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nhabited island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18초

고성 및 통영 일대 무인도서의 생태보전권역 설정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of Ecological Preservation Zone on Uninhabited Island in Goseong-gun and Tongyeong-si, Korea)

  • 김장수;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71-83
    • /
    • 2013
  • 이 연구는 무인도서의 생태보존권역 설정을 위하여 지형경관을 평가하고 등급화 하였다. 이를 위해 고성군 및 통영시 지역에 산재한 14개 무인도서를 현지조사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지역의 무인도서는 절대보전지역(I), 보존지역(II), 준보존지역(III), 이용가능지역(IV)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절대보전지역(I)으로 평가된 도서는 안장섬(마안도), 밤섬, 샛개끝, 대섬(죽도), 딴독섬 등 5개이며, 보존지역(II)으로 평가된 무인도서는 만아섬, 육섬, 나비섬, 소치섬, 용두도, 대호도, 잠도, 화도 등 8개이며, 준보존지역(III)으로 평가된 무인도서는 괴암섬 1개 이며, 이용가능지역(IV)으로 평가된 무인도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절대 보존지역 및 보존지역으로 선정된 도서는 지형경관 자원이 우수해 훌륭한 자연학습장 또는 야외연구실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인도서의 정의와 분류에 관한 소고 - 태안해안국립공원을 사례로 - (Suggestion for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Uninhabited Islands : A Case of Taeanhaean National Park)

  • 서종철;신영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42-354
    • /
    • 2015
  • 태안해안국립공원에 포함된 무인도서를 대상으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무인도서 관련 용어의 정의를 제시하고 유형을 분류하였다. 무인도서를 규정하는 만조의 기준을 약최고고조위로 구체화하였고 만조 시에 잠기는 개체는 여로 구분하였다. 무인도서는 지리적 생태적 가치와 중요성을 고려하여 목본 식생의 정착 여부에 따라 무인도와 돌섬으로 구분하였다. 여는 약최저저조위를 기준으로 수중여와 간출여로 구분하였다. 만조 시에도 바다로 둘러싸이지 않는 경우는 무인도서에서 배제하였고, 간조 시에 지형적 생태적으로 연결되는 여러 개의 개체는 하나의 무인도서로 간주하였다. 이러한 기준을 활용하여 태안해안국립공원의 무인도서를 24개의 무인도와 14개의 돌섬, 12개의 여로 재분류하여 총 50개로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기준을 전국의 무인도서에 확대해 적용한다면 무인도서를 관리하는 공공기관에서 도서분류의 국가표준을 마련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 PDF

Species richness related to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uninhabited islands in Korea

  • Rho, Paik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2호
    • /
    • pp.105-114
    • /
    • 2010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relationships between geographical conditions (e.g., island area, distance to mainland) and landscape structures of uninhabited islands,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islands and their landscape structures on species richness. One hundred randomly selected islands and 5,000 m buffered areas derived from the boundaries of each island were used to summarize the number of observed bird species, and landscape pattern indices, particularly patch density, edge density, shape index, and mean nearest neighboring distance. Spatial arrangements of individual patch type at the class level, which are markedly affected by the distance from an island to the mainland, have a superior ability to explain the variances in species richness, as compared to the geographical conditions and landscape pattern indices at the landscape level.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atch type landscape structure is the primary factor affecting species richness, as well as the distance to the mainland. In particular, landscape pattern indices of cropland/pasture and woody cover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explaining species richness, which suggests that food resources and appropriate conditions in landscape structures of habitat types are assumed as important elements in attracting bird species. This study also proposes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on the landscape structure of each island, in order to designate protected areas and to establish a management plan for species conservation in uninhabited islands.

우리나라 무인도서의 귀화식물 분포에 대한 섬생물지리적 연구 (Island Biogeographic Study on Distribution Pattern of the Naturalized Plant Species on the Uninhabited Islands in Korea)

  • 정재민;홍경낙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6호
    • /
    • pp.489-494
    • /
    • 2006
  • 우리나라 남 서해안에 분포하는 261개의 무인도서에 대해, 생태계 보전과 귀화식물종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섬생물 지리학적 방법론에 의한 귀화식물종의 분포와 확산 pattern 및 섬의 지리적 환경과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사된 261개 도서 중 귀화식물 종은 229(87.7%)개 도서에서 총 106종이 관찰되었다. 도서 당 귀화식물 종수는 평균 4.6 $\pm$ 4.07)이었으며, 서해그룹보다 남해그룹에 속한 도서에서 많았다. 귀화식물 종당 관찰된 무인도서 수는 평균 12.9 $\pm$ 25.92)개였고, 100개 이상의 도서에서 관찰된 종은 귀화도(5등급)가 높은 소리쟁이(R. crispus L.; 153개)와 개망초(E. annuus Pers.; 130개), 망초(C. canadensis (L.) Cronquist; 121개)의 3종이었다. 106개 귀화식물 종의 출현 빈도에는 도서 면적과 육지와의 최단거리, 인간간섭 강도 및 위 경도 등이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면적(r=0.182)보다는 최단거리(r=-0.330)와의 상관성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분석 결과 귀화식물 종수는 도서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육지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종수가 증가하였으나, 인간 간섭 효과는 매우 낮았다. 회귀 분석 결과, 106종의 귀화식물 종의 분포는 육지와의 최단거리가 10.9%의 설명력으로 제일 높았으며, 면적을 추가했을 경우에는 회귀 직선으로 귀화종수 변화의 21.8 %까지 설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무인도서에서 귀화식물의 관리와 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인도서 선갑도의 에머지 환경수용력 평가 (Emergy Carrying Capacity of Sungap-do, An Uninhabited Island in Korea)

  • 강대석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0-67
    • /
    • 2010
  • 무인도서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이용 개발계획을 수립할 때 무인도서 생태계의 높은 가치를 충분히 고려하고, 이용 개발 행위가 이루어지기 전에 환경수용력을 먼저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에머지 개념과 방법론을 이용하여 무인도서인 인천광역시 옹진군 소재 선갑도의 생태계 가치와 환경수용력을 평가하였다. 선갑도의 에머지 평가경계는 육지부뿐만 아니라 '무인도서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무인도서 관리범위를 따라 만조수위선으로부터 1 km이내의 해역까지 포함하였다. 선갑도 생태계로 유입하는 재생가능 에머지량은 $1.04{\times}10^{20}$ sej/yr로, 해면부의 조석 에머지가 가장 중요하였다. 선갑도의 가치는 연간 299억 Em₩으로 높게 나타났다. 선갑도 육지부와 해면부의 에머지 기여도를 모두 포함하여 환경수용력을 계산한 결과, 우리나라 평균 수준개발 시나리오의 경우 6,586명, 장기적 지속가능성 시나리오의 경우 2,337명이었다. 그러나 선갑도 육지부가 공급하는 에머지만 고려할 경우 환경수용력은 우리나라 평균수준 개발을 가정할 경우 14명, 장기적 지속가능성을 고려할 경우 5명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선갑도를 포함한 무인도서의 생태계 가치를 유지하고 무인도서 이용의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이용 개발계획 수립단계에서부터 환경수용력을 고려하도록 제도화 할 필요가 있다.

신안군 임자면 일대 무인도서의 나비 종 다양성 양상 및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attern and Ecological Variables of Butterfly Species Diversity on 19 Uninhabited Islands around Imja-myeon, Shinan-gun, Jeonnam, Korea)

  • 안정섭;최세웅
    • 환경생물
    • /
    • 제30권3호
    • /
    • pp.185-192
    • /
    • 2012
  • 다도해지역인 신안군 임자면 임자도 일대 19개 무인도서에서 나비를 조사하여 총 5과 11속 14종을 확인하였다. 호랑나비과 (Papilionidae) 나비가 5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부전나비과 (Lycaenidae)가 4종, 흰나비과 (Pieridae), 네발나비과 (Nymphalidae)는 2종, 팔랑나비과 (Hesperiidae)는 1종이 나타났다. 본 조사의 우점종은 남방부전나비 (Pseudozizeeria maha), 푸른부전나비 (Celastrina argiolus), 먹부전나비 (Tongeia fischeri), 호랑나비 (Papilio xuthus), 청띠제비나비 (Graphium sarpedon)이며, 이들 중 청띠제비나비는 서남해안 일부지역에서만 서식하여 한반도 내에서 서식 분포가 매우 좁은 종이다. 나비의 분포는 섬의 면적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 공급원과의 거리나 최고 고도와 유의한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환경변화에 따른 종의 확산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생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The Study on Medicinal Flora of Several Uninhabited Islands in Jindo-gun, Chonnam province

  • Yang, Hyo-Sik;Kim, Jong-Wook;Oh, Man-Ho
    • Plant Resources
    • /
    • 제6권1호
    • /
    • pp.36-52
    • /
    • 2003
  • The medicinal plants in 22 unhabited islands of Jindo-gun, Chonnam provincde were investigated from March 2000 to October 2002. The medicinal plants in 22 uninhabited islands of Jindo-gun were consisted 366 taxa; 95 families, 269 genus, 309 species, 52 varieties, 3 forma, and 2 subspecies. Important medicinal plants on survey area were Lemmaphyllum microphyllum, Dendropanax morbifera, Ficus erecta, Farfugium japonicum, Machilus thunbergii, Juniperus chinensis var. procumbens, Dendrobium moniliforme, Pyrrhosia tricuspis, Cinnamomum japonicum, Pittosporum tobira, Kadsura japonica, and Daphniphyllum macropodum, This result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data for medicinal research and the conservation of uninhabited islands.

  • PDF

남해무인도서 백도와 서귀포 인근 섶섬에서 맹독성 저서와편모조류 Gambierdiscus spp.의 출현 (Occurrence of the Toxic Benthic Dinoflagellate Gambierdiscus spp. in the Uninhabited Baekdo Islands off Southern Coast and Seopsom Island in the Vicinity of Seogwipo, Jeju Province, Korea)

  • 백승호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1호
    • /
    • pp.65-71
    • /
    • 2012
  • Gambierdiscus toxicus, Adachi et. Fukuyo, is a benthic ciguatoxin-producing armored dinoflagellate, often attached to macroalgae. This organism is the primary causative agent of ciguatera fish poisoning which occurs in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However, regardless of the fact that the population of Gambierdiscus spp. has expanded to such temperate areas from sub-trophic and trophic areas, monitoring of G. toxicus has been lacking in the Korean coastal waters of temperate areas. This study was performed at the uninhabited Baekdo Islands of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at Seopsom Island in the vicinity of Seogwipo, Jeju Province during April and May, 2011. Cell densities of Gambierdiscus spp. on macroalgae at Baekdo and Jeju Island ranged from zero to 56.4 cells $g^{-1}$. Maximum density was recorded on the brown alga Cladophora japonica at St. 3 of Jeju Island. In particular, the cell densities of Gambierdiscus spp. were influenced by the substrate characteristics of macroalgae. In the future, the continuous monitoring of toxic benthic dinoflagellate is necessary to predict and prevent ciguatera poisoning in Korean coastal waters.

부산광역시 해안 무인도서의 보전(保全)과 활용 (Preservation and Utilitization of Uninhabited Isle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 김항묵;유제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475-486
    • /
    • 2009
  • 목도의 지질조사가 한국 역사상 이번에 처음으로 수행되었다. 목도가 중생대 말기 약$7,000{\sim}8,000$만년 전에 성층화산으로 분출하여 화산원형이 개석됨으로서 현재는 Planeze 단계를 지나 골격단계에 이른 것으로 밝혀졌다. 추후에 정밀조사를 한다면 분화구 자리도 찾아질 수 있을 것이다. 목도에는 50m고도에 해성단구면이 있다. 이는 제4단구면에 대비되고 홍적세 후기에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목도의 해안에 발달한 해안의 미지형으로는 해안단구, 해식애, 해식동, 파식대, 해안석주, 낭식장, 타포니(풍화혈) 등이 발견되었다. 목도는 산경도(山徑圖)에 표시되어 있는 낙동정맥의 남방 연장선 위 몰운대 앞바다에 위치하며 "물에 뜬 거북이"형국(부해금귀형(浮海金龜形)) 혹은 "물에서 나오고 있는 거북이"형국(출수금귀형(出水金龜形))이다. 목도의 도서명은 그 정체성을 위하여 "유구도"(游龜島) "남구도"(南龜島) "회구도"(廻龜島)중에서 선택하여 개칭할 필요가 있다. 목도는 부산의 관광수요를 위한 새로운 관광명소로 발전, 개발되는데 필요한 관광자연배경을 충분히 가지고 있으며, 앞으로 이 무인도서가 분산의 등대섬, 그리고 유,무인도서라 연계하여 해양관광을 개발한다면 새로운 관광지로서 행양수도발전에 지대한 영향력을 가질 수 있다고 평가되었다. 목도의 주변해역에 해양수족관과 해초정원을 조성하고 수목원을 조성하며 기타 해양문화공간조성의 종합기본계획이 이 연구에서 완성되었다.

  • PDF

전라남도 남해안 도서식물상의 도서생물 지리학적 특성 (Island-Bio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Insular Flora in Southern Sea of Jeollanamdo, Korea)

  • 김현희;김다빈;원현규;김찬수;공우석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3-155
    • /
    • 2016
  • Present work aims to establish the countermeasure for the better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of insular floristic diversity at the South Sea of Jeollanamdo Province, ROK, where unique ecosystems are under threat due to climate change, anthropogenic disturbance and habitat destruction. Numerous flora reports from 15 inhabited islands and 60 uninhabited islands as well as field survey data are collated for the compilation of floristic data base and island biogeographical analysis. Out of the 1,940 vascular plant species from 180 families occurring in studies areas, 30.1 percentage or 584 plant species are physiognomically belonging to arboreal plants. Average number of species at individual island is numbered about 222 species, but it varies from about 591 species at the inhabited islands to 129 species at the uninhabited islands. Only 0.15 percentage of species with high proportion above 0.9 in its relative occurrence rate occurs at 68 islands and it includes three species, such as Pinus thunbergii, Eurya japonica and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However, about 68 percentage of plant species occurring in study area is confined their distribution to less than seven islands. Presence of high proportion of notable plants in small islands, i.e., 10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compared with 5.5 species in average, 9 endangered species (average 4.2 spp.) at Sonjookdo, and 7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8 endangered species at Sokomundo may due to existence of diverse geological and topographical environmental diversity as well as lower human population density and remoteness from the mainland. Since island is small in size and geographically isolated, minor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burdens can cause the critical damages to the diversity of flora and vegetation, urgent island biogeographical research is needed for the scientific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island biod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