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 model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27초

미국 통화정책이 국내 금융시장 및 자금유출입에 미치는 영향: TVP-VAR 모형 분석 (The Impact of US Monetary Policy upon Korea's Financial Markets and Capital Flows: Based on TVP-VAR Analysis)

  • 서현덕;강태수
    • 경제분석
    • /
    • 제25권2호
    • /
    • pp.132-176
    • /
    • 2019
  • 미 연준은 2015년부터 통화정책의 정상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시변모수 벡터자기회귀' (Time-varying parameter vector auto regression, TVP-VAR) 모형을 바탕으로 미국 통화정책이 우리나라 금융시장과 자본유출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미국 통화정책의 변화는 신용스프레드, 페더럴펀드 금리(정책금리), 기간프리미엄 등 세 변수를 통해 파악하였다. 국내 변수로는 금융시장 지표(장기금리, 원/달러 환율, 신용스프레드)와 국제수지표 금융계정을 분석하였다. 미국 정책금리 충격은 2004~2006년 금리인상기에는 국내 금융시장에 불안을 야기 시키고 외국인 국내 투자와 내국인 해외투자의 동시 감소를 초래하였으나 2015년 이후에는 그 효과가 제한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기간프리미엄의 영향력은 양적완화 (Quantitative Easing, QE) 정책 실시 이후 확대되었다. 미국 신용스프레드가 국내 금융시장과 자본유출입에 미친 충격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의 파급효과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정책금리 인상 자체보다 이로 인해 금융시장이 불안해질 때 발생할 수 있는 신용스프레드의 상승이 국내 금융시장에 더 큰 부작용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유출입 측면에서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는 외국인 투자자금의 국외이탈 압력 증가로 이어지나, 내국인의 해외투자자금이 국내로 환수되면서 이를 상쇄한다.

수도권 주택가격 결정요인 변화 연구 (Variation of Determinant Factor for Seoul Metropolitan Area's Housing and Rent Price in Korea)

  • 이경애;박상학;김용순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1호
    • /
    • pp.43-54
    • /
    • 2013
  • 본 연구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침체양상을 지속하고 있는 수도권 주택시장과 관련하여, 금융위기 이후 주택가격 결정요인의 변화를 벡터오차수정(VAR)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3분기를 기준으로 이전과 현재까지로 거시경제변수와 주택가격변수간의 동태적 관계를 보기 위해 충격반응도와 분산분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먼저 수도권 주택매매가격의 경우 금융위기 이후에 전세가격과 주택매매가격 자체의 변화에 의해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금융위기 이전에 주택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던 종합주가지수와 국고채 수익률은 금융위기 이후 영향력이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도권 주택전세가격의 경우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 모든 기간에서 다른 변수들보다 주택매매가격과 주택전세가격 자체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난 가운데, 금융위기 이전에는 종합주가지수와 생산자물가가 영향을 미치고 실질GDP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했다면, 금융위기 이후에는 역으로 실질GDP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고 생산자물가와 종합주가지수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경제불안의 지속으로 인해 수도권 주택매매 및 전세가격은 실질GDP와 같은 실물경기에 더 크게 영향을 받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최근의 주택가격의 하락은 유럽재정위기 등으로 인해 지속되고 있는 국내경제 불확실성을 감안할 때 회복세는 크게 제한될 것으로 보이며, 향후 주택경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금융 및 공급규제 완화 등의 대책보다는 경제활성화를 통한 구매력 제고에 집중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산사육(山査肉)이 CT105로 과도(課導)된 Alzheimer's Disease 병태(病態) 모델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Crataegus prinnatiflora BGE. var. major N.E. BR(CPVM) Extract on the the Alzheimer's Disease Model Induced by CT105)

  • 정인철;이상룡;채종걸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9-115
    • /
    • 2002
  •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Crataegus pinnatifida BGE. var. major N.E. BR(CPVM) on Alzheimer's disease. Specifically, the effects of the DYHT extract on (1) $IL-1{\beta}$, IL-6, amyloid precursor proteins(APP), acetylcholinesterase(AChE), and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GFAP) mRNA of PC-12 cells treated with CTI05; (2) the AChE activity and the APP production of PC-12 cell treated with CT105; (3) the behavior; and (4) expression of $IL-1{\beta}$, $TNF-{\alpha}$, reactive oxygen species(ROS), nitrite oxide(NO); and (5) the infarction area of the hippocampus, and brain tissue injury in Alzheimer's diseased mice induced with CT105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 1. The CPVM extract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IL-1{\beta}$, IL-6, APP, AChE, and GFAP mRNA in PC-12 cells treated with CT105. 2. The CPVM extract suppressed the AChE activity and the production of APP significantly in PC-12 cells treated with CT105. 3. The CPVM extract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the memory deficit for the mice with Alzheimer's disease induced by CT105 in the Morris water maze experiment. 4. The CPVM extract suppressed the over-expression of $IL-1{\beta}$, $TNF-{\alpha}$, ROS and NO in the mice with Alzheimer's disease induced by CT105. 5. The CPVM extract reduced the infarction area of hippocampus, and controlled the injury of brain tissue in the mice with Alzheimer's disease induced by CT1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PVM extract may be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 PDF

중금속 오염배지에서 식물성장증진 근권미생물에 의한 식용 피 발아율과 유식물 성장 증진 (Improv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in Heavy Metal Contaminated Medium by Inoculation of a multiple-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m-PGPR))

  • 이아름;배범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5호
    • /
    • pp.9-17
    • /
    • 2011
  • Positive effect of multiple-PGPR (Plan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isolated from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on the germination of Barnyard grass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was quantitatively estimated in 5 heavy metal (Cd, As, Ni, Cu, and Pb) contaminated liquid medium. The $EC_{50}$ value for respective heavy metal was estimated by TSK (Trimmed Speraman-Karber) model based on germination rate. The results showed overall increase in $EC_{50}$ with PGPR inoculation. The $EC_{50}$ value increased 1.4% from 96.0 mg/L (control) to 97.4 mg/L (PGPR-treated) in As contaminated medium. In Ni contaminated medium, the $EC_{50}$ value increased 31.9% from 148.0 mg/L (control) to 195.2 mg/L (PGPR-treated), while the $EC_{50}$ showed 4.8% increase from 63.4 mg/L (control) to 66.5 mg/L (PGPR-treated) in Cu medium. Overall seedling growth was stronger in the PGPR treated seeds than that in the control, but positive effect on seedling growth was not conspicuous. At effective concentration of 100 mg/L, the average seedling length of the PGPR treatment in As, Cd, Cu, and Ni medium, respectively, was 1.13, 0.14, 0.40, and 0.06 cm longer than that in the control. However, the increase of seedling growth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oculation of the isolated-PGPR exerts positive effects on seed germination by reducing heavy metal toxicity and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application of phytoremediation on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s.

물갬나무 9년생(年生)의 임분구조(林分構造)와 재적(材積) 및 Biomass 생산(生産)에 관(關)한 연구(硏究) (Stand Structure, Volume, and Biomass Production of 9-year-old Alnus hirsuta var. sibirica grown in Minirotation)

  • 오정수;김종원;정용호;오민영;박승걸;김석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5권1호
    • /
    • pp.54-59
    • /
    • 1984
  • 물갬나무의 집약재배(集約栽培)에 의(依)한 삼림(森林) Biomass와 간재생산(幹材生産) 효율(效率)과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여 삼림(森林) 생산성(生産性) 향상(向上)을 도모(圖謀)코자 1975년(年) 경기도(京機道) 양평군(陽平郡) 청운면(靑雲面) 다대리(多大里)에 밀도별(密度別) (ha당(當) 3000, 6000, 9000 및 12000 본(本))로 시험(試驗) 조림(造林)을 실시(實施)하여 집약(集約) 관리(管理)한 결과(結果) 식재밀도(植栽密度) ha당(當) 6000 본(本) 이상(以上) 고밀도구(高密度區)의 적정(適正) 수확기(收穫期)(또는 간대시기(間代時期)는 식재(植栽) 5년후(年後)로 추정(推定)되며 지상부(地上部) biomass 량(量) 또는 단목당(單木當) biomass 량(量)의 추정식(推定式)은 $logY=b_0+b_1logd^2h$가 가장 적합(適合)하였다.

  • PDF

R&D 투자와 환경쿠즈네츠 곡선 가설: CO2 사례 분석 (R&D and Environmental Kuznets Curve Hypothesis: CO2 Case)

  • 강희찬;황상연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5권1호
    • /
    • pp.89-112
    • /
    • 2016
  • 본 논문은 환경쿠즈네츠곡선가설에 기반을 두고, 경제개발 수준과 기술혁신수준이 다른 전세계 88개 국가에 대한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술혁신이 이산화탄소배출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술혁신이 온실가스배출량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효과와 소득수준을 변화시켜 온실가스배출량에 미치는 간접적 효과를 종합해본 결과, 비록 미세하지만 기술혁신은 결과적으로 온실가스배출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패널데이터 모형은 각 '시점 내'에서 변수 간 효과를 분석하는 정태적 모형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채용한 Panel VAR(Panel Vector Auto Regression)모형에서는 기술혁신수준이 시차를 두고 온실가스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분석 결과 기술혁신(R&D 투자)과 같은 외생적 충격(Shock)이 일인당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3년 정도의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형(II) - 식생구조 - (Restoration Model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II) - Vegetational Structure -)

  • 오구균;김용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7-102
    • /
    • 1996
  • 한반도 난대기후대의 식생구조를 연구하기 위하여 남해안 도서지방의 상록활엽수림 지역에 52개 조사구를 설치하였다. 난대상록활엽수림은 지리적 격리와 인위적 교란에 의해 지역간 식생구조가 매우 상이하였다. 조사지의 식생들은 대체적으로 자연적 식생천이가 이루어진 상록활엽수림 집단, 장기간 훼손되었거나 관리되어온 상록활엽수림 집단, 그리고 상록활엽수종으로 천이되고 있는 조림식생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52개 조사구에서 80% 이상의 상재도를 보인 수종은 후박나무, 사스레피나무, 마삭줄, 생달나무, 광나무 등이었다. 난대기후대의 극상군락이라고 추정되는 육박나무군락은 주도와 애도에 잔존하고 있었다. 과거 교란이 있었던 해안지역에서는 구실잣밤나무로 이차천이가 예상된다.

  • PDF

광역시·도별 자료를 이용한 에너지, 경제성장, 온실가스 배출 간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Energy, Economic Growth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Using Metropolitan City/Province Level Data)

  • 이재석;이근대;유복근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30권3호
    • /
    • pp.503-533
    • /
    • 2021
  • 본 연구는 2010~18년 동안의 우리나라 16개 광역시·도(세종시 제외)별 자료와 패널 벡터자기회귀(Panel VAR) 모형을 이용하여 에너지 소비량,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실질 지역 내 총생산, 온실가스 배출량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에너지 소비 증가가 신재생에너지 생산 및 지역 내 총생산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제한적인 가운데 온실가스 배출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재생에너지 생산 증가는 지역 내 총생산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반면 에너지 소비 및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에는 대체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국가 온실가스 저감과 지역 경제성장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에너지 소비 감소와 함께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Antioxidant effects of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on oxidative stress in C6 glial cells and mice

  • Min Jeong Kim;Byeong Wook Noh;Qi Qi Pang;Sanghyun Lee;Ji-Hyun Kim;Eun Ju Cho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1호
    • /
    • pp.137-149
    • /
    • 2022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CJM)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C6 glial cells and cognitive impairment in mice.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effect of the extract and fractions from CJM,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nitric oxide (NO) assays were conducted in H2O2-treated C6 glial cells. Furthermore, we identified the protective mechanisms of CJM with a scopolamine-treated mice model. The results revealed that H2O2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in C6 glial cells, indicating that H2O2 induced oxidative stress in glial cells. However, CJM fractions significantly increased cell viability in H2O2-treated C6 glial cells, which suggested that CJM protected against oxidative stress. CJM extract and fractions also reduced ROS and NO production, which were increased by H2O2 in C6 glial cells. In particular, the EtOAc fraction from CJM (EACJM) effectively protected against oxidative stress by increasing the cell viability and decreasing ROS and NO. Therefore, we carried out further in vivo experiments with EACJM. Scopolamine caused increases of RO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NO production. However, EACJM effectively alleviated ROS, TBARS, and NO levels compared to scopolamine-injected mice. In addition, EACJM up-regulated protein expressions of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indicating that EACJM enhanced the antioxidative system.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CJM had 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glial cells and memory dysfunction in mice.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that CJM could be a potential AD preventive and therapeutic agent.

표고버섯 접종배지 수입이 신선 표고버섯 수입량 변화에 미친 영향 -한중 FTA를 중심으로- (Impact of shiitake mushroom (Lentinula edodes) spawn imports on fresh shiitake mushroom import volumes -Focus on the Korea-China FTA-)

  • 정병헌;김동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00-208
    • /
    • 2023
  • 본 연구는 한중 FTA 이후 신선 표고버섯의 수입량이 감소한 원인을 살펴보기 위해 신선 표고버섯 수입량에 대하여 접종배지 수입량과 환율을 이용하여 계량경제적 방법론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2009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월별 시계열 자료이다. 분석 결과, 신선 표고버섯 수입량을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접종배지 수입량으로 나타났다. 한중 FTA에서 접종배지는 관세를 감축하는 양허대상이다.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세감축이 이루어지면 수입가격 또한 하락하면서 가격 경쟁력을 가지게 된다. 또한 한중 FTA 원산지 규정에 따라 수입 접종배지에서 생산된 표고버섯은 국내산으로 인정받는다. 따라서 낮은 수입가격을 바탕으로 가격 경쟁력을 가진 수입 접종배지를 이용한 표고버섯의 생산이 중국산 신선 표고버섯을 수입하는 것보다는 매력적일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VAR 모형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같았다. 다만, 신선 표고버섯 수입량의 동태적 변화에서는 접종배지 수입량 변화의 충격이 표고버섯 수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원인은 수입산 접종배지가 오염되어 폐기처분에 따른 생산량 감소 또는 국산 접종배지의 신선 표고버섯 생산량이 감소한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그러나 명확한 원인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접종배지의 원산지에 따른 신선 표고버섯 생산량을 관측하고 통계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