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on catalog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5초

대학도서관의 석. 박사학위논문 관리체제 (Management system of thesis in university library)

  • 손문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4권
    • /
    • pp.71-98
    • /
    • 1987
  • After 1970s, because of an increasing peoples for higher education and graduate school-oriented education system, quantities of thesis were produced for short term and they began to be an important part of gift materials in university libraries. As an unpublished documents, thesis is narrow in subject, deep in content, irregular is page, incomplete in binding and produce limited-edition during short time simultaneously at most institutions. So most libraries are in difficulties for acquisition processing and circulation. Because of an increasing number of thesis will be produce and cutback of budget, shortage of staff, library service for user will be difficult and rational and efficient management is absolutely essential to library. In form and content, thesis is in distinction with other library materials, they must be handler as an independent item and library will seek an a n.0, ppropriate processing and using method of them. Analysis and synthesi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acquisition of thesis, it is desirable that they has an independent accession book with a simplified processing procedure and the binding of them is desirable together with subject field(major or department) by institutions. 2. In classification and cataloging of thesis, it is rational that library use the same classification scheme as other materials and expand in details. Simplified catalog will be reduce the time and/or personnel problem than using the traditional KCR or AACR. 3. As an retrieval tool, author, title, shelf and subject catalog must be prepared in thesis room. Index of thesis will be available for retrieval with the trend of union list and Korean periodicals index (National Assembly Library, Republic of Korea) must include the thesis. 4. Because of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sis, library has to equip an independent room and open stack for the a n.0, ppropriate retrieval and frequent use. Qualified librarian must serve for the efficient circulation service.

  • PDF

소셜 컴퓨팅을 위한 연구·학습 주제의 계층적 지식기반 구축 (Building Hierarchical Knowledge Base of Research Interests and Learning Topics for Social Computing Support)

  • 김선호;김강회;여운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489-498
    • /
    • 2012
  • 본 논문은 연구 학습 주제 지식베이스를 통한 소셜컴퓨팅 지원에 관한 연구로 두 가지 하부 연구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연구는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전자 도서관 이용자들의 연구 및 학습 주제를 추출하기 위해 분야별로 분류가 잘 되어 있는 NDLTD Union catalog의 석박사 학위 논문 (Electronic Theses and Dissertations : ETDs)을 분석하여 계층적 지식베이스를 구축하는 연구이다. 석박사 학위 논문 이외에 ACM Transactions 저널의 논문과 컴퓨터 분야 국제 학술대회 웹사이트도 추가로 분석하였는데 이는 컴퓨팅 분야의 보다 세분화된 지식베이스를 얻기 위해서이다. 계층적 지식베이스는 개인화 서비스, 추천시스템, 텍스트 마이닝, 기술기회탐색, 정보 가시화 등의 정보서비스와 소셜컴퓨팅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의 두 번째 연구 부분에서는 우리가 만든 계층적 지식기반을 활용하여 4개의 사용자 커뮤니티 마이닝 알고리즘 중에서 우리가 수행중인 소셜 컴퓨팅 연구, 즉 구성원간의 결합도에 기반한 추천시스템에 최상의 성능을 보이는 그룹핑 알고리즘을 찾는 성능 평가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해서 우리가 제안하는 연구 학습 주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방법이 기존에 사용자 커뮤니티 마이닝을 위해 사용되던 비용이 많이 필요하고, 느리며, 개인정보 침해의 위험이 있는 인터뷰나 설문에 기반한 방법을 자동화되고, 비용이 적게 들고, 빠르고, 개인정보 침해 위험이 없으며, 반복 수행시에도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는 방법으로 대체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대학도서관 상호대차 장서 프로파일 분석 연구 (An Analysis on Collection Profiles of Western Monographs with ILL Data for Academic Libraries)

  • 최원실;정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09-129
    • /
    • 2019
  • 대학의 재정 악화는 대학도서관 예산 삭감으로 이어지고, 특히 자료구입비 예산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대학도서관 자원공유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호대차 데이터를 분석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흐름과 같이 국내 4년제 대학도서관 상호대차 장서 프로파일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17년까지 KERIS 종합목록의 서지와 상호대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호대차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2011년에는 대규모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서양서 상호대차의 제공이 이루어졌으나, 2014년 이후 점차적으로 고유장서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상호대차 네트워크 내 주요 권역의 범위가 확대되고, 권역 내 영향력이 증가하는 기관이 다수 출현하였다. 둘째, 2012년에는 서양서 소장 종수가 많고, 공통장서의 비율이 높을수록 상호대차 네트워크 내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으나, 2016년에는 이러한 경향과 더불어 고유장서의 비중이 높을수록 제공 측면에서 영향력이 증가하였다. 셋째, 서양서 소장과 상호대차 지수에 의한 계층적 군집 분석에 따른 6개 군집의 대학도서관이 규명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대학도서관 자원공유를 위한 정책 수립에 있어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의학학술지종합정보시스템(MEDLIS)의 원문제공서비스 이용 분석과 평가 (Use Analysis and Evaluation of MEDLIS(MEDical Library Information System) Document Delivery Service)

  • 장혜란;김정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33-250
    • /
    • 2012
  • MEDLIS 원문제공 서비스의 발전과 현황 그리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축적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용량의 지속적 감소, 기관유형별 불균형한 기여도, 기간호에 대한 높은 의존성, 주제별 이용격차, 비교적 낮은 성공률, 다양한 실패요인이 식별되었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서비스 품질향상을 위한 종합목록데이터베이스의 유지 관리, 효과적 검색을 위한 기술적 지원, 기간호 공동보존 대책, 그리고 이용활성화를 위한 교육과 홍보 및 회원 확대 등을 제언하였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의 발전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RISS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 이성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03-129
    • /
    • 2006
  • 국가정보유통기관의 궁극적인 목적은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환경 속에서 이용자에게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국가 정보유통기관의 효율적인 정보서비스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에서는 검토대상으로 선정한 RISS의 현황을 살펴보고 해외선진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국가 정보유통기관의 정보서비스 발전 추이를 검토하고 RISS의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는 국가 정보유통 기관의 신규 정보서비스 계획 수립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KISTI 학술지 종합 목록의 서명.단체명 전거 파일 구축 연구 (A Study on the KISTI Authority File for Titles and Corporate Names)

  • 고형곤
    • 정보관리연구
    • /
    • 제32권3_4호
    • /
    • pp.73-95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KISTI 학술지 종합목록을 위한 서명 단체명의 전거 파일 구축의 단계를 소개하고, 보다 양질의 표준화된 전거 레코드의 작성에 필요한 기준과 지침의 작성에 필요한 전거 통제의 이론적 및 실무적 현황을 서술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1) NACO의 활동 및 전거 레코드 작성의 절차와 표준, (2) OCLC의 전거 파일의 구조와 검색 방법, (3) KISTI 전거파일의 구축 및 전거 레코드 작성을 위하여 필요한 구체적인 작업의 조건과 절차 (4) MARC21과 KORMARC의 전거 레코드 포맷의 비교 등을 살펴보았다. KISTI 뿐만이 아니라 많은 도서관들이 공유할 수 있는 전거 파일의 구축, 전거 통제의 품질관리를 위한 표준과 지침 마련의 필요성 등이 지적되었다.

  • PDF

KOLIS-NET의 패싯 네비게이션 활용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Use of Faceted Navigation of KOLIS-NET)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09-132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립중앙도서관 KOLIS-NET의 단순 키워드 검색창과 패싯 네비게이션의 기능을 검토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KOLIS-NET에서 '김훈'의 검색 결과 3,702건 중 '발행시기' 패싯의 '2011-2020 (776)' 레코드 그룹을 살펴보았다. 주요한 발견은 다음과 같다: (1) '자료유형', '발행시기', '주제별', '언어' 및 '발행국'의 5개 패싯은 검색 결과 첫 단계만 적용 및 복수 패싯의 교차 미적용; (2) 10년 단위 '발행시기' 패싯에서 개별 발행연도 미식별; (3) KDC의 10개 주류 및 '기타'로 구분된 '주제별' 패싯은 하위 패싯이 없어 주제 구체화 곤란; (4) '자료유형' 패싯의 '일반도서'에서 큰 활자 도서 등 특수 자료유형의 집합과 식별 곤란; (5) 저자 패싯 부재로 저자명으로 집합 및 식별 곤란; (6) '발행시기' 패싯의 '발행년불명', '언어' 패싯의 '언어불명' 및 '주제명' 패싯의 '기타' 그룹은 디스플레이 미작동, 서지 리스트와 개별 레코드 간 이동 불편 등 시스템 기능적 제한점. 이에 따라 원활한 패싯 네비게이션 위한 패싯 간 이동 개선, '발행시기' 패싯의 1년 단위 하위 패싯 및 '주제별' 패싯의 강목류 수준 하위 패싯 구성, 서지 레코드 작성 시 '자료유형표시'의 정확한 입력과 코딩 활용 및 OPAC 디스플레이 조정, 이름표목에 기반한 저자 패싯 추가 등 KOLIS-NET 시스템 기능성 및 레코드의 품질 개선을 제안하였다.

북마크릿을 활용한 LibraryLookup 서비스 제공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braryLookup Services Using Bookmarklets)

  • 구중억;이응봉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9-68
    • /
    • 2006
  • 도서관 이용자에게 장애가 없는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OPAC의 접근성, 사용성 및 검색성을 향상시키고, 도서의 검색, 식별 및 브라우징의 도구로써 ISBN의 활용가치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북마크릿은 웹브라우저의 '즐겨찾기에 추가' 또는 '툴바'에 드래그하여 저장할 수 있는 작은 크기의 자바스크립트이다. 그리고 오픈소스인 북마크릿은 웹페이지에서 ISBN을 추출한 다음, 해당 ISBN으로 도서관의 OPAC에서 도서를 검색할 수 있는 간단하지만 강력한 검색도구이다. 해외의 도서관 시스템 벤더, 도서관, OCLC등은 이용자가 온라인서점의 웹페이지를 살펴보면서 동시에 도서관의 소장 및 대출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는 북마크릿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네 가지 유형의 북마크릿에 대한 적용사례 분석을 통해 북마크릿의 특징과 장 단점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서 북마크릿의 기본요건과 적용모델을 도출하고, 국내 도서관의 OPAC과 온라인서점에서 북마크릿을 활용한 Library Lookup 서비스 제공방안을 제안하였다.

검색포털과 대학도서관 소장목록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ethod for Linking Portal Sites and OPAC of University Libraries)

  • 조재인;이지원
    • 정보관리연구
    • /
    • 제37권2호
    • /
    • pp.75-92
    • /
    • 2006
  • 인터넷 항해의 관문으로 검색포털의 의존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학술연구정보 시장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공공지식정보의 대국민 접점으로 민간검색포털을 이용하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많은 지식정보 생산 유통기관이 검색포털과 개방적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도서관 서비스의 검색포털 연계 서비스도 긍정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가 있으며, 특히 아직까지 대학의 사적 시설로 인식되고 있는 대학도서관 서비스의 연계방안을 모색하여, 지역사회와 연계된 공공시설로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관점에서 검색포털과 대학도서관 소장목록의 연계방안을 모색한다. 이미 활성화되어 있는 해외 사례와 국내 검색포털 서비스의 현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국내 상황에 적합한 검색포털과 대학 도서관 소장목록의 연계방안을 마련한다.

사회과학 분야 도서의 목차 텍스트에 대한 통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for Table of Contents Text of the Books in Social Sciences Field)

  • 이용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55-273
    • /
    • 2019
  • 이 연구는 최근 접근 및 활용이 높아지고 있는 목차에 대해 품사 측면과 주제 측면에서 가지는 기술통계와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 도서관의 수서 목록에서 사회과학분야 도서를 추출하고 해당하는 도서에 대해 종합목록으로부터 DDC 분류기호를, 인터넷 서점으로부터 목차 정보를 추출하였다. 서명과 목차를 대상으로 형태소 분석하여 명사 중심의 어휘에 대해 기술통계와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형태소 측면에서 서명과 목차는 명사가 대략 절반가량 차지하며, 서명과 비교하여 목차는 50배 정도 더 많은 명사를 가지며, 목차에 출현한 명사 중에 목차만이 고유하게 가지는 비율이 95.2%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목차는 사회과학 학문분야에 따라 길이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