함에 따라 내마모도, 인장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반대로 연신율, 내굴곡 물성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Toluene을 이용한 내용제성 물성측정 결과에는 glycerol의 mole % 증가에 따른 물성 증감 효과는 없었다.

재배시기, 정식일에 따른 배추의 생육 모델 개발 및 생산량 예측 평가 (Development of Growth Models as Affected by Cultivation Season and Transplanting Date and Estimation of Prediction Yield in Kimchi Cabbage)

  • 이진형;이희주;김성겸;이상규;이희수;최장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35-241
    • /
    • 2017
  • 본 연구는 배추의 작황 예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생육조사로 정식시기를 봄과 가을에 2주 간격으로 3회씩 각각 정식하여, 생체중, 건물중, 엽장, 엽폭, 엽수, 엽면적등을 정식후 2주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정식 후 일수에 따른 생체중과 건물중의 변화와 GDD에 따른 생체중, 건물중, 엽면적 그리고 엽수의 변화에 대하여 회귀분석하였다. 정식 후 일수에 따른 봄배추와 가을배추의 생장을 S자형 곡선으로 분석한 결과 생체중의 회귀식은 각각 FW=4451.5/[1+exp{-(DAT-34.1)/3.6}]($R^2=0.992$)과 각각 FW=7182.0/[1+exp(-(DAT-53.8)/11.6)]($R^2=0.979$) 였다. 그리고 GDD에 따른 봄배추의 생체중의 모델은 각각 FW=4411.2/[1+exp{-(GDD-585.2)/128.6}] ($R^2=0.992$) 및 FW=13718/[1+exp{-(GDD-1278.6)/219.5}] ($R^2=0.981$)였다. 봄배추와 가을배추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각각 11348.3kg/10a와 1,5128.2kg/10a로 노지재배의 단수와는 차이를 보인 반면에 봄배추의 경우 시설재배의 단수 1,1147.3kg/10a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차후에 노지재배를 통해, 배추의 생산성에 관여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하고, 실시간으로 계측한 생육 및 기상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보다 정확한 예측프로그램으로 보정 및 검증해야할 것이다.

무 싹채소 탄산 가스 처리에 따른 생육과 수확후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and Freshness Characteristics as Affected by CO2 Treatment during Cultivation on Radish Sprout Vegetable)

  • 이정수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5-112
    • /
    • 2020
  • 어린 싹을 길러 이용하는 채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어, 무 싹채소의 생육 증진과 유통 중 나타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CO2처리 효과를 검토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재배 중 CO2 처리를 가스나 탄산수 형태로 하여, 생육뿐만 아니라 수확후 모의유통 중 포장 내의 생체중량 감소, 선도와 hue angle 등 수확후 변화 정도를 조사하였다. 재배 후 수확 시 생육에서 처리 여부에 따라서는 CO2 처리가 무처리보다 경장이 약간 길어지는 효과가 있었으며, 엽록소형광이나 SOD 값에서 무처리와 CO2 처리가 다소 다른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CO2 처리 방법 간의 차이를 언급하기는 어려워 탄산가스 대신 탄산수 이용의 가능성을 보였다. 수확 후 포장 내의 CO2 처리로 인해 무 싹채소의 O2 소모가 크고 CO2 축적 정도가 다소 높아졌으며, 모의유통 중에 수확전 CO2 처리가 hue angle 값을 비롯하여 SPAD, 외관 등에서 낮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CO2 처리 방법 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 싹채소의 재배 중 CO2 처리에 의한 처리가 경경 등의 생육량을 증가시키나, 모의유통 시 수확후 선도 유지의 효과가 크지 않아, 재배 중 다른 방법을 통한 품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연구가 더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Variability of Stem-Base Infestation and Coexistence of Fusarium spp. Causing Crown Rot of Winter Wheat in Serbia

  • Jevtic, Radivoje;Stosic, Nemanja;Zupunski, Vesna;Lalosevic, Mirjana;Orbovic, Brank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6호
    • /
    • pp.553-563
    • /
    • 2019
  • Investigations related with factors influencing root and crown rot are rare and mainly related to farming practice and soil management.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broader range of factors influencing stem-base infestation of winter wheat in the field conditions. The effect of spatial distribution of infected plants on disease index (DIs) assessments was also investigated.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DIs of crown rot of wheat demonstrated significant influence of the growing seasons (P < 0.001) and extreme fluctuations in winter temperatures (P < 0.001). In addition to that, localities together with their interaction with the growing season also significantly influenced DIs (P < 0.001). Aggregation of infected plants influenced variability of DI estimations, and it was pointed out that more extensive investigation should be conducted on broad range of DI in order to establish sampling method giving uniform sampling precision. Fusarium graminearum was shown to be predominant Fusarium species in Serbia (72.6%) using sequence-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analysis. Interestingly F. oxysporum was isolated in higher frequencies (27.4%) than it was reported in the literature. Given that there were no reports on the diversity of Fusarium species causing crown rot of wheat in Serbia, this study presents first report on this important subject. It also indicated that more attention should be focused on combined effects of abiotic and biotic factors influencing stem-base infestation of winter wheat. This knowledge will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ing of factors influencing root and crown rot of wheat which would ensure sustainable disease management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