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vulnerability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8초

Seismic pounding effects on adjacent buildings in series with different alignment configurations

  • Abdel Raheem, Shehata E.;Fooly, Mohamed Y.M.;Abdel Shafy, Aly G.A.;Abbas, Yousef A.;Omar, Mohamed;Abdel Latif, Mohamed M.S.;Mahmoud, Sayed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28권3호
    • /
    • pp.289-308
    • /
    • 2018
  • Numerous urban seismic vulnerability studies have recognized pounding as one of the main risks due to the restricted separation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structures. The pounding effects on the adjacent buildings could extend from slight non-structural to serious structural damage that could even head to a total collapse of buildings. Therefore, an assessment of the seismic pounding hazard to the adjacent buildings is superficial in future building code calibrations. Thus, this study targets are to draw useful recommendations and set up guidelines for potential pounding damage evaluation for code calibration through a numerical simulation approach for the evaluation of the pounding risks on adjacent buildings. A numerical simulation is formulated to estimate the seismic pounding effects on the seismic response demands of adjacent buildings for different design parameters that include: number of stories, separation distances; alignment configurations, and then compared with nominal model without pounding. Based on the obtained results,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severity of the pounding effects depends on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adjacent buildings and the input excitation characteristics, and whether the building is exposed to one or two-sided impacts. Seismic pounding among adjacent buildings produces greater acceleration and shear force response demands at different story levels compared to the no pounding case response demands.

필로티 구조의 공동주택 화재 위험성 연구 - 의정부 대봉그린 도시형아파트 화재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ire Risk of Apartment House with Pilotis Structure - Focused on the Fire case of Uijeongbu-si Urban Livig Homes -)

  • 최승복;최돈묵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48-54
    • /
    • 2016
  • 대부분 필로티 구조 건물은 필로티를 통해야만 출입이 가능한 구조이고 주차장으로 사용할 경우 차량이 연쇄적으로 소훼되면서 짧은 시간에 필로티 전체로 확산된다. 연소 하중이 높은 차량과 천장 단열재에서 생성된 뜨거운 열기와 유독가스는 출입문을 파손시키고 건물내부로 유입되어 계단과 승강기 그리고 전선이 지나가는 피트(EPS)와 같은 경로를 통해 건물 상층으로 확대된다. 필로티에서 화재가 발생할 위험성은 다양하다. 만약 이곳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입주민들은 건물에 갇혀 생존에 위협을 받을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필로티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5명이 사망하고 139명의 다친 의정부 아파트 화재 사례를 살펴보고 필로티 구조의 건물의 화재 취약성을 분석하였다.

주거취약 청·장년 독신가구의 커뮤니티형 공동주택 구성요소 선호특성 연구 - 서울 쇠퇴지역 거주 독신가구를 중심으로 - (Preferred Features of Communal Shared Housing of the Urban Young Adults and Adults Housing Poor - Focused on Single Household Living in the Deprived Area of Seoul-)

  • 고지영;이연숙;안소미
    • KIEAE Journal
    • /
    • 제16권2호
    • /
    • pp.53-6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al shared housing preferred by the housing vulnerable single-person household young adults and adults. It also intended to identify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 adults and adults and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Method: The the questionnaire using face-to-face interview was conducted. The research subjects were 100 housing vulnerable single-person household young adults and adults, who were living in Gosiwon, Jjokbang, detached houses below the minimum housing standards, multiplex housing units and multi-household houses in Seoul.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housing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space planning and non-physical elements on the communal shared housing,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Result: Out of 15 categories on the communal shared housing, there were common preferences to 6 categories and differences in 7 categories between young adults and adults. At a time with the need for customized housing welfare by life cycle, these research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o realize customized housing welfare for the housing vulnerable and develop appropriate housing alternatives.

계층적 베이지안 모델을 적용한 극치 해수위 비정상성 빈도 분석 (Hierarchical Bayesian Model Based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for Extreme Sea Level)

  • 김용탁;오랑치맥 솜야;권현한;황규남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34-43
    • /
    • 2016
  • 국내의 연안은 지속적 발전으로 해수면 상승(sea level rise, SLR)으로 인한 연안재해 취약성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균해수면 상승에 따른 극치조위 자료에 대한 비정상성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Mann-Kendall(MK) 검정 결과 연평균조위(annual average tide)의 경우 17개 지점에서 경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극치 조위의 경우에는 7개 지점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상성 빈도 해석 결과 2100년에 한반도 연안의 극치 해수면 변화는 최소 60.33 mm에서 최대 214.90 mm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격자망분석을 통한 범죄발생 취약지역 추출 기법 (Methodology of Extraction of Crime Vulnerable Areas Through Grid-based Analysis)

  • 박진이;김의명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21-229
    • /
    • 2015
  • 개인의 안전에 직접적인 위협을 끼치는 도심 속의 범죄는 심각한 사회문제 중의 하나이다. 국내에서 범죄에 관한 정보는 주로 범죄 발생지점 주변의 핫스팟 형태로 제공되거나 위치정보가 없는 범죄 통계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실질적인 범죄발생에 취약한 지역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 통계정보, 공공정보를 이용하여 범죄발생 취약지역을 추출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범죄발생 취약지역은 각각의 정보를 격자망 기반의 공간분석과 중첩분석을 통하여 추출하였으며 기존의 핫스팟 기반의 범죄관련 정보보다 상세한 범죄 취약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추출한 범죄발생취약지역 결과는 국민생활안전지도와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범죄발생 취약지역의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행정업무 차원에서 등급별 범죄 발생위험도 제공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GIS를 이용한 재해상황 자동음성 통보시스템 구축 (Establishment of Automatic Response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using GIS)

  • 정대영;방희봉;신영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9-79
    • /
    • 2002
  • 과도한 인구의 밀집과 도시 하부구조시설의 집중이 될수록, 재난의 가능성은 그 만큼 존재하게 된다. 대부분의 도시가 예상치 못하는 자연적 및 인위적 재난을 대처 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을 지니고 있다. 많은 사례가 이미 증명되고 있듯이, 이러한 재난은 사회경제적, 재정적, 물질적 및 인명손실에 많은 영향을 초래하고 있다. 비록 여러가지 재난방지 프로그램을 준비해 왔지만, 재난방지를 위한 첨단경고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부족한 점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전화에 연결될 수 있는 자동음성통보시스템의 개념적 생각과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개념적 모델과 시스템 구조는 재난을 예측하고 분석할 뿐만 아니라, 재난의 위험과 위기에 대한 해결책과 대책을 제시한다. 그러나, 지리적정보 측면에서 자동음성통보 시스템의 개념적 정의 및 모델에 대한 연구가 적은 듯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자연적 재난과 인위적 재해를 조사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 PDF

도시 저소득층의 프탈레이트 노출수준과 관련 요인: 거주 취약집단을 중심으로 (Phthalate Exposure Levels and Related Factors in the Urban Low-Income Group: Focus on a Residential Disadvantaged Community)

  • 한다희;강지윤;한서희;김수현;진호현;김차훈;임호섭;김기태;조용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315-323
    • /
    • 2022
  • Background: Socioeconomical disadvantaged communities are more vulnerable to environmental chemical exposure and associated health effects. However,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on chemical exposure among vulnerable populations in Korea.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chemical exposure among underprivileged populations. We measured urinary metabolites of phthalates in urban disadvantaged communities and investigated their correlations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factors and relative socioeconomic vulnerability. Methods: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64 residents in a disadvantaged community in Seoul. A total of eight phthalate metabolites were analyzed by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scopy. Analytical method used by the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KoNEHS) was employed. Covariate variance analysis and general linear regression adjusted with age, sex and smoking were performed. Results: Several phthalate metabolites, namely monomethyl phthalate (MMP), monoethyl phthalate (MEP), mono-(2-ethyl-5-hydroxyhexyl) phthalate (MEHHP), and mono-n-butyl phthalate (MnBP) had higher levels than those reported in the adults of 4th KoNEHS. Notably, the MnBP level was higher in the lower socioeconomic group (geometric mean [GM]=47.3 ㎍/g creatinine) compared to non-recipients (GM=31.9 ㎍/g creatinine) and the national reference level (GM=22.0, 28.2 and 32.2 ㎍/g creatinine for adults, 60's and 70's, respectively.). When age, sex and smoking were adjusted, MEP and MnB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ower socioeconomic group than non-recipients (p=0.014, p=0.023). The lower socioeconomic group's age of flooring were higher than non-recipient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relatively low income and aged flooring could be considered as risk factors for increased levels of phthalate metabolites in socioeconomic vulnerable populations.

현실적 가뭄대응력 평가를 위한 공급가능일수 기반의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index based on supply capacity for practical evaluation of drought resilience)

  • 김기주;김지흔;서승범;김영오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1호
    • /
    • pp.11-21
    • /
    • 2023
  • 최근 발생하는 극한가뭄에 대비하고자 본 연구는 실제 운영에서 수자원 시설물의 가뭄 취약도 및 가뭄대책별 우선순위를 파악할 수 있는 가뭄대응력 지표로 S-day를 제안하였다. 여기서 가뭄대책이란 용수공급 조정, 시설간 연계운영, 비상용량 고려 등이 대표적이며, 각 댐별로 그 구성에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15개 다목적댐 및 용수댐에 대하여 가뭄대응력을 산정하였으며, 그 결과 20년 빈도의 가뭄이 지속될 시 15개 댐 모두 전반적으로 용수공급 조정이라는 가뭄대책을 통해 안정적인 가뭄대응력을 보였다. 하지만 다른 대책에서는 2년 이상 지속되는 다년 가뭄을 대비하지 못하였으며, 횡성댐과 안동·임하댐은 100년 빈도 가뭄 발생 시 대부분의 대책에서 S-day가 1년을 넘기지 못하였다. 특히, 횡성댐, 안동·임하댐, 군위댐, 운문댐, 대청댐, 주암댐은 20년 빈도 가뭄 발생 시, 가뭄대책을 적용하지 않으면 1년 내로 정상적인 용수공급이 불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day를 통해 가뭄대책별 최적 공급 용량을 제안하고 대책별 가뭄단계에 따른 가동시기를 변경해 가뭄대응 효과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미래 사회·경제적 변동에 따른 수요변화를 반영하고자 현행 공급 계약량에 대해 10%씩 증감하여 전체 15개 댐의 가뭄대응력을 재평가하였다. 그 결과 공급계약량이 10% 감소할 경우, 대부분의 댐에서 용수공급 조정만으로도 심각한 가뭄에 대한 대비가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화학물질 누출에 의한 대량재해 - Methyl Isocyanate 누출을 중심으로 - (Chemical Disaster of Methyl Isocyanate Leakage)

  • 양혁준;최중명;유동준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19
    • /
    • 1999
  • Background : We are in the edge of some human made disasters such as hazardous materials and air pollution, for example, the world news reported that the city of Bhopal, India had serious victims related with a leaking out of the chemical materials, Methyl Isocyanate and many people in India were killed by. These situations many people who live in this world are world are worrying about are not others, but just ours and people consider about that kind of the disasters are the possible situation to happen to all the people. Therefore, we performed this basic study to recognize the risk of Methyl Isocyanate leak accident and to prepare local disaster plan with EMS system. Method : Trace 8.0, a simulation software made by the U.S. company Safer System was used as a tool to estimate the diffusion distance, area and its victims at the concentrations of 0.02ppm, 0.2ppm 5ppm respectively for an assumed B-city of 2 hundred thousands population count in which was presumed 500kg Methyl Isocyanate gas to leak out. Results : 1. During 1 hour, maximum diffusion distances of 0.02ppm 0.2ppm and 5ppm were 5.41km, 1.61km and 0.29km respectively on the plume impact. 2. Maximum population counts influenced by Methyl Isocyanate gas at the concentrations of 0.02ppm 0.2ppm and 5ppm were 40838, 4346 and 222 on the plume impact, while those were 138238, 17261 and 1588 on the vulnerability impact, respectively. 3. Therefore, 17261 persons must put on respiratory device and 138283 persons must be evacuated to safety place within 1 hour. Conclusions : Only small amount leak of Methyl Isocyanate may cause tremendous chemical disaster in urban area, so its disaster plan must be prepared with an accident simulation program and Material Safety Data Sheets(MSDS). Especially, nearby emergency center of an industrial complex must have a strong position about preparation of chemical disaster plan and perform a disaster dill of hazardous material accident annually.

  • PDF

홍성 지역의 공간 지층정보 예측을 통한 부지주기 토대의 지진공학적 부지분류 (Seismic Site Classes According to Site Period by Predicting Spatial Geotechnical Layers in Hongseong)

  • 선창국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2-49
    • /
    • 2010
  • 1978년 10월 7일 규모 5.0의 지진 발생으로 구조물 피해가 발생한 홍성 지역을 대상으로 지진 부지효과 관련 지진 지반운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질 및 지반 조건에 관한 지반 특성을 평가하였다. 현장에서는 16 개소의 부지에 대해 시추조사와 전단파속도 분포를 획득하기 위한 탄성파 시험의 다양한 지반 조사를 수행하였다. 홍성 및 인근에서의 지반 조사와 추가 수집을 통해 확보한 지반 자료를 토대로, 지반 정보 관련 전문가 시스템을 공간 GIS 기법을 적용하여 구축하였다. 소도시 지역의 지진운동 평가 목적의 GIS 기반 지반정보 시스템의 실질적 활용을 위하여, 기반암심도 및 부지 주기와 같은 지반 특성 변수의 공간 지진재해 구역화 지도를 홍성읍 행정 영역 전체에 걸쳐 작성하고 지진 취약도의 공간 분포를 확인하였다. 부지 주기 기반의 부지 분류 체계를 적용하여 내진설계 시 부지 증폭계수를 결정할 수 있는 공간 구역화를 수행하였다. 홍성 지역의 지진재해 구역화 연구로부터 지반 조사 기반의 GIS가 내륙 소도시의 지진 지반운동의 지역적 예측에 매우 유용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