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ea-formaldehyde resin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3초

집성재(集成材)에 관(關)한 연구(硏究)(제(第)4보(報)) -국내산(國內産) 주요수종(主要樹種) 집성재(集成材)의 접착성능(接着性能)- (Studies on Laminated Wood(4) -Gluing faculties of laminated wood made of important species in our country-)

  • 김수창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권1호
    • /
    • pp.11-16
    • /
    • 1983
  • 본(本) 시험(試驗)은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종비나무(Picea Koraiensis Nakai) 두 수종(樹種)의 침엽수(針葉樹)와 층층나무(Cornus Controversa Hemsley), 아카시아(Robinia Pseudoacacia Linne) 및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er) 등(等) 3수종(樹種)의 활엽수(闊葉樹)를 선정(選定)하여 Urea formaldehyde resin, Melamine formaldehyde resin 및 Urea-melamine formaldehyde resin 를 사용(使用)하여 각(各) 제재판(製材板)에 일면도포(一面塗布)로 $200g/m^2$ 하고 압체압력(壓締壓力)은 $10kg/cm^2$, 상온(常溫)에서 48시간(時間) 압체(壓締)하여 전단강도(剪斷强度) 및 목파율(木破率), 인장강도(引張强度), 휨강도(强度) 등(等)을 측정(測定)하여 접착성능(接着性能)을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접착제별(接着劑別)의 차이(差異)는 없으나 각(各) 수종별(樹種別)의 차이(差異)는 현저(顯著)하게 나타났다. 2. 목파율(木破率)은 각(各) 접착제(接着劑)에 관계(關係)없이 종비나무재(材)가 크게 나타난 것은 목재강도(木材强度) 보다 접착력(接着力)이 좋은 것이다. 3. 인장강도(引張强度)는 각(各) 접착제(接着劑)에 무관계(無關係)하며 잣나무재(材)만 최소치(最少値)로 나타났다. 4. 휨강도(强度)는 활엽수(闊葉樹)인 아카시아재(材)가 현저(顯著)하게 크게 나타났다.

  • PDF

요소(尿素) 및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 합판(合板)의 토란증량(土卵增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Taro Extension of UF and PF Resin Bonding Plywoods)

  • 이필우;배영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32-38
    • /
    • 1982
  • 본연구(本硏究)는 합판제조시(合板製造時) 증량제(增量劑)로 이용(利用)되고 있는 소맥분(小麥粉)을 토란(土卵)으로 대체(代替)하기 위한 가능성(可能性)을 규명(糾明)하기 위해 실시(實施)되었다. 토란(土卵)과 소맥분(小麥粉)은 건조기내(乾燥器內)에서 전건상태(全乾狀態)로 건조(乾燥)시킨 후(後) 실험용(實驗用) 분쇄기(粉碎機)로 80~100 mesh로 분말화(粉末化)하여 증량제(增量劑)로 사용(使用)하였다. 합판제조(合板製造)에는 요소(尿素) 및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를 사용(使用)하였으며 각수지(各樹脂)에 증량재료(增量材料)를 10, 20, 30, 50%의 비율(比率)로 혼합(混合)하여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본연구(本硏究)에서 얻어진 결론(結論)은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다. 1) 요소수지(尿素樹脂)의 상태(常態) 및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은 모든 증량비율(增量比率)에서 토란(土卵)이 소맥분(小麥粉)을 훨씬 능가(能加)하고 있었다. 따라서 토란(土卵)은 소맥분(小麥粉)을 대체(代替)할 수 있는 가능성(可能性)을 보였다. 2) 석탄산수지(石炭酸樹脂)의 상태(常態) 및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은 일반적(一般的)으로 소맥분(小麥粉)이 토란(土卵)보다 높은 접착력(接着力)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의 경우 30%와 50%의 증량(增量)에서는 토란(土卵)이 소맥분(小麥粉)보다 좋은 접착력(接着力)을 보였다.

  • PDF

Effects of Reaction pH and Hardener Type on Reactivity, Properties, and Performance of Urea-Formaldehyde (UF) Resin

  • Park, Byung-Dae;Kim, Yoon Soo;So, Won Tek;Lim, Kie Py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3호
    • /
    • pp.1-11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action pH conditions and hardener types on the reactivity, chemical structure and adhesion performance of UF resins. Three different reaction pH conditions, such as traditional alkaline-acid (7.5 → 4.5), weak acid (4.5), and strong acid (1.0), were used to synthesize UF resins which were cured by adding three different hardeners (ammonium chloride, ammonium citrate, and zinc nitrate) to measure adhesion strength.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and carbon-13 nuclear magnetic resonance (13C-NMR) spectroscopies were employed to study chemical structure of the resin prepared under three different reaction pH conditions. Adhesion strength of the resins cured with three different hardeners was determined with lap shear specimens in tension. The gel time of UF resins decreased with an increasing in the amount of both ammonium chloride and ammonium citrate added in the resins. However, the gel time increased for zinc nitrate. Both FT-IR and 13C-NMR spectroscopies showed that the strong reaction pH condition produce uronic structures in UF resin, while both alkaline-acid and weak acid conditions produce quite similar chemical species in the resins. The maximum adhesion strength was occurred with the resin prepared under strong acid pH condition. However,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weak acid reaction condition provide a balance between increasing resin reactivity and improving adhesion strength of UF resin. The measurement of formaldehyde emission from the panels bonded with the UF resins prepared is planned for future work.

요소수지(尿素樹脂)를 이용(利用)한 전작용(田作用) 완효성(緩效性) 복비(複肥) 개발(開發) I. 제조시험(製造試驗) (Development of Slow-Release Compound Fertilizer Used Urea-Resin for Upland Crop I. Manufacture of Slow-Release Compound Fertilizer)

  • 성기석;김복진;신제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3-198
    • /
    • 1990
  • 완효성(緩效性) 전작물(田作用) 복비(複肥)를 개발(開發)하고자 삼요소원(三要素源)으로 유안(硫安), DAP, 염화가리(鹽化加里)와 증수제(增量劑)로 석고(石膏)를 사용(使用)하고 U/F 반응(反應) mole비(比)가 0.5, 1.0, 1.5인 요소수지(尿素樹脂) 3종(種)을 점결제(粘結劑) 및 완효성(緩效性) 요소원(尿素源)으로 이용(利用)하여 복비(複肥) 제조시험(製造詩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시제품(試製品) 제조시(製造時) 점결제(粘結劑) 및 첨가제(添加劑)로 사용(使用)한 요소수지(尿素樹指)는 U/F반응(反應) mole비(比)가 높을수록 A. I. 값, 전질소(全窒素) 및 미반응요소(未反應尿素) 함량(合量)이 높은 경향(傾向)이었다. 2. 시제품(試製品)은 첨가(添加)된 요소수지(尿素樹指)의 U/F반응(反應) mole 비(比)가 낮을수록 첨가량(添加量)이 많을수록 전질소(全窒素)의 수중용출속도(水中溶出速度)가 늦어지는 경향(傾向)이었으며 특(特)히 U/F반응(反應) mole비(比)는 전질소(全窒素)의 늦출속도(出速度)를, 첨가량(添加量)은 Ammonia 태(態) 질소(窒素)의 용출속도(溶出速度)를 지연(遲延)시키는 효과(效果)가 있었다. 3. 시제품(試製品)의 24 시간후(時間後) 전질소(全窒素) 용출률(溶出率)은 69~83%로 높은 것은 재배기간(栽培期間)이 짧은 작물(作物)에 낮은 것은 재배기간(栽培期間)이 긴 작물(作物)에 전량기비용(全量基肥用)으로 가능(可能)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요소수지접착합판(尿素樹脂接着合板)의 유리(遊離)포름알데히드 방산(放散)제거 및 조절방법에 대한 비교연구(比較硏究)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rol and Removal of Formaldehyde for the Urea-formaldehyde Resin Bonded Plywood -Adhesive control-)

  • 이화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16-23
    • /
    • 1981
  • 요소수지(尿素樹脂)를 접착제(接着劑)로 사용(使用)한 수질품종중(水質製品中) 합판(合板)은 건축내장(建築內裝) 및 가구(家具), 후래쉬도아, 마루판등(等) 광범하고 다양한 용도로 주거환경(住居環境)에 사용(使用)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합판중(合板中) 요소수지접착층(尿素樹脂接着層)으로부터 유리(遊離) 또는 분해(分解)되어 방출(方出)되는 포름알데히드는 유독(有毒)한 화학약제로서 극소량의 농축으로도 불쾌감, 두통(頭痛) 및 인체(人體)에 위험을 실제로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리포름알데히드를 제거 또는 조절하여 소위 "포름알데히드 문제"를 해결(解決)하는 처리방법(處理方法)에 목표를 두고 탈(脫)포름알데히드효과(效果) 및 합판(合板)의 재질(材質)에 미치는 효과(效果)를 상호 비교(比較)하고 그 개선점(改善點)을 밝히고자 하였다. 개량(改良)크로모토로픽산(酸) 방법(方法)으로 유리포름알데히드를 정량(定量)하였으며 주로 접착제제조(接着劑製造) 및 혼합(混合)에 중점을 두고 제거제(除去劑)를 첨가할 때의 효과(效果)를 비교(比較)하였으며 도포방법(塗布方法)은 요소처리(尿素處理)에 한(限)하였다.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다. 1. 요소용액(尿素溶液)침지처리와 경화제처리(硬化劑處理)가 가장 좋은 유리포름알데히드방산제거효과(放散除去效果)를 가져 왔으며, 리조시놀 4%, 알부민처리(處理)도 좋은 결과(結果)를 가져왔고 수피분증량처리도 그 가능성이 있음을 볼 수 있다. 2. 합판접착강도(合板接着强度)는 상태접착강도(常態接着强度)에서 모든 처리(處理)가 전부 규격에 합격(合格)하여 특히 리조시놀 2%와 요소용액침적처리(尿素溶液沈積處理)가 월등히 높았고, 2류합판(類合板)온수시험에 의(依)한 접착강도(接着强度)는 경화제처리(硬化劑處理)로만 불합격(不合格)이고 리조시놀 2%가 대비합판(對比合板)에 비(比)하여 좋은 강도(强度)를 보였고 수피(樹皮), 요소처리(尿素處理)가 대비(對比) 합판(合板)보다 강도(强度)가 높았다. 3. 처리합판(處理合板)의 기건함수율(氣乾含水率)은 11~13% 사이로 모두 규격(規格)을 만족시켰다. 4. 리조시놀, 알부민과 요소용액침적처리(尿素溶液沈積處理)의 혼합효과(混合效果)는 계속 연구(硏究)하면 더 좋은 결과(結果)를 획득하리라 사료된다.

  • PDF

Effect of Wood-Fiber Characteristics on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Performance

  • Park, Byung-Dae;Kim, Yoon-Soo;Riedl, Bernard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3호
    • /
    • pp.27-35
    • /
    • 2001
  • Four different sources of wood-fibers from Eucalyptus, Italian poplar, hemlock, and mixed species fibers were used to study the influence of their fiber characteristics on the performance of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panels bonded with both urea-formaldehyde (UF) and phenol-formaldehyde (PF) adhesives. Included fiber characteristics were fiber length, size distribution, bulk density, and acidity.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DF panels manufactured by dry process using these different fibers were determined for the comparison of board performance. Two hardwood species had a large fraction of short fibers resulting in a higher bulk density while very long hemlock fibers had lower bulk density. Fiber acidity was revealed to strongly affect the internal bond (IB) strength of MDF panels bonded with UF resins. MDF panels made from mixed species fibers showed highest IB strength of all panels prepared. UF-bonded MDF panels showed poor dimensional stability.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wood-fiber characteristics such as fiber length, bulk density, and acidity affect the performance of MDF boards, and also suggested that fiber characteristics be considered for MDF panel manufacture.

  • PDF

F/U 몰비의 변이가 합판의 접착성과 Sliver-PB, Strand-PB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rmaldehyde/Urea Molar Ratio on Bonding Strength of Plywood and Properties of Sliver-PB and Strand-PB)

  • 박헌;유영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7권2호
    • /
    • pp.38-45
    • /
    • 1999
  • Formaldehyd/Urea 몰비의 변이가 목질 원재료의 형상이 상이한 합판, SLPB, STPB의 접착성과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본 연구는 요소수지 F/U 몰비 1.0, 1.2, 1.4, 1.6, 1.8, 2.0으로 요소수지를 제조하고 그 형상이 상이한 목질 원재료인 veneer, sliver-particle, strand-particle를 원료로 하여 각 몰비별 합판, SLPB, STPB를 제조하였다. 합판의 상태접착력, SLPB, STPB의 밀도, 함수율, 박리강도, 휨강도, 두께 팽창율을 시험하였다.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합판의 접착력은 F/U 몰비 1.2에서 가장 우수한 값을 나타냈으며 전 몰비 모두 KS 합판 접착성(비내수) 규격인 7.5kgf/$cm^2$을 상회하는 14kgf$cm^2$ 이상을 나타냈다. 또한 F/U 몰비 1.2의 경우 본 연구자(1998)의 연구결과인 formaldehyde 방출 무취기준(5mg/$\ell$ 이하)율 만족시키면서 우수한 접착성울 나타냈다. 2. 박리강도는 SLPB 및 STPB 공히 모두 F/U 몰비 1.0, 2.0이 낮은 결과치를 나타냈고 1.2~1.8사이에서는 큰차이는 없었으며, SLPB의 경우 4.8~5.9kgf/$cm^2$의 값의 분포를 STPB는 5.4~6.7 kgf/$cm^2$의 분포를 보이고 있어 STPB가 우수한 박리강도를 나타냈다. 이 결과에서 F/U 몰비에 따른 박리강도의 영향 보다는 원재료의 형상에 따른 영향이 더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3. 휨강도도 역시 SLPB 및 STPB 공히 F/U 몰비 1.0, 2.0이 낮은 결과치를 나타냈다. STPB 전몰비 모두가 KS 규격 200 Type(휨강도가 180kgf/$cm^2$) 이상을 만족시키는 결과를 보였고 SLPB의 경우도 전몰비 모두 KS 규격 150 Type(휨 강도가 130kgf/$cm^2$)이상을 만족시키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 결과에서는 전체적으로 STPB가 SLPB에 비하여 2배 이상의 우수한 강도를 보였다. 이는 휨강도에서도 F/U 몰비에 따른 영향보다는 원재료의 형상에 따른 영향이 더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4. 두께 팽창율에서는 고몰비인 2.0, 1.8 저몰비인 1.0, 1.2에서 SLPB, STPB 모두 높은 두께 팽창율을 보였으며 STPB의 경우 F/U 몰비 1.6에서 SLPB의 경우는 F/U 몰비 1.4에서 가장 낮은 두께 팽창율을 나타냈다. 그리고, STPB의 경우 6몰비 모두 KS기준 12% 이하를 만족시키고 있었으나 SLPB에서는 그 기준을 모두 상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SLPB가 STPB보다 약 2배의 두께 팽창율을 나타내 두께 팽창율에서도 F/U 몰비에 따른 영향보다는 원재료의 형상에 따른 영향이 더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합판의 접착성 및 보드의 재질에 미치는 영향은 F/U 몰비의 변이 보다는 원재료의 형상의 영향이 이 더욱 크게 작용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보드의 제조기준이 본 실험과 동일하다면 합판의 접착성과 PB의 물리적, 기계적 성질과 본 연구자(1998)의 연구결과인 formaldehyde 방출량 및 방출경향을 고려할 때 사용처와 용도에 따라 합판의 경우 우수한 접착력과 KS formaldehyde 무취기준을 만족시키는 F/U 몰비 1.2를 PB의 경우 양호한 휨강도, 박리강도, 비교적 낮은 두께 팽창율과 KS formaldehyde E2형 (5mg/$\ell$ 이하)기준율 만족시키는 F/U 몰비 1.2~1.4가 사용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제지 슬러지 - 합성 섬유 - 목섬유 복합재의 개발 (A Study On Paper Sludge - Synthetic Fiber - Wood Fiber Composites)

  • 이필우;이영규;김현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1-10
    • /
    • 2002
  • 제지 공정중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중의 하나로써 목질보드 원료 대체 재료로써의 그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지 슬러지, 합성 섬유, 목섬유의 혼합비를 각각 5:5:90, 15:15:70, 25:25:50으로 PMDI와 요소수지 접착제를 사용하여 목표비중 0.7, 0.8, 0.9인 복합재를 제작하여 물리적 및 기계적 성질을 측정한 결과 제지 슬러지와 합성 섬유를 30%~50%를 혼합하여 복합재를 제조하여도 기존의 보드와 비교하여 손색이 없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를 사용(使用)한 곰솔 집성재(集成材)의 제조조건(製造條件)이 접착성질(接着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 of Adhesion Condition on the Laminated Wood of Pinus thunbergii glued with Urea-formaldhyde Resin)

  • 정인오;소원택;임기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2권2호
    • /
    • pp.35-43
    • /
    • 198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lock shear strength of the 2ply laminated wood composed of Pinus thunbergii with ureaformaldehyde resin as adhesives according to pressure (6, 9, 12, 15kg/$cm^2$), pressing time(5, 10, 20, 30 hrs.), amount of spread(54, 108, 217, 324g/$cm^2$), hardener(10, 20, 30, 40% of 10% $NH_4CL$ on resin) and extender(0, 5, 10, 15% wheat flour on resin), and the bending strength and bending young's modulus of laminated beam according to the number of pl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pressing pressure with amount of spread 217g/$cm^2$ both dry and wet shear strength of laminated wood showed the highest in 15kg/$cm^2$, and hot-cold soaking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in 9kg/$cm^2$, while all shear strength of dry, wet and hot-cold soaked laminated wood have been reduced with the increasing of pressing time. 2. According to amount of spread, adhesion strength with the dry, wet and hot-cold soaking treatments revealed the highest in 217g/$cm^2$ and have been reduced under or over 217g/$cm^2$ of spread. 3. According to addition of hardener and extender, all shear strength of laminated block with the dry, wet and hot-cold soaking treatments have been reduced in increasing of addition amount of hardener and extender. The bending strength of beam according to the number of ply showed the highest in 2ply laminated wood and horizontal loading beam to glue line had the higher in strength than the vertical loading.

  • PDF

낙엽분말(落葉粉末)을 이용(利用)한 합판용(合板用) 접착제(接着劑)의 증량(增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xtending of Plywood Adhesives used Foliage Powder)

  • 김종만;박종열;이필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3-100
    • /
    • 1979
  • 본연구(本硏究)는 합판용(合板用) 증량제(增量劑)로 사용(使用)하고 있는 도입소맥분(導入小麥粉)을 값이 싸고 대량생산(大量生產)이 가능(可能)한 낙엽분말증량제(落葉粉末增量劑)로 개발(開發)하여 대치(代置)키 위(爲)한 가능성(可能性)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해서 계획(計劃)하고 착수(着手)되었다. 낙엽증량제(落葉增量劑)로 채취가공(採取加工)하기 위(爲)한 수종(樹種)은 침엽수종(針葉樹種)에서 소나무를 택(擇)하였고 활화수종(濶華樹種)에서는 미류나무, 참나무, 푸라타누스를 택(擇)하였으며, 각각(各各)의 낙엽(落葉)을 채취(採取)하여 $100{\sim}105^{\circ}C$에서 24시간동안(時間同安) 전건(全乾)시킨 다음 40 mesh로 분쇄한 분말(粉末)을 증량제(增量劑)로 사용(使用)하였으며, 이와 비교시험(比較試驗)을 위(爲)해서 소맥분(小麥粉)을 사용(使用)하였는데 소맥분(小麥粉)의 분말도(粉末度)는 100mesh의 것을 이용(利用)하였다. 증량방법(增量方法)은 합판접착용요소수지(合板接着用尿素樹脂)와 석탄산수지접착제(石炭酸樹脂接着劑)에 수종별(樹種別)로 낙엽분말(落葉粉末)과 소맥분(小麥粉)을 각각(各各) 10, 20, 30, 50 및 100%로 증량(增量)하여 합판(合板)을 가공(加工)한 다음 접착력(接着力)을 분석고찰(分析考察)하였다. 본연구(本硏究)에서 얻은 결론(結論)은 다음과 같다. 1)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 1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맥분증량(小麥粉增量)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무증량합판(無增量合板)이었고 낙엽분말(落葉粉末)을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은 가장 접착력(接着力)이 낮았다. 낙엽분말(落葉粉末)을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접착력순위(接着力順位)는 참나무 낙엽분말(落葉粉末)이 가장 좋았고 미류나무, 소나무, 푸라타누스낙엽분말(落葉粉末)의 순(順)으로 저하(低下)하였다. 2)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 2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맥분증량(小麥粉增量)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미류나무낙엽분말증량합판(落葉粉末增量合板)이었으며 이들은 모두 무증량합판(無增量合板)보다 접착력(接着力)이 높았다. 미류나무를 제외(除外)하고 접착력(接着力)이 불량(不良)하지만 낙엽분말증량합판(落葉粉末增量合板)의 접착력순위(接着力順位)는 소나무, 푸라타누소, 참나무의 순(順)으로 낮아졌다. 3)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 3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맥분증량(小麥粉增量)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무증량합판(無增量合板)이었으며 낙엽분말(落葉粉末)을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은 접착력(接着力)이 급격히 저하(低下)하여 불량(不良)하였다. 4)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 50%와 10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은 소맥분증량합판(小麥粉增量合板)만 우수(優秀)한 접착력(接着力)을 보여 주었을 뿐 낙엽분말(落葉粉末)을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은 50%에서만 소나무, 미류나무에서 약(弱)한 접착력(接着力)이 측정(測定)되었고 기타(其他)의 낙엽분말(落葉粉末)은 박리(剝離)하였고 100%에서는 모든 낙엽분말증량합판(落葉粉末增量合板)이 박리(剝離)하여 접착력(接着力)이 측정(測定)되지 않았다. 5)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 1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은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과 같이 소맥분(小麥粉)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무증량합판(無增量合板)이었으며 낙엽분말(落葉粉末)을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은 미류나무를 제외(除外)하고 모두 낮은 접착력(接着力)을 나타냈다. 6)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 2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은 무증량합판(無增量合板), 소맥분증량합판(小麥粉增量合板), 낙엽분말증량합판(落葉粉末增量合板) 순(順)으로 접착력(接着力)이 낮아졌으나 낙엽분말증량합판(落葉粉末增量合板)은 미류나무와 참나무를 제외(除外)하고 박리(剝離)하였다. 7)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 30%이상(以上)을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은 30%와 50%의 소맥분증량(小麥粉增量)에서 접착력(接着力)이 측정(測定)되었을 뿐 낙엽분말(落葉粉末)은 모두 박리(剝離)하여 접착력(接着力)이 측정(測定)되지 않았다. 8) 석탄산수지접착제(石炭酸樹脂接着劑)에 1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맥분증량(小麥粉增量)이 가장 우수(優秀)하였고 낙엽분말증량합판(落葉粉末增量合板)은 접착력(接着力)이 낮았으나 그 순위(順位)는 참나무, 미류나무, 소나무 순(順)이었고 푸라타누스에서는 박리(剝離)하였다. 9) 석탄산수지접착제(石炭酸樹脂接着劑)에 2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맥분증량(小麥粉增量)이 가장 우수히였으나 소나무 낙엽분말합판(落葉粉末合板)이 그 다음으로 급상승(急上昇)하였으며 다음 순위(順位)는 참나무, 미류나무의 순(順)으로 저하(低下)하였고 푸라타누스는 박리(剝離)하였다. 10) 석탄산수지접착제(石炭酸樹脂接着劑)에 3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나무가 급상승(急上昇)한 접착력(接着力)으로 소맥분증량합판(小麥粉增量合板)보다 우수(優秀)하였으나 미류나무, 참나무는 20%증량(增量) 보다 저하(低下)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푸라타누스는 박리(剝離)하였다. 11) 석탄산수지접착제(石炭酸樹脂接着劑)에 50%와 10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나무 낙엽분말증량합판(落葉粉末增量合板)과 소맥분증량합판(小麥粉增量合板)이 우수(優秀)한 접착력(接着力)을 보여주고 있는데 반(反)하여 미류나무, 참나무, 푸라타누스등(等) 활엽수낙엽분말(濶葉樹落葉粉末)의 증량(增量)은 박리(剝離)하여 접착력(接着力)이 측정(測定)되지 않았다. 12) 낙엽분말(落葉粉末)의 증량(增量)은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서 미류나무 낙엽분말(落葉粉末)을 20%까지 첨가사용(添加使用)할 수 있으며 석탄산수지접착제(石炭酸樹脂接着劑)에서는 소나무 낙엽분말(落葉粉末)을 소맥분(小麥粉)의 증량(增量)과 똑같이 첨가사용(添加使用)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