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per diabetes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2초

메트포르민의 서방출을 위한 팽윤성 위체류 약물전달시스템 설계 (Design of swelling gastroretentive drug delivery system for sustained release of metformin)

  • 원권연;김세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15-222
    • /
    • 2020
  • 메트포르민은 제2형 당뇨병의 1차 치료제로 사용되는 약물로 다른 당뇨병 치료제에 비해 투여 용량이 크고 용해도는 높으나 위장관 투과도가 낮은 특성을 갖고 있으며 주로 위장관 상부에서만 흡수되는 이유로 생체이용률이 40~60%로 낮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위체류 약물전달시스템을 적용하여 제제가 위에 머무르는 시간을 증가시키고 제제로부터 방출된 약물을 서서히 소장으로 이동시킨다면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팽윤성 시스템은 다른 위체류 약물전달시스템에 비해 안정성이 높아 개발목표기술로 선정하였고, 팽윤성 기제로는 기존의 연구와 다르게 카라기난과 히프로멜로오스를 병용하여 차별성을 확보하였다. 카라기난과 히프로멜로오스 병용 시스템은 각각의 함량이 15/110 질량분율일 때 가장 높은 팽윤성과 적절한 서방성 용출패턴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각의 함량이 15 %와 14 %가 되도록 제조한 메트포르민 정제를 시판 정제와 비교 시 더 우수한 팽윤성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에 의해 메트포르민의 서방출을 위한 새로운 팽윤성 위체류 약물전달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주성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면 의약품,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등의 분야에서 효과적인 약물전달시스템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rst Report of Myiasis Caused by Cochliomyia hominivorax (Diptera: Calliphoridae) in a Diabetic Foot Ulcer Patient in Argentina

  • Olea, Maria Sofia;Centeno, Nestor;Aybar, Cecilia Adriana Veggiani;Ortega, Eugenia Silvana;Galante, Guillermina Begona;Olea, Luis;Dantur Juri, Maria Juli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2권1호
    • /
    • pp.89-92
    • /
    • 2014
  • Myiasis is usually caused by flies of the Calliphoridae family, and Cochliomyia hominivorax is the etiological agent most frequently found in myiasis. The first case of myiasis in a diabetic foot of a 54-year-old male patient in Argentina is reported. The patient attended the hospital of the capital city of Tucum$\acute{a} $n Province for a consultation concerning an ulcer in his right foot, where the larval specimens were found. The identification of the immature larvae was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the cylindrical, segmented, white yellow-coloured body and tracheas with strong pigmentation. The larvae were removed, and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ntibiotics. The larvae were reared until the adults were obtained. The adults were identified by the setose basal vein in the upper surface of the wing, denuded lower surface of the wing, short and reduced palps, and parafrontalia with black hairs outside the front row of setae. The main factor that favoured the development of myiasis is due to diabetes, which caused a loss of sensibility in the limb that resulted in late consultation. Moreover, the poor personal hygiene attracted the flies, and the foul-smelling discharge from the wound favoured the female's oviposition. There is a need to implement a program for prevention of myiasis, in which the population is made aware not only of the importance of good personal hygiene and home sanitation but also of the degree of implication of flies in the occurrence and development of this diseas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2 $(PPAR{\gamma}2)$ Pro12Ala (P12A) 유전자 다형성이 한국여성의 체지방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2$ Pro12Ala Polymorphism on Body Fat Distribution in Female Korean Subjects)

  • 김길수;최선미;양현성;윤유식;신승우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1
    • /
    • 2004
  • Objectives: The effect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2\;(PPAR{\gamma}2)$ Pro12Ala (P12A) polymorphism on body mass index (BMI) and type 2 diabetes are well documented; however, until now, only a few studies have evaluated the effects of this polymorphism on body fat distribu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this polymorphism on computed tomography (CT)-measured body fat distribution and other obesity-related parameters in Korean female subjects. Methods & Results: The frequencies of $PPAR{\gamma}2$ genotypes were: PP type, 93.0%; PA type, 6.8%; and AA type, 0.2%. The frequency of the A allele was 0.035. Body weight (P .012), BMI (P .012), and waist-to-hip ratio (WHR) (P .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s with PA/AA compared with subjects with PP. When body composition was analyzed by bioimpedance analysis, lean body mass and body water content were similar between the 2 groups. However, body fat mass (P .003) and body fat percent (P .025)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s with PA/AA compared with subjects with PP. Among overweight subjects with BMI of greater than 25, PA/AA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higher abdominal subcutaneous fat (P .000), abdominal visceral fat (P .031), and subcutaneous upper and lower thigh adipose tissue (P .010 and .013). However, among lean subjects with BMI of less than 25, no significant differences associated with $PPAR{\gamma}2$ genotype were found, suggesting that the fat-accumulating effects of the PA/AA genotype were evident only among overweight subjects, but not among lean subjects. When serum lipid profiles, glucose, and liver function indicators were compared among overweight subjects, no significant difference associated with $PPAR{\gamma}2$ genotype was found. Changes in body weight, BMI, WHR, and body fat mass were measured among overweight subjects who finished a 1-month weight lose program of a hypocaloric diet and exercis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ssociated with $PPAR{\gamma}2$ genotype were found.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PAR{\gamma}2$ PA/AA genotype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subcutaneous and visceral fat areas in overweight Korean female subjects, bu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and outcomes of weight loss programs.

  • PDF

소아 췌장종양의 임상양상 및 치료결과 분석 (Pediatric Pancreatic Tumors-Clinical Experience)

  • 박형우;김대연;조민정;김태훈;김성철;김인구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6권1호
    • /
    • pp.11-17
    • /
    • 2010
  • Pancreatic tumors in children are relatively rare, and their prognosis differs from that in ad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treatment, and prognosis for children with pancreatic tumor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children under 15 years of age with pancreatic tumors who were treated surgically at Asan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1992 and November 2009. There were 16 patients, fourteen of whom were pathologically diagnosed with solid pseudopapillary tumor. The other two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pancreatoblastoma and acinar cell carcinoma, respectively. Six patients of the 16 patients (38 %) were male, and there was a male-to-female ratio of 1:1.6. The initial presentations were upper abdominal pain in eight patients (50 %), palpable abdominal mass in three, and vomiting in one. Four patients were diagnosed incidentally. Six patients' tumors were located in the pancreatic head, six in the pancreatic body, and four in the pancreatic tail, respectively. The surgical procedures performed included distal pancreatectomy (n=7, 44 %), median segmentectomy (n=3), enucleation (n=3), pancreaticoduodenectomy (n=2), and pylorus-preserving pancreaticoduodenectomy (n=1). Three patients underwent laparoscopic surgery. The median tumor size was 6.5 cm (1.8~20 cm). Early surgical complications included pancreatic fistula (n=4), bile leakage (n=1), and delayed gastric emptying (n=1). A late complication in one patient was diabete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five years and four months, and all patients survived without recurrence. While pancreatic tumors in adults have a poor prognosis, pancreatic tumors of childhood are usually curative with complete resection and thus have a favorable prognosis.

  • PDF

북방수염하늘소의 산란부위 및 식이 선호성 (Oviposition and Feeding Preference in Monochamus Saltuarius (Coleoptera: Cerambycidae))

  • 박용철;김종국;조세열;신상철;정영진;원대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4호
    • /
    • pp.414-418
    • /
    • 2007
  • 북방수염하늘소의 산란흔은 잣나무의 산란가지 상부(햇빛을 바로 받는 부위)에서 $3.3{\pm}3.6$개, 하부(지면을 향하는 부위)에서 $16.3{\pm}13.9$개로 하부를 선호하여 산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란흔과 실제 부화 유충 수를 비교 한 결과 실험실 산란목의 산란흔은 $64.7{\pm}23.8$개였고, 유충 수는 $18.8{\pm}10.0$마리였다. 반면, 야외 산란목의 산란흔은 $63.6{\pm}31.1$개 였고, 유충 수는 $2.0{\pm}2.6$마리 였다. 잣나무 내수피와 목질부를 함께 공급한 유충들은 체중이 증가 하며 발육상태가 정상이었으나 목질부만 공급한 유충들의 경우 체중이 감소 하며 발육상태는 불량 하였다. 그러나 목질부만 급여한 유충들에게 잣나무 내수피를 함께 공급한 결과 몸무게와 발육상태가 회복 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지방체를 이용한 Esterase 활성 실험에서는 잣나무 내수피와 목질부를 함께 먹인 유충에서 Est1이 강한 활성을 나타냈다.

굴곡성기관지경으로 진단된 기관지결핵에 대한 고찰 (Flexible Bronchoscopic Observation on Endobronchial Tuberculosis)

  • 최재성;이영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161-166
    • /
    • 1985
  • 기관지결핵은 폐결핵 환자의 상당수에서 관찰되며, 폐침윤이 없는 경우에도 기관지폐쇄로 인한 무기폐, 임파선 종대로 인한 종괴의 형성으로 타폐질환과 감별을 요하게 된다. 저자들은 1983년 5월부터 1985년 7월까지 영남대학병원에서 굴곡성 기관지경을 사용하여 기관지결핵으로 진단하였던 25예를 대상으로 그 임상상을 관찰 조사 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1) 25명의 기관지결핵 환자 모두 항결핵제 투약을 받았으며, 이중 호흡곤란이 심하거나 주 기도내에 광범위한 육아종 병변이 있었던 6명에서는, corticosteroid의 투여로 호전을 보였다. 2) 기관지결핵의 진단에 굴곡성 기관지경을 통한 조식검사나 항산균의 도말 및 배양검사가 필수적이다.

  • PDF

Sternal Healing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Using B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ies: Assessment by Computed Tomography Scan

  • Shin, Yoon Cheol;Kim, Sue Hyun;Kim, Dong Jung;Kim, Dong Jin;Kim, Jun Sung;Lim, Cheong;Park, Kay-H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1호
    • /
    • pp.33-39
    • /
    • 2015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ternal healing over time and the incidence of poor sternal healing in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surgery using b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ies. Methods: This study enrolled 197 patients who underwent isolated CABG using skeletonized bilateral internal thoracic arteries (sBITA) from 2006 through 2009. Post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CT) angiography was performed on all patients at monthly intervals for three to six months after surgery. In 108 patients, an additional CT study was performed 24 to 48 months after surgery. The axial CT images were used to score sternal fusion at the manubrium, the upper sternum, and the lower sternum. These scores were added to evaluate overall healing: a score of 0 to 1 reflected poor healing, a score of 2 to 4 was defined as fair healing, and a score of 5 to 6 indicated complete healing. Medical records were also retrospectively reviewed to identify perioperative variables associated with poor early sternal healing. Results: Three to six months after surgery, the average total score of sternal healing was $2.07{\pm}1.52$ and 68 patients (34.5%) showed poor healing. Poor healing was most frequently found in the manubrium, which was scored as zero in 72.6% of patients. In multivariate analysi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early healing were shorter post-surgery time, older age, diabetes mellitus, and postoperative renal dysfunction. In later CT images, the average sternal healing score improved to $5.88{\pm}0.38$ and complete healing was observed in 98.2% of patients. Conclusion: Complete sternal healing takes more than three months after a median sternotomy for CABG using sBITA. Healing is most delayed in the manubrium.

7T MRI에서 일반적으로 신호 감도가 낮은 영역에 대한 고유전율 패드 개선 (Improvement of High Permittivity Pads for Areas with Generally Low Signal Sensitivity at 7T MRI)

  • 김용태;백현만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761-769
    • /
    • 2022
  • 고유전 재료를 사용한 패드는 임상 MRI 연구에서 RF 펄스의 필드 감도와 균질성을 국부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임상 영상의 적용과 관련된 실질적인 문제를 고려하여 패드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감쇠된 B1 필드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고유전율 패드를 제작하고 7T MRI에서 테스트했다. Sim4Life 시뮬레이션 및 실험 결과는 B1 근거리장에서 더 강하고 상대적으로 균일함을 보여준다. 민감도가 낮은 영역으로 알려진 전체 소뇌의 영상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패드의 기계적 변화를 줄이는 가이드를 만들었다. 또한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패드를 상하로 나누어 디자인하였다. 안면 패드는 비강 내 비갑개와 같은 부위에서 전반적인 신호 증가 효과를 보였다. 전두엽, 눈 등의 영역에서 신호 증가가 예상됐지만 효과가 미미하거나 영상 프로토콜에서 효과를 보기 어려웠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그 효과를 유지하면서 개선된 비강 신호를 갖는 소뇌 최적화 패드를 보여주었다.

응급상황에서 자동인증지원을 위한 빅데이터 처리 및 에지컴퓨팅 기반의 의료정보플랫폼 연구 (A Study on Medical Information Platform Based on Big Data Processing and Edge Computing for Supporting Automatic Authentication in Emergency Situations)

  • 함규성;강민구;주수종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87-95
    • /
    • 2022
  • 최근 스마트기술의 발달로 의료정보플랫폼에서 환자의 생체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측정 및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며, 환자의 응급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의료진은 이동단말기를 이용하여 간단한 인증 이후 환자정보에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의료정보 접근에 있어 환자상황과 이동단말기를 고려한 인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응급상황에서 의료진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의료정보 접근허가를 위해 빅데이터 처리 및 에지컴퓨팅 기반의 자동인증지원 의료정보플랫폼에 대해 연구하였다. 기 연구된 자동인증 시스템은 응급상황에서 사용자인증과 이동단말기인증을 동시에 수행하며, 상위 의료정보 접근권한을 인증된 의료진과 이동단말기에 부여하는 인증 시스템이다. 환자의 고혈압, 당뇨와 같은 환자상태를 고려한 응급상황을 판단하기 위해 빅데이터 처리 및 분석기법을 제안한 플랫폼에 적용하였다. 또한 환자의 빠른 응급상황 판단을 위해 에지컴퓨팅을 의료정보 서버 앞단에 두어 의료정보 서버 대신 에지컴퓨팅에서 응급상황을 판단하도록 하였다. 의료정보 서버는 입력된 환자정보와 축적된 생체데이터를 이용하여 응급상황 판단수치를 도출하고, 에지컴퓨팅에 전달하여 환자 맞춤형 응급상황을 판단하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제안한 의료정보플랫폼은 빅데이터 처리와 에지컴퓨팅을 통해 환자상태를 고려하고 응급상황을 빠르게 판단하였으며, 자동인증을 통해 응급상황에서의 신속한 인증과, 환자상황과 의료진의 역할에 따른 접근권한 부여를 통해 환자정보를 보호하였다.

한 농촌지역에서의 허혈성 심질환 위험인자 분포와 심전도 소견과의 관련성 (Ischemic Heart Disease Risk Factors and Its Relations with EKG Findings in a Rural Adult)

  • 손석준;권순석;임정수;김상용;신민호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4권2호
    • /
    • pp.301-314
    • /
    • 1999
  • 한 농촌지역의 30세이상 성인 1304명을 대상으로 허혈성 심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진 혈압, 혈청 총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공복시 혈당, 비만도를 측정하여 이들 위험요인이 분포를 조사하고 이들 허혈성 심질환의 위험요인들과 심전도상 허혈성 심질환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확정 고혈압 유병률은 남자 41.2%, 여자 41.6%이었으며 연령이 증가하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2. 고지혈증 유병률은 남자 20.6%, 여자 20.4%이었으며 여자에서만 연령이 증가하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3. 체질량지수에 의한 비만은 남자 23.4%, 여자 28.8%이었으며 복부/둔부 비에 의하면 남자는 사지형, 여자는 복부형이 많았다. 4. 고혈당 유병률은 남자 11.0%, 여자 12.1%이었으며 남녀 모두에서 연령이 증가하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5. 흡연율은 남자 63.7%, 여자 2.6%이었다. 6. 심전도 소견상 허혈성 심질환 소견을 보인율은 남자 6.7%, 여자 7.5%이었다. 7. 여자에서 혈압이 증가하면서, 남자에서 체질량지수가 증가하면서 허혈성 심질환 소견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남녀 모두에서 사지형 비만에 비해 복부형 비만에서 고혈당일수록 허혈성 심질환 소견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