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cuum distillation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5초

Preparation of isotropic pitch precursor for pitch-based carbon fiber through the co-carbonization of ethylene bottom oil and polyvinyl chloride

  • Liu, Jinchang;Shimanoe, Hiroki;Nakabayashi, Koji;Miyawaki, Jin;Ko, Seunghyun;Jeon, Young-Pyo;Yoon, Seong-Ho
    •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 /
    • 제67권
    • /
    • pp.276-283
    • /
    • 2018
  • For the first time, polyvinyl chloride (PVC) was used as an easily-handled chlorine source for preparation of isotropic pitch-based carbon fiber (IPCF) incorporating ethylene bottom oil (EO) as a raw material. Pitch precursors were prepared by the chlorination-dehydrochlorination triggered by chlorine radicals originated from PVC; aromatization and poly-condensation reactions occurred by polyene-type radicals from PVC. Radical production and co-carbonization were facilitated by pretreatments of EO through vacuum distillation, bromination, and additional heat treatment. Pitches were prepared by the co-carbonization of pretreated EO and EO containing 20 wt% PVC, and had higher yields and better spinnability than those by simple distillation.

동증류기를 이용한 과실증류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uit Spirits from a Copper Distillation Apparatus)

  • 조호철;강순아;최성인;정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743-752
    • /
    • 2013
  • 과실을 이용한 증류주 개발에 있어서 국내에서 생산량이 많고 과잉생산으로 인한 잉여과실 발생빈도가 높은 사과와 감귤을 선정하였으며, 외국에서 증류주 제조에 많이 사용하고 국내에 많이 자생하는 마가목 열매를 원료로 선정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원료의 발효특성에 따라 맞춤형 효모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한 술덧을 동재질의 상압다단식 증류기와 스테인리스 재질의 상압단식 증류기 및 감압단식증류기 등으로 각각 증류한 증류주의 주요 향기성분과 증류효율 등을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상기 증류주의 품질평가를 위해 4개월 숙성 후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과와 감귤의 경우 원료 사용비율에 관계없이 발효가 원활히 진행되었으나 마가목 열매의 경우 원료사용비율이 10 w/v% 이상일 경우 발효가 되지 않거나 미미하였으며, 사용비율이 8 w/v% 이하일 때에는 원활한 발효가 진행되었다. 원료별, 증류방식별로 초류, 본류, 후류로 나누어 증류한 증류주의 증류효율을 검토한 결과 과실 원료 차이에 따른 증류주의 수율 차이는 적었지만, 증류효율 면에서는 상압다단식 증류기, 상압단식, 감압단식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과실증류주의 주요 향기성분 분석결과 증류방식별 다소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모든 원료에서 동재질의 상압다단식증류 방식에 의해 제조된 시제품이 스테인리스 재질의 상압단식 및 감압단식방식에 의해 제조된 증류주에 비해 아로마가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용된 원료에 관계없이 증류수율, 작업능률 및 품질측면에서 동재질의 상압다단식증류방식이 스테인리스 재질의 단식 또는 감압증류방식보다는 증류주제조에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쌀을 이용한 증류주 제조에만 국한되어 있는 국내 증류주시장을 고려하면 과실을 이용한 유럽스타일의 증류주 제조, 특히 마가목 열매를 이용한 과실증류주 상품화 기술은 향후 FTA 시대를 맞아 시장 다변화 및 우리술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미강유 정제 부산물로부터 오리자놀 분리 (Separatipon of Oryzanol from the Refining By-Product of Rice Bran Oil)

  • 김인환;김철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6-80
    • /
    • 1991
  • 미강유 정제 부산물로부터 오리자놀을 분리하기위해, dark oil과 dark oil의 증류잔류물인 pitch로부터 용매분리법 이용하여 오리자놀을 분리하였다. 분리과정 중 방해물질인 왁스분은 dark oil과 acetone을 1 : 1(w/v)로 혼합하여, $0^{\circ}C$에서 침전시켜 제거하였고, 여기에서 얻어진 dewaxed dark oil에 8 part의 hexane을 섞어 저온분리하여 오리자놀함량이 51.3%인 농축물을 얻었다. 이 농축물에 methanol 20 part를 가하고 재결성하여 98.3%의 오리자놀결정물을 얻었다. Dark oil로부터 pitch를 제조하는 적정조건은$180^{\circ}C$$0.2{\sim}0.4torr$의 진공상태에서 2%(w/w)의 steam을 가하는 증류조건이 오리자놀의 파괴를 최소화 하였다. 이로부터 얻어진 pitch의 오리자놀순도와 회수율은 27.3%와 82.3%였다. Pitch에 hexane을 가하고 저온분리하여 오리자놀순도가 75.4%인 오리자놀결정물을 얻었으며 이 농축물에 methanol을 가한 후 재결정하여 순도가 99%인 결정물을 얻었다. 이상과 같은 저온윤리법을 이용하였을 때 오리자놀의 회수율은 dark oil 9.5%, pitch 28.5%로 나타났다.

  • PDF

감압증류를 통해 분획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특성평가와 구성성분 비교분석 연구 (Comparison Analysis on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of Various Waste Plastic Pyrolysis Oils by Vacuum Distillation Method)

  • 전화연;전철환;박성준;이재우;김재곤
    • 청정기술
    • /
    • 제29권4호
    • /
    • pp.262-271
    • /
    • 2023
  • 전 세계적으로 폐플라스틱 발생에 따른 환경적 문제로 인해 이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중 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하여 연료 및 원료 등으로 재활용하는 방법이 보편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WPPO)의 나프타 원료로 활용'을 목적으로 총 5종의 폐플라스틱 열분해유(WPPO)의 물성분석을 통해 나프타 원료로 사용이 가능한지 살펴봄과 동시에 넓은 비점범위로 인해 분리정제 기술 중 하나인 감압증류를 통해 light fraction과 heavy fraction으로 분획 및 GC-VUV로 paraffin, 올레핀 함량 및 기타 화합물 등의 구성성분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 WPPO의 원료, 분획에 상관없이 높은 올레핀 함량이 나타났고 방향족 및 paraffin 함량 등은 원료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였고 산소 및 기타 화합물도 원료 및 분획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ight fraction은 나프타와 유사한 탄소분포를 나타내지만, heavy fraction은 탄소분포가 C11 ~ C14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의 나프타원료 활용을 위해서 추가 공정이나 원료 선별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Volatile Compounds in Oyster Hydrolysate Produced by Commercial Protease

  • Cha, Yong-Jun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20-426
    • /
    • 1995
  • Volatile compounds in raw oyster and oyster hydrolysate produced with protease were compared by vacuum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solvent 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ixty-two volatile compounds were detected in both samples. Of these, 57 were positively identified, composed mainly of aldehydes(12), ketones(9), alcohols(14), nitrogen-containing compounds(9), acids(6), terpenes(4), and miscellneous compounds(8). Levels of acids decreased after hydrolysis, whereas several other compounds such as aldehydes, ketones, and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increased. Pyrazines, found in high abundance, were only detected in oyster hydrolysate.

  • PDF

다중효용 담수 설비의 증기이젝터 진공장치에 관한 수치해석 (Numerical Simulation of Steam Jet Vacuum System in Multi-effect Desalination Plant)

  • 고상철;김용선;최두열;김필환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238-242
    • /
    • 2015
  • 다중 효용 해수 담수화 설비에 적용되는 증기이젝터 진공장치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수 담수화 과정을 위한 증기이젝터 진공장치의 성능특성에 대한 수치적 검토를 수행하는 데에 있다. 증기이젝터 내부의 유동특성을 보다 잘 파악하고 최적의 설계를 도모하기 위하여, 노즐 사이즈 및 디퓨저 축소각의 변화와 같은 설계변수의 변화가 증기이젝터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해석결과는 실험결과와 전반적으로 잘 일치함을 알 수 있으며, 목부에서의 shock train 현상도 잘 재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황색종 잎담배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한국산 황색종 잎담배 N.C.2326을 중심으로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of Flue-cured Tobacco - Base on the Aroma Components of Korean Flue-cured Tobacco (N. C. 2326) -)

  • 김영회;박준영;김용태;김옥찬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5-31
    • /
    • 1984
  •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were isolated from Korean flue-cured tobacco (N.C. 2326) by using a vacuum steam distillation method. Individual aroma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GCIMS and comparison of gas chromatowaphic retention time with those of the authentic samples. Sensory analysis showed that a vacuum steam-distilled product of Flue-cured tobacco had a typical haylike, floral and fruity aroma. Among 62 compounds identified, major compounds included neophytadiene, benzyl alcohol, ethyl acetate, phenyl ethyl alcohol, ethyl alcohol, ethyl formate, acetic acid, solanone, 2-acetyl pyrrole, $\beta$-ionone epoxide, 2, 4-heptadienal (2 isomers), megastigmatrienone (4 isomers), furfural and total amounts of 13 compounds were about 80%.

  • PDF

감압 하에서 마그네슘 합금(AM50) 스크랩 용탕의 증발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poration Behavior of Magnesium Alloy (AM50) Scrap Melt under Reduced Pressure)

  • 위창현;홍성훈;유병돈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41-247
    • /
    • 2010
  • In order to develop the vacuum distillation process of magnesium alloy scrap, a fundamental study on the evaporation behavior of magnesium alloy (AM50) scrap melt was carried out. Melt temperature, pressure, reaction time, and initial specific surface area of melt were considered as experimental variables. The evaporation rate of magnesium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melt temperature and initial specific surface area of melt, and with the decrease of the pressure. The activation energy of magnesium evaporation reaction calculated by an Arrhenius plot decreased with the decrease of the pressure and with the increase of the initial specific surface area of melt. An empirical equation was derived for the evaporation rate of magnesium from AM50 alloy melt.

Preparation of highly hydrophobic PVDF hollow fiber composite membrane with lotus leaf-like surface and its desalination properties

  • Li, Hongbin;Zi, Xingchen;Shi, Wenying;Qin, Longwei;Zhang, Haixia;Qin, Xiaohong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0권4호
    • /
    • pp.287-298
    • /
    • 2019
  • Lotus leaf has a special dual micro and nano surface structure which gives its highly hydrophobic surface characteristics and so-called self cleaning effect. In order to endow PVDF hollow fiber membrane with this special structure and improve the hydrophobicity of membrane surface, PVDF hollow fiber composite membranes was obtained through the immersion coating of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VDF-HFP) dilute solution on the outside surface of PVDF support membrane. The prepared PVDF composite membranes were used in the vacuum membrane distillation (VMD) for the desalination. The effects of PVDF-HFP dilute solution concentration in the dope solution and coating time on VMD separation performance was studied. Membranes were characterized by SEM, WCA measurement, porosity, and liquid entry pressure of water. VMD test was carried out using $35g{\cdot}L^{-1}$ NaCl aqueous solution as the feed solution at feed temperature of $30^{\circ}C$ and the permeate pressure of 31.3 kPa. The vapour flux reached a maximum when PVDF-HFP concentration in the dilute solution was 5 wt% and the coating time was kept in the range of 10-60 s. This was attributed to the well configuration of micro-nano rods which was similar with the dual micro-nano structure on the lotus leaf. Compared with the original PVDF membrane, the salt rejection can be well maintained which was greater than 99.99 % meanwhile permeation water conductivity was kept at a low value of $7-9{\mu}S{\cdot}cm^{-1}$ during the continuous testing for 360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