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19초

복하천 유역의 토양유실량 및 경작지의 상관 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Erosion and Cultivation in the Bockha Stream Watershed Area)

  • 이진영;양동윤;김주용;홍세선;김진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6-65
    • /
    • 2006
  • 복하천 유역에서 홍수에 의한 침수피해가 자주 발생하였으며, 침수된 지역에서는 사면에서 유실된 토양에 의한 피해가 동반되었다. 복하천 유역의 토양유실 피해와 경작지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GIS를 이용하여 유역별 토양유실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GIS상에서 범용토양유실공식(USLE)을 이용하여 토양유실량을 산정하였고, 지형을 토대로 소유역을 구분하고 각 소유역의 단위토양유실량을 산정하였다. USLE에의해 산정된 단위토양유실량은 연평균강우량 1,329 mm/yr를 기준으로 0.03 ton/ha로 나타났다. 단위토양유실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지역은 백사면 상용리일대 소유역(0.05 ton/ha)으로, 유실위험이 높게 나타나는 소유역은 주로 경작지 활용율이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 PDF

초강천의 퇴적물 분석을 이용한 총인 및 질소의 유달 특성 평가 (Evaluation of Phosphorus and Nitrogen Delivery Characteristics of Chogang Stream Sediments)

  • 강선홍;서동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99-109
    • /
    • 1997
  • To estimate the nutrients delivery characteristics of Chogang stream to Keum River, sediment and soi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the stream and in the stream bank. Along the stream, soil samples from river sediment were collected and tested monthly for phosphorus and nitrogen concentrations. Nitrogen concentration in the sediment is much lower than that of soil in the river bank especially in summer presumably due to the high desorption characteristics of nitrogen by the increasing rainfall energy during summer. Instead, the concentrations of phosphorus were similar for the sediment and the soil in the river bank due to the strong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phosphorus. Batch tes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desorption potential of the sediments.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was applied to quantify soil erosion in each watershed due to rainfall. It was estimated that approximately 25% of total phosphorus by mass basis could be released from the sediment if the water was disturbed vigorously. The mass load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to the Chogang Stream from the watershed were evaluated from the USLE and release ratio of phosphorus.

  • PDF

GIS를 이용한 USLE 지형인자(LS) 자동계산 방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 GIS Method for the Automatic Calculation of LS Factor of USLE)

  • 우창호;황국웅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62-177
    • /
    • 1998
  • Conentionally, LS factor for the USLE suggested by Wischmeier has been computed manually on topographic maps based on one dimensional approach. But outcomes of the equation could be severely affected by the convergence and divergence of surface runoff at complex terrains. Thu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are to develop a method to automatically compute LS factor based on the multiple flow algorithm, and to test the accuracy of this method by comparing outcomes of this method to previous measurements or estimations of soil erosion. The program for the automatic calculation of LS factor was developed by utilizing Fox Pro 4.5, and outcomes of the program is designed to input to IDRISI. The accuracy test of LS factor was carried out by comparing the actual measurements of soil loss at two test sites in and around of Suwon. The calculated volume of soil erosion at Buju mountain, Mokpo, was also compared to the outcome of a previous research based on the LS factor calculated by the conventional onedimensional approach.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uted L based on the multiple flow algorithm for concae slopes are greater than those of convex slopes,. Second, the estimated soil loss based on this method at the test site in Mokpo is much greater than the outcomes based on the conventional one-dimensional approach. It can e concluded that the application of this automatic calculation method of LS factor can improve the accuracy of USLE and facilitate soil erosion prevention methods.

  • PDF

토사유실평가를 위한 GIS기반의 전략적 접근 방법 (GIS-based strategic approach for the estimation of soil erosion)

  • 이근상;고덕구;제성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3-41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토양보존 및 관리에 필요한 전략적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탁수발생이 뚜렷이 구분되는 안동호와 임하호 유역을 선정하였으며, 탁수발생 원인인 토사유실을 평가하기 위해 RUSLE 토사유실모델을 이용하였다. 토사유실 가능성이 높은 지역들은 GIS에 의한 지형특성을 기초로 분석되어질 수 있으며, 특히 상하류 유역이나 인간의 활동영역인 하천주변 특성들을 이용하여 검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델링 결과는 토양보존 및 관리를 위해 검토되어지는 토사유실 원인지역을 선정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접근방법은 상대적으로 간편하며, 실질적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 PDF

GIS 및 다시기 RS 자료를 이용한 토양손질량 변화 및 이동경로 추정 (Estimation of Soil Loss Changes and Sediment Transport Path Using GIS and Multi-Temporal RS data)

  • 권형중;박근애;김성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39-152
    • /
    • 2002
  • 본 연구는 토양손실 추정 모형인 RUSLE를 이용하여 안성천의 평택수위관측소 (건교부)를 중심으로한 유역의 토양손실량 및 유실된 토사의 이동경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로 사용되는 지형정보 자료를 RS와 G1S 기법을 이용하여 구축함으로써 RUSLE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과거에 비하여 다양한 토지피복 형태가 변화된 안성천 유역(583.9 km)에 대하여 Landsat MSS 및 TM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토지피복 변화에 대한 GIS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강우자료는 2개의 강우 관측소의 1993년부터 2000년까지의 연평균 강우자료를 surface interpolation을 수행하여 지점강우를 공간강우로서 변환하여 구축하며 토양손실량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1990년에 비하여 2000년의 토양손실변화는 25.3 ㎢ 줄어든 산림지역의 토양손실량은 3751.2 ton/yr 감소한 반면, 22.5 km 늘어난 밭지역의 토양손실량은 5395.4 tou/yr 증가하였다. 따라서, 산림지역은 1.1배의 면적감소에 대하여 1.2배의 토양손실량이 감소된 반면, 밭지역은 1.3배의 면적증가에 대하여 4.4배의 토양손실량의 증가를 보여 밭지역이 토양손실량 변화 에 민감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유역 전체의 토양손실량은 5.4 kg/㎡/yr로 증가하였다.

  • PDF

북한지역의 월강수량과 지역보정계수를 적용한 USLE의 강수인자 R 산출 (Estimation of R-Factor for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with Monthly Precipitation in North Korea)

  • 정영상;정필균;신제성;임정남
    • 한국농림기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림기상학회 2001년도 춘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5-17
    • /
    • 2001
  • 북한 지역은 산이 많아, 농경지의 많은 부분이 경사지에 이루어져 있다. 경사지는 특성상 토양 유실이 일어나기 쉬운 조건에 있다. 북한 지역에서 토양 유실은 농경지 황폐화의 주된 원인이고, 농업 생산성 감퇴의 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경사지 밭에서 강수에 의한 토양 유실이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류, 2000).(중략)

  • PDF

보정계수 적용을 통한 유역에 대한 ArcSATEEC의 월별 토양유실량 추정 방안 연구 (Monthly Sediment Yield Estimation Based on Watershed-scale Application of ArcSATEEC with Correction Factor)

  • 김은석;이한용;양재의;임경재;박윤식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5권3호
    • /
    • pp.52-64
    • /
    • 2020
  •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a model for estimating the potential soil loss, has been used not only in research areas but also in establishing national policies in South Korea. Despite its wide applicability, USLE cannot adequately address the effect of seasonal variances. To overcome this limit, the ArcGIS-based Sediment Assessment Tool for Effective Erosion (ArcSATEEC) has been developed as an alternative model. Although the field-scale (< 100 ㎡) application of this model produced reliable estimation results, it is still challenging to validate accuracy of the model estimation because it only estimates potential soil losses, not the actual sediment yield. Therefore, in this study, a method for estimating actual soil loss based on the ArcSATEEC model was suggested. The model was applied to eight watersheds in South Korea to estimate sediment yields. Correction factor was introduced for each watershed, and the estimated sediment yield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estimated yield by LOAD ESTimator (LOADEST). Sediment yield estimation for all watersheds exhibited reliable results, and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correction factor was confirmed, suggesting the correction factor needs to be considered in estimating actual soil loss.

해외토사유출량 산정공식의 국내적용성 검토(II);MUSLE를 중심으로 (Applicability Examination of the RUSLE Sediment Yield Prediction Equation in Korea)

  • 손광익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209-216
    • /
    • 2001
  • 개발등 인위적 건설활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토사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주로 범용토양손실공식(USLE)을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이 기법은 연평균 토사생산량을 산정하기위한 기법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l본 연구에서는 단일호우에 대한 토사유출향 산정을 목적으로 개발된 수정범용토양손실공식(MUSLE)을 강우자료와 토사유출 실측값이 있는 국내 개발현장에 적용하여 실측치와 계산치를 비교함으로써 그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MUSLE 적용시 필요한 첨두유출량과 총유출량 산정기법 중 국내여건에 적합한 산정기법도 제시하였다. 또한 MUSLE 적용결과와 개정범용토양손실공식(RUSLE)을 이용한 토사유출량 산정 결과와도 비교하였다.

  • PDF

우리나라 강우량 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밭토양의 토양 유실량 변화 예측 (Prediction of Soil Erosion from Agricultural Uplands under Precipitation Change Scenarios)

  • 김민경;허승오;권순익;정구복;손연규;하상건;이덕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89-792
    • /
    • 2010
  • 우리나라의 A1B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르면 21세기 말에는 강우량이 17% 증가하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우리나라 밭토양의 단위면적당 토양 유실량은 2003년 대비 7.6% 증가하고, 총 토양 유실량은 2003년 대비 12.9%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강우량 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토양 침식을 예측에 있어 미래의 작물, 토지이용의 변화 및 지구단위별 지형 변경 등의 인자는 분석에 적용되지 못하였다. 또한, 태풍빈도, 토지피복의 변화 등의 영향은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토양 유실 방지를 위해서는 보다 면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앞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적용 인자들을 확대하고, 향후 개선된 연구자료와 방법론으로 보완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비점오염원 관리정책과 연계하여 농업환경 영향평가, 예측 및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홍천군 산지농업지대의 토양침식취약성 분석 (Analysis of Soil Erosion Vulnerability at Alpine Agricultural Fields of HongCheon County)

  • 김기성;허성구;정영상;김지만;임경재
    • 농촌계획
    • /
    • 제11권2호
    • /
    • pp.51-57
    • /
    • 2005
  • It has been well known that soil erosion and sediments from alpine agricultural fields are causing severe water quality and turbidity problems in receiving waters. Also these result in the loss of money because farmers have to buy top soils to provide enough root zone in the following year. Thus, there have been needs to reduce soil erosion and sediment discharge into the stream networks. To accomplish this end, an effective erosion control plan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scientific research, not by rule of thumb.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has been widely used to estimate the soil erosion in many countries over the years. In this study, the USLE was used to estimate soil erosion potential under different cropping scenarios in HongCheon County, Kangwon. The soil erosion potential for continuous corn cropping was the highest compared with those from continuous potato find average cropping scenarios. This indicates the soil erosion plans need to be established considering cropping system in the field. The Unit Stream Power Erosion-Deposition (USPED) was applied for HongCheon County to estimate soil erosion and deposition areas. The USPED estimated results can be used to complement USLE results in developing effective erosion control pl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