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registered in official document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Origin and description study for Rhizoma Dioscoreae Bulbiferae unregistered in official documents

  • Lee, Sang-Chang
    • Journal of Evidence-Based Herbal Medicine
    • /
    • 제2권2호
    • /
    • pp.9-15
    • /
    • 2009
  • In order to build up the infrastructure of the globalization of herbal material, the system of culture, distribution, treatment and sale should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official documents. In this context, the state compendium needs to be theoretically established in perfection 0in order that it may be globally authoritative.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origin and description of the herbal material unregistered in the official documents, as well as to establish the criteria of assessment. The technical books on herbage, published in the country and other countrie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lso, on-the-spot surveys were made to learn specialists' know-how. The description of the collected drug-stuffs Were analyzed in connection with external morphology, internal morphology and microscopy. And the laboratory test was performed to differentiate such drug-stuffs.

  • PDF

Origin and description study for Herba Plantaginis unregistered in official documents

  • Lee, Young-Seob;Choi, Jang-Gi;Kang, Ok-Hwa;Kwon, Dong-Yeul
    • Journal of Evidence-Based Herbal Medicine
    • /
    • 제2권1호
    • /
    • pp.25-31
    • /
    • 2009
  • The origin and description of the Herba Plantaginis was contemporarily analyzed (family names, scientific names, target regions, preparation, etc.) by comparison to enormous literature in addition to the external features written in the existing books o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lso, galenical description were analyzed in connection with external morphology, internal morphology, microscopy and five senses. The official documents and ancient documents of other countries were reviewed. The technical books on herbage, published in the country and other countrie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lso, on-the-spot surveys were made to learn specialists' know-how. The description of the collected drugstuffs were analyzed in connection with external morphology (size, color, etc.), internal morphology and microscop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publicity and education of galenical test agencies; the effective management of foods and drugs; the improvement of public medical service; the publicity of galenical safety.

  • PDF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포천 출토 철조여래좌상에 대한 소고 (An Inquiry into the Iron Seated Buddha Excavated from Pocheon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강건우
    • 미술자료
    • /
    • 제96권
    • /
    • pp.209-223
    • /
    • 2019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철조여래좌상은 한동안 미등록 상태로 박물관 수장고에 보관되어 있었다가 최근 본관9976으로 유물번호가 새롭게 변경되었다. 이 철조여래좌상은 '포천 철불'로 불리는 철조여래좌상(본관9975)과 함께 경기도 포천군 이동면 백운리 흥룡사 일대에서 발견된 불상이다. 필자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박물관 공문서와 유리건판 사진 등을 비교·검토하여 두 구의 철조여래좌상이 동일한 절차를 거쳐 1925년 12월 17일에 조선총독부박물관으로 이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철조여래좌상은 높이가 105cm, 어깨폭은 57cm, 무릎폭은 77cm에 이르고, 편단우견(偏袒右肩)의 착의법에 옷주름은 물결무늬식으로 새겨서 유려하다. 철조여래좌상의 얼굴은 타원형으로 이목구비의 묘사가 잘 남아있다. 양감 있는 볼에 넓게 타원형을 그린 안와, 수직으로 길게 뻗은 눈, 짧은 코와 도툼한 입술은 9세기에 제작된 전라북도 남원 실상사(實相寺) 철조여래좌상, 경북 예천 한천사(寒天寺) 철조여래좌상, 강원도 동해시 삼화사(三和寺) 철조여래좌상 등과 유사하다. 또한 결가부좌한 다리와 편단우견의 착의법, 물결무늬식 옷주름은 8세기 석굴암 본존불을 연상시킬 만큼 조각수법이 우수하다고 생각된다. 철조여래좌상의 존명은 유리건판 사진(원판번호 M442-2, M442-7)을 통해 알 수 있다. 유리건판 사진을 보면 오른쪽 손바닥은 위를 향하고, 왼쪽 손바닥으로 약기(藥器)를 받치고 있다. 지금까지 원주 출토 철조약사좌상(본관1970)만이 철로 만든 유일한 약사불상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이번에 약기를 든 철조약사여래좌상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다. 철조여래좌상은 혜철의 제자 도선(道詵)(827~898)이 밀교신앙의 영향을 받아 사찰을 보호하고 국토를 비보(裨補)하기 위해 9세기경에 조성했을 가능성이 있다. 흥룡사의 전신인 내원사에는 도선이 백운산 등 중요한 세 곳을 택하여 비보사원을 세우고 다시 약사여래삼존상을 조성한 후 사원에 봉안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또한 「선암사중수비」에는 도선이 비보를 위해 도량을 세우고 철불 등을 조성했다고 전한다. 흥룡사가 소재한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에 고려시대에 약사(藥寺)라는 사찰이 창건되었다는 점에서, 이 일대는 약사도량과 관련된 지역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