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nish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9초

미세전산화단층촬영술을 이용한 불소바니쉬의 재광화 및 내산성 평가 (Evaluation of remineralization and acid resistance effect in fluoride varnish by Micro-computed tomography)

  • 오한나;정성숙;이혜진;윤혜정;정은주;하명옥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947-953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valuate the remineralization and acid resistance in fluoride varnish by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 CT). Methods : Specimens of bovine teeth enamel were embedded in resin, polished and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a control group, a NaF solution group, a fluoride varnish group). Each group has 3 specimens that was standardized according to Vickers hardness number (VHN). Specimens were immersed in demineralization solution for 72 hours. The control group had no treatment, the NaF solution group was treated by a 5% NaF solution for 4 minutes, and the fluoride varnish group was treated by a fluoride varnish for one hour. All specimens were subjected to a chemical pH cycling method for 14 days. After a chemical pH cycling method, the density were measured using micro CT. Then, specimens were immersed in each demineralization solution for 72 hours. After demineralization processed, the density were measured using micro CT. Results : 1. The den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fluoride varnish and 5% NaF solution group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fter 14 days cycling (p<0.05). And the density value of the fluoride varnish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5% NaF solution,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2. The differences of density after acid resistance treat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3 groups(p<0.05). Conclusions : It is suggested that fluoride varnish showed the remineralizing effect and acid resistance effect on the enamel, and micro CT could be used to evaluate the change of enamel lesion.

실험용 불소바니쉬가 우치의 비커스 경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perimental Fluoride Varnish upon the Vickers Hardness of Bovine Teeth)

  • 김아진;손주리;오승한;배지명
    • 대한치과재료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81-8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experimental and commercial fluoride varnishes on the Vickers hardness of bovine teeth. The experimental fluoride varnishes with 5 wt.% NaF were fabricated using Bis-GMA or rosin as the resin base. The components were mixed with over-head stirrer under warming up in a double boiler for 30 minutes. Four commercial fluoride varnishes (V-varnish, Flor-opal, Cavity shield, Fluor protector) we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fluoride varnishes. Vickers hardness was measured on the labial surface of bovine anterior teeth after applying fluoride varnish on 5th and 30th day. The surface of bovine teeth was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before and after applying fluoride varnish and the change of the components on the bovine teeth surface was measured with EDX. In terms of hardness, the experimental rosin-based fluoride varnish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ardness on the 5th and 30th day than the control (bovine teeth without fluoride treatment)(p<0.05). EDX results showed that the fluoride content on the surface of bovine teeth treated with the experimental rosin-based fluoride varnish was highest on the 1st and 10th day. The higher hardness and fluoride content of experimental rosin-based fluoride varnish can be considered to be used as an effective fluoride varnish to prevent dental caries.

시판중인 불소 바니쉬의 불소이온 유리량 및 초기우식병소의 재광화 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the Amount of Fluoride Ion Released and Remineralization Effect on the Initial Caries Lesion of the Various Fluoride Varnishes)

  • 이가영;이상호;이난영;지명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43-451
    • /
    • 2016
  • 본 연구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불소 바니쉬 제품의 불소이온 유리 능력을 측정하고 이와 함께 정량 광 형광기를 이용하여 치질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평가하고자 하는 불소 바니쉬는 다음과 같은 6가지 제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FluoroDose^{(R)}$ (FD, Centrix Inc., USA), $Enamelast^{TM}$ (EL, Ultradent Product Inc., USA), $Clinpro^{TM}$ white varnish (CW, 3M ESPE, USA), $CavityShield^{TM}$ (CS, 3M ESPE, USA), V $varnish^{TM}$ (VV, Vericom, Korea), MI $varnish^{TM}$ (MI, GC, Japan). MI $varnish^{TM}$와 V $varnish^{TM}$에서 누적 불소이온 유리량과 재광화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p < 0.05) 반면 CS $varnish^{TM}$가 가장 낮은 누적 불소이온 유리량과 재광화율을 보였다(p < 0.05).

Chlorhexidine varnish 처치 후 고정식 교정장치 장착 환자의 치태내 균주 변화 양상에 대한 장기간 관찰 연구 (Long-term effects of chlorhexidine varnish treatment on microbial changes of dental plaque in orthodontic patients with fixed appliances)

  • 장영일;양윈식;남동석;김태우;백승학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35-342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chlorhexidine varnish를 고정식 교정장치 장착 환자의 치면에 도포한 후 나타나는 치태내 균주의 변화 양상을 장기간 관찰하는 것이다. 서울대학교병원 치과진료부 교정과에서 고정치 교정장치로 치료하기로 하였던 환자 100명중에서 32주까지 장기간 추적 (follow-up) 되었던 21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군 (12명) 은 chlorhexidine varnish를 1주일 간격으로 4회 도포한 후 고정식 교정장치를 부착하였고, 대조군 (9명) chlorhexidine varnish 처치를 하지 않고 고정식 교정장치를 부착하였다. 그리고 실험군에서는 20주 째에 chlorhexidine varnish를 1회 처치하였다. 두 군에서 고정식 교정장치 부착 직전과 부착 후 4, 8, 20, 32주의 치태내 균주의 변화 양상을 간접면역 형광 현미경법으로 분석하고 SA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treptococcus mutans는 실험군에서 전 실험기간동안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억제되 었고 (p<0.01), 대조군에서 전 실험기간동안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p<0.05). 2. Streptococcus sanguis, Streptococcus mitis, Actinomyces viscosus, Actinomyces naeslundii는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고정식 교정장치를 사용할 환자에서 chlorhexidine varnish를 처치할 경우 치아 우식의 주 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t를 장기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불소 바니쉬와 클로르헥시딘 바니쉬의 항우식 효과 (ANTICARIOGENIC EFFECT OF FLUORIDE VARNISHES AND CHLORHEXIDINE VARNISHES)

  • 이숙희;김재문;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3-91
    • /
    • 2008
  • 치아 우식증은 구강 내 세균, 식이(음식물), 치아 및 타액 등의 숙주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이 중 치아의 탈회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거나, 구강 내 세균의 산생성능을 낮춤으로써 치아우식을 예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약제로 불소와 클로르헥시딘이 있다. 이 약제의 구강 내 적용방법으로 치아에 대한 부착력이 뛰어나고 환자의 협조의존도가 비교적 적은 바니쉬 형태가 최근 들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불소와 클로르헥시딘 바니쉬의 항우식 효과를 생체 내에서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구강 내 가철성 장치에 우치 시편을 식립하고 불소 바니쉬와 클로르헥시딘 바니쉬를 각각 도포하였다. 치태축적을 유도하여 법랑질 탈회를 통한 우식 유발 환경을 만들고 바니쉬 제제가 구강 내에서 우치 법랑질의 우식 예방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전자 현미분석 장치와 편광현미경을 사용하여 법랑질 표면의 Ca, P에 대한 정량적 변화를 분석하고 조직학적 관찰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인공 우식병소에 대한 편광현미경 관찰 결과, 불소 및 클로르헥시딘 바니쉬 를 도포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법랑질 병소가 경미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우식을 유발한 경우 Ca와 P의 감소량은 대조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P<0.05), 불소 바니쉬군에서는 Ca와 P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클로르헥시딘 바니쉬군에서는 P만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불소 및 클로르헥시딘 바니쉬 제제의 사용이 항우식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되나, 불소 바니쉬가 좀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 PDF

로진변성 페놀수지의 Varnish 제조조건에 따른 물성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 to Varnish Cooking Conditions of Phenolic Modified Rosin Ester)

  • 정순기;김성빈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24
    • /
    • 2006
  • The Lithographic ink is composed of pigment, vehicle and additives. In especially, the vehicle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and consist of vegetable oils, mineral oils and resins. Varnishes have to resist certain forms of chemical and physical attack during ink manufacturing process and printing process So this varnish cooking is very important. In this paper, effects of cooking conditions of varnish using phenolic modified rosin ester on physical properties of the vehicle were studied. The varnish cooked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time were compared in order of average molecular weight by the GPC method. and the rheological properties were found by rotational rheometer. And the emulsion behavior were compared by high speed emulsification tester which were set on 1200 rpm and $40^{\circ}C$ temperature (Novomatics Lithotronic). We displayed viscosity against tack(Inkometer Thwing-Albert M-106) by diagram.

  • PDF

치과용 Varnish가 충전재의 변연누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AVITY VARNISH APPLICATION ON THE MARGINAL LEAKAGE OF THE VARIOUS DENTAL RESTORATIONS)

  • 김희중;이정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9권1호
    • /
    • pp.69-79
    • /
    • 1983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effects of varnish application and thermocycling on the marginal leakage. 240 cavities of Class V were prepared on the 120 extracted premolars, and the cavities were filled with amalgam, Heliosit$^{(R)}$, and Hipol$^{(R)}$ after application of Copalite$^{(R)}$ or Duraphat$^{(R)}$. All specimens were immersed in methylene blue solution for 24 hours after thermocycling at $4^{\circ}C$ and $60^{\circ}C$, embedded in acrylic resin, and sectioned with low speed saw into two parts. The sectioned specimens observed with the metallurgical microscop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marginal seal was more effective in the amalgam-filled cavities after application of Copalite$^{(R)}$ threetimes or an application of Duraphat$^{(R)}$ varnish than in those without varnish applications. 2. Of the composite resin-filled cavities, the leakage of the varnish applied cases showed much more than without application.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f marginal sealing between Copalite$^{(R)}$ and Duraphat$^{(R)}$ applications.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he marginal leakage of amalgam-filled cavities between the groups of thermocycling time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in-filled cavities.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he marginal leakage between the Heliosit$^{(R)}$ and the Hipol$^{(R)}$ resin-filled cavities.

  • PDF

Fluoride Varnish와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Gel이 인공우식 병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미세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한 연구 (THE EFFECT OF FLUORIDE VARNISH AND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GEL ON ARTIFICIAL CARIES LESION - A MICROCOMPUTED TOMOGRAPHIC STUDY -)

  • 문성권;이재천;김영재;이상훈;한세현;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12-222
    • /
    • 2004
  • 치아 우식의 예방에 있어서 불소 도포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재광화를 촉진하고 탈회를 억제한다. APF gel은 전문가 불소도포용으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었으나 최근 fluoride varnish가 소개되면서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fluoride varnish와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APF) gel이 인공우식 병소에 미치는 영향을 시편의 화학적 고정이나 절단 없이 미세전산화 단층 촬영과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재광화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함이다. 48개의 우식이 없는 건전한 영구 소구치에 인공우식을 유발하고 각 군당 16개씩, 세 군으로 나누었다. 1군은 대조군으로 어떠한 처치도 시행하지 않았다. 2군은 APF gel을 도포하고 1분 후에 gel을 거즈로 제거하여 수세하고 3군은 fluoride varnish를 도포한 후 45분 후에 얇은 varnish 막을 외과용 칼로 조심스럽게 제거하였다. 그 후 각 시편을 50ml의 인공타액에 3개월 동안 담그어 둔 후 그 사이 기간동안 매달 미세전산화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얻었다. 3차원 영상분석 프로그램으로 재광화 부위의 밀도를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공우식 부위의 밀도는 증가하였다. 2. APF gel군과 fluoride varnish군에서 한 달, 두 달, 세 달 후 밀도가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3. APF gel군과 fluoride varnish군에서 처치전과 처치 한 달 후의 밀도 차이가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았으며 fluoride varnish군에서 처치 한 달 후와 처치 두달 후의 밀도 차이가 대조군과 APF gel군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4. Fluoride varnish가 APF gel보다 불소 처치 후 두 달, 세 달 후 재광화 효과가 더 우수하였고 오래 지속되었다.

  • PDF

정상법랑질과 인공우식법랑질에 불소바니쉬 도포 후 항우식 효과 비교 (Comparison of Anticariogenic Effect after Applying Fluoride Varnish on Sound and Artificial Caries Enamel)

  • 정문진;임지향;민지혜;정순정;손정희;임도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61-470
    • /
    • 2013
  • 정상법랑질과 인공우식법랑질에서 불소바니쉬 도포 후의 항우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건전한 소의 전치를 사용하였고, 네 군으로 분류하여 실험하였다. 법랑질 표면의 재광화 및 탈회 후 결정구조의 변화를 FE-SEM으로 관찰하였고, Ca과 P의 정량적 분석은 ED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불소바니쉬 도포한 경우, 재석회화로 인하여 불규칙하고 매우 거친 표면과 다공성의 구조물이 평활하고 균일한 양상으로 나타났으며, Ca 및 P의 함량이 증가되어 정상법랑질과 인공우식법랑질의 항우식 효과를 크게 증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