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welling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4초

인공용승류 해역에서 채집한 난자치어의 종조성 및 시공간 변동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and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s in a Sea Area, with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

  • 곽석남;허성회;김하원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9-314
    • /
    • 2013
  • 인공용승류 해역에서 난자치어의 종조성 및 시공간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6월 13일, 9월 21일 및 25일에 난자치어 네트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어란은 4,849 ind./$1,000m^3$, 자치어는 641 ind./$1,000m^3$이였다. 출현한 어란 중 가장 우점한 종은 멸치(Engraulis japonicus)로써 총 출현량의 약 57.5 %를 차지하였다. 그 외 미동정(Unidentified) 어란 I, II, III, IV이 출현하였다. 자치어는 청베도라치(Pictiblennius yatabei)가 가장 우점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돛양태류(Repomucenus sp.A, sp.B), 고등어(Scomber japonicus), 멸치(Engraulis japonicus), 전어(Konosirus punctatus)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동정(Unidentified) 자치어 I, II가 출현하였다. 대조구 해역에서는 어란은 멸치, 자치어는 돛양태류가 출현하였다. 시기별 변동에서는 어란 및 자치어 모두 7월에 가장 많았으며, 8월에 가장 낮았다. 정점별 변동에서는 인공용승이 일어나는 인근 정점인 2, 3번에서 어란 및 자치어의 출현량이 가장 많았다. 대조구 해역과의 비교하여 정점당 약 4배 이상 많은 어란 및 자치어가 출현하였다. 인공용승에 의한 영양염류 및 먹이생물의 증가로 인하여 어란 및 자치어의 출현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중위성 및 현장관측을 이용한 동해남부 연안용승 발생 전후의 해양환경 특성 (Characteristics of Ocean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Coastal Upwelling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Using an In-situ and Multi-Satellite Data)

  • 김상우;고우진;김성수;정희동;야마다게이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5-35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하계 냉수대 발생과 관련하여 2007년 6월과 8월의 현장 및 위성에서 관측한 NOAA 해양표면수온과 SeaWiFS 해색 영상 및 QuikScat 자료를 이용하여 동해 남부해역의 수온과 클로로필 a 농도의 단기 변동과 바람을 살펴보았다. 특히, 동한난류 해역의 수온과 Chl-a의 공간적인 분포에 주목하였다. 현장관측 자료의 분석 결과, 울산 부근의 연안용승이 발생 이전인 6월의 클로로필 a 농도의 피크는 전체 조사 정점에서 50m 층에 보였고, 8월의 그 피크는 육지에 근접한 정점 4와 5에서는 10m 그리고 그 외 정점은 30m 층에 나타났지만 정점 5를 제외하고 그 농도는 6월보다 낮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클로로필 a 농도의 피크는 농도 차이는 있지만 8월이 6월보다 20-40m 얕은 층에 형성되었고, 이것은 남풍계열의 바람에 의한 연안용승으로 하부층의 영양염 공급 등과 관계하는 것 같다. 위성관측 수온과 클로로필 a 농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냉수가 발생한 곳에서 클로로필 a 농도는 고농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남풍계열의 바람에 의한 영향과 동한난류의 이안은 연안에서 발생한 냉수와 Chl-a 등을 외해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담수 확산에 미치는 바람과 해저 지형의 영향 (Wind and Bathymetry Effects on the Fresh Water Plume Structures)

  • 이정우;윤상린;오혜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698-703
    • /
    • 2014
  • 강어귀의 기하학적 특징과 바람의 방향(upwelling, onshore, downwelling, and offshore winds)에 의한 담수 확산의 변화에 대하여 3차원 해양 순환 모델인 Regional Ocean Modeling System (ROMS)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총 4개의 임의의 강어귀를 가정하였으며, 담수가 수심이 깊어지는 바다(sloping shelf)에 진입했을 경우가 편평한 바다(flat shelf)에 진입한 경우에 비해 빠른 x, y 운동량(momentum)의 상실과 상대적으로 강한 Coriolis 효과로 인하여 외해로의 담수 확산이 제한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바람은 수직혼합을 촉진시켜 성층현상을 파괴한다는 기존 연구에 반해 약용승풍(mild upwelling winds)과 외해풍(offshore winds)의 경우(${\mid}{\tau}_{\omega}{\mid}=0.01Pa$) 성층현상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침강풍(downwelling winds)과 연안풍(onshore winds)의 경우 기존 연구와 같이 성층을 파괴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해저 물길(submarine channel)은 담수확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물길의 방향 또는 폭 등과 같은 해저 물길의 기하학적 특징에 의해 담수의 확산 정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또한 해저 물길은 담수 확산을 해저 물길의 상층부로 강하게 제한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PHYTOPLANKTON BLOOMING AND OCEANIC CONDITIONS IN THE SEAS AROUND THE SPRATLY ISLANDS

  • Dien, Tran Van;Tang, DanLing;Kawamura, Hirosh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529-532
    • /
    • 2006
  • The oceanic currents in the South China Sea (SCS) are strongly influenced by monsoon winds. A review on the SCS currents has indicated that 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out an anticyclonic circulation in the area between the southern Vietnam coast and the Spratly Islands. However, its detail is not understood because of less information of in situ observations. The physical-biological interaction is quite new research area, which has been established and promoted by means of the ocean color remote sensing. Temporal/spatial variability of the phytoplankton activities are well captured by ocean color (OC) -derived Chlorophyll-a images. Combining the OC-Chl-a and the other high-resolution satellite data (e.g., SST images), the biological aspects of oceanographic variation is well described. The blooming phenomena in the area between the southern Vietnam coast and the Spratly islands are further investigated. Change in the wind-system related to the El Nino generates upwelling/SST-cooling in the sea south of the Spratly Islands through the air-sea-land interaction was studied. The seasonal upwelling is also associated with the harmful algal bloom (HAB) off two side of Indochina Peninsula have investigated. The seasonal variation of SCS phytoplankton blooming and related oceanic conditions in Vietnam coast was observed. Ocean color satellite data has effective contribute to study the oceanic condition and phytoplankton blooming in South China Sea.

  • PDF

바람영향하의 River plume에 따른 부유물체 확산 및 이동 연구 (The study of moving and dissipation of floating mines due to wind forced river plume)

  • 백성호;박경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95-29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강 하구 지역에 부유물체 유출시 물체의 이동과 확산 패턴을 파악하고자 plume의 생성과 변화, 외력에 대한 변동성을 연구하였다. 외력이 없는 경우 강수는 bulge와 alongshore current를 형성하며 연안을 따라 이동한다. Downwelling wind와 downcoast meanflow의 경우는 steady state와 동일한 패턴을 형성하나 수송은 강해져 연안을 따라 흐르는 물체의 이동과 확산속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Upwelling wind가 부는 경우 Ekman transport에 의해 bulge가 연안으로부터 떨어져 45도 각도로 북서쪽으로 이동하는데 그 이동경로는 linear하며 바람의 세기로부터 독립적이다. 그리고 Bulge의 이동속도는 바람응력의 세기와 정비례한다. 따라서, 이 경우 부유물체의 upcoast로의 이동과 외해로의 확산이 예상된다.

  • PDF

하계 한국동해안 냉수대 발생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Study on the Cold Mass Occurrence in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Summer)

  • 서영상;황재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0호
    • /
    • pp.945-953
    • /
    • 2005
  • Daily time series of longshore sea surface temperature (SST) data at 3 stations, sea surface SST data at 58 stations in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r from 2001 to 2005 were used in order to study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the upwelling coastal cold water occurred in summer season. When the cold water occurred, SST has been decreased more than $-5^{\circ}C$ in a day. The cold water occurred frequently in the eastern coastal areas of Korea such as Ulgi, Kampo, Jukbyun. Daily variations of cold water temperature were quantified using remote control buoy system at Kijang in the southeastern coastal water from July to August in 2004. Hourly variations of SST occurred around $\pm3^{\circ}C$ when cold water disappeared at Kijang. There wer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ngth of East Korean Warm Current, North Korean Cold Water and the scale of spatio-temporal cold water variations in summer season.

Late Quaternay Paleoceanography as Recorded by Planktonic Foraminifera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 Kim, Gil-Young;Kim, Dae-Choul;Shin, Im-Chul;Yi, Hi-Il;Kim, Jeong-Ch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3권1-2호
    • /
    • pp.8-17
    • /
    • 1998
  • Paleoceanographic history of the East Sea is reconstructed based on several environmental parameters (coarse fraction content, planktonic foraminifera/benthic foraminifera ratio, fragmentation and assemblages of planktonic foraminifera, and coiling ratio of Neogloboquadrina pa-chyderma, etc,) of the late Quaternary sediments obtained from the Ulleung Basin. N. pa-chydeyma and Globigerina bulloides are dominant species (greater than 90% in abundance)among the total planktonic foraminifera assemblages in the late Quaternary sediments. The benthic foraminifera rarely occurred throughout the cores. Sinistrally-coiled specimens of N. pa-chyderma representing cold water temperature are observed more abundantly than dextrally-coil-ed ones. In addition, the sinistrally-coiled N, pachydeyma showed more the amount at the lower part of the cores than at the upper part suggesting the restriction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into the East Sea during glacial period. G. bulloides, a species representative of upwelling condition, shows more abundant occurrence in the sediments of Core 941013 than those of Core 941006. This implies that Core 941013 is more influenced by upwelling than Core 941006. The upper part of the two cores contain more fragmentation of planktonic foraminifera suggesting significant dissolution by corrosive bottom wafer. Ascending CCD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absence of planktonic foraminifera at the upper part of the cores.

  • PDF

한국 동해안 냉수괴의 해양화학적 고찰 (CHEMICAL OCEANOGRAPHIC ASPECT OF THE COLE WATER MASS IN OFFSHORE OF THE EAST COAST OF KOREA)

  • 박청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49-54
    • /
    • 1978
  • 한국 동해안해역에서 하계에 출현하는 냉수괴의 생성기구를 해양화학적인 측면에서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해연안의 냉수괴출현해역의 인산염과 용존산계의 특수한 관계를 조사한 결과 동해남부 연안해역인 감포부근 해역에서만 용승현상을 인정할 수 있었으나 그 이북 동해중부해역에서는 용승현상을 인정할 수 없었다. 2. $\sigma_t-O_2$ diagram에 의해 동해연안해역의 구성수괴를 분석하면 T-S diagram 으로는 구별하기 어려운 북한한류계수와 일본해고유냉수를 구별할 수 있었다. 3. 동해남부 연안해역을 제외한 동해중부 연안해역에 출현하는 냉수괴의 기원은 일본해고유냉수의 용승에 의한 것이 아니고, 북한한류가 안안을 따라 남하하는 현상 때문으로 보인다.

  • PDF

MEASUREMENT OF SPECTRAL-ANGULAR RADIANCES OF COASTAL WATERS IN THE KOREAN SOUTH SEA

  • Ahn, Yu-Hwan;Shanmugam, Palanisamy;Ryu, Joo-Hyung;Moon, Jeong-E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156-158
    • /
    • 2007
  • The radiance observed from the ocean depends on the illumination and viewing geometry along with the water properties, and this variation is called the bidirectional effect which is important to be considered in ocean color remote sensing. In the present study, as a preliminary step, the spectral-angular radiances in coastal water were investigated with experiments for a range of viewing geometric conditions $(0-70^{\circ})$. Over a phytoplankton-dominated water surface the upward radiance for visible and near-infrared wavelengths (example, SeaWiFS and GOCI) increased at nadir and decreased toward the near-horizon, becoming dependent of viewing angles (with higher radiance at nadir view angle and lower radiance at near-horizon viewing angle). This variations were better expressed by the Q-factor, which relates upwelling radiance to the upwelling irradiance (i.e., $Q=E_u/L_u$, also dependent on Sun's position). The Q-factor for this case was more non-uniform with the considered wavelengths and was dependent on viewing geometric conditions. These experimental results confirm the previous similar findings in other coastal waters.

  • PDF

Evolution of the eastern margin of Korea: constraints on the opening of the East Sea (Japan Sea)

  • Kim, Han-Joon;Jou, Hyeong-Tae;Suk, Bong-Chool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7년도 특별 심포지엄 논문집
    • /
    • pp.73-83
    • /
    • 2007
  • We interpreted marine seismic profiles in conjunction with swath bathymetric and magnetic data to investigate rifting to breakup processes at the eastern Korean margin that led to the separation of the southwestern Japan Arc. Analysis of rift fault patterns suggests that rifting at the Korean margin was primarily controlled by normal faulting resulting from extension rather than strike-slip deformation. Two extension directions of E-W and NW-SE for rifting are recognized. We interpret that the E-W direction represents initial rifting at the inner margin and the NW-SE direction probably represents the extension in response to tensional tectonics associated with the subduction of the Pacific Plate in the NW direction. No significant volcanism was involved in rifting. In contrast, the inception of sea floor spreading documents a pronounced volcanic phase which appears to reflect asthenospheric upwelling as well as rift-induced convection particularly in the narrow southern margin. We suggest that structural and igneous evolution of the Korean margin, although it is in a back-arc setting, can be explained by the processes occurring at the passive continental margin with magmatism influenced by asthenospheric upwell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