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lateral molar expansion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구치 편측확장을 위한 Precision Lingual Arch 적용시 응력분포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연구 (AN ANALYSIS OF STRESS DISTRIBUTION IN THE CASE OF UNILATERAL MOLAR EXPANSION WITH PRECISION LINGUAL ARCH BY FINITE ELEMENT METHOD)

  • 구본찬;손병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721-733
    • /
    • 1994
  • Orthodontic tooth move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stress on the periodontal tissue. In this research the finite element method was used to observe the stress distribution and to find the best condition for effective tooth movement in the case of unilateral molar expansion. The author constructed the model of lower dental arch of average Korean adult and used $.032'\times.032'\times60mm$ TMA wire. The wire was deflect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to give the 16 condition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When the moment and force were controlled properly the movement of anchor tooth was minimized and the movement of moving tooth was maximized. 2. As the initial horizontal deflection increased the buccal displacement of both teeth was also increased. As the initial horizontal deflection increased the lingual movement of anchor tooth and the buccal movement of moving tooth increased. 3. When the initial horizontal and vertical deflection rate was 1.5 the effective movement of moving tooth was observed with minimal displacement of anchor tooth.

  • PDF

TRANSPALATAL LINGUAL ARCH에 의한 골내 응력 분포에 관한 광탄성적 연구 (A PHOTOELASTIC STUDY OF THE STRESS DISTRIBUTION IN BONE BY THE TRANSPALATAL LINGUAL ARCH)

  • 고기영;태기출;국윤아;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11-721
    • /
    • 1997
  • 본 연구는 TMA wire로 제작된 transpalatal lingual arch에 의한 골내 응력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양측성 및 편측성 확장을 가하여 이때 발생하는 치아주위조직 응력 분포 양상을 광탄성 응력 해석법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측성 확장시 수평 변형만 적용했을 때 탄선끝이 각진 경우 둥근 탄선끝을 적용한 경우보다 응력이 치근단으로 집중되며 회전 중심을 의미하는 흑색선이 변화하는 양태를 보였고 수직변형량이 증가되면서 전체적인 응력차수의 증가와 흑색선의 하방 이동 양상을 보였다. 2. 편측성 확장을 위해 수평 변형과 함께 확장측에만 수직 변형을 적용하였을 때 확장력이 확장측으로 편중되는 응력 분포를 관찰할수 있었다. 수직 변형량의 증가시 확장측 구치는 정출하는 응력을 보였고 수평변형량의 증가시 고정측 치아도 경사지려는 응력 분포가 관찰되었다. 3. 편측 구치의 회전을 개선하기 위해 철사끝을 비대칭적으로 toe-in한 경우 변형량이 적은 구치의 치근단 원심측에 응력 분포를 관찰할수 있었다. 4. 악궁 확장시 철사의 길이를 줄일수록 무늬차수가 증가하는 응력 분포를 보였다.

  • PDF

부산대학교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구순구개열 환자들에 대한 역학조사 (An epidemiologic study on the cleft lip and/or palate patients who visited Dept. of Orthodontics,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손우성;백재호;이원철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3-58
    • /
    • 2002
  • A General survey on the cleft lip and/or palate patients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as done.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 1. In gender ratio, male was higher than female. 2. In the cleft type,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cleft lip and alveolus, and b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in higher ratio order. Left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was higher than right in ratio. 3. In first hospital visiting age for dental treatment, the group from 6 years old to 12 years old was most and in that the age group for attending elementary school (about 7-8 years old) showed especially higher ratio. The large majority of patient were born in 1980's and lived in Pusan metropolitan city, KyungSangNamDo. Especially, most of them lived in the neighboring Held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4. Class III skeletal pattern and Angle's Class III molar relationship was most prevalent. Angle's Class II molar relationship showed relative higher ratio because tooth loss and malposition. 5. Primary lip closure in 3 months, secondary lip closure in 6-7 years old, palatal closure in 12-16 months and bone graft in 8-10 years old were operated mostly. Rhinoplasty and scar revision were operated in too early age so the need of infantile orthopedics must be considered. 6. Maxillary expansion and protraction were operated mostly in 8-11 years old but operating in primary dentition must be considered. 7. Tooth alignment were started mostly in mixed dentition and consideration about prosthodontic treatment and retention will be need. 8. In tooth anomaly, tooth malformation and missing were most prevalent.

  • PDF

비대칭 헤드기어의 적용시 상악제 1 대구치에 나타나는힘과 변위 및 초기 응력분포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A THREE-DIMENSIONAL FEM COMPARISON STUDY ABOUT THE FORCE, DISPLACEMENT AND INITIAL STRESS DISTRIBUTION ON THE MAXILLARY FIRST MOLARS BY THE APPLICATION OF VAR10US ASYMMETRIC HEAD-GEAR)

  • 김종수;차경석;주진원;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5-38
    • /
    • 2001
  • 편측성 II급 부정 교합 환자를 만나는 것은 임상에서는 흔한 일이지만, 치료 방법은 제한적 인 것이 사실이다. 그 중에서도 asymmetric head-gear는 그 사용의 횟수에 비해 정확하고 완전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며,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장치의 디자인에 대한 정보 역시 아직도 논란이 많고, 그 동안의 연구들도 확실한 해답을 주지는 못하고 있다. 더욱이 asymmetric iace-bow를 유한요소법을 통해 해석한 것은 그 예를 찾아볼 수 없었기에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발치나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정상교합자를 대상으로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편측성 II급 부정교합의 상악 치열궁을 모델링하고, RMO사의 Face-Bow($Penta-Form^{TM}$/Medium size)를 기본 모델로 오른쪽의 outer-bow가 15mm, 25mm, 35mm씩 짧은, 세 개의 asymmetric face-bow를 모델링한 후, 편측성 II급 부정교합 상악 치열궁 모델의 좌,우측 상악 제 1대구치에 세 종류의 asymmetric face-bow를 적용, 편측당 0.3kgf의 힘으로 견인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양쪽 제 1 대구치가 받는 힘의 총합은 세 경우 모두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근심위치된 치아가 받는 힘의 크기는 증가하였고, 정상 위치된 치아가 받는 힘의 크기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2. 양쪽 제 1 대구치가 받는 측방력은, 정상 위치된 치아에서는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협측으로의 힘이 커졌고, 근심 위치된 치아에서는 협측으로의 힘이 작아지는 경향을 보여,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전체적인 측방력이 정상 위치된 치아의 협측으로 이동되는 경향을 보이긴 했지만, 양쪽 제 1 대구치 모두 협측으로 힘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Archial Expansion Effect"를 보였다. 3. 양쪽 제 1 대구치가 받는 원심력과 정출력, 그리고 distal tipping의 양은, 정상 위치된 치아에서는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감소하였고, 근심 위치된 치아에서는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 양쪽 제 1 대구치의 rotation은, 정상 위치된 치아에서는 distal-in의 rotation을 보였으며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그 양이 증가하였고, 근심 위치된 치아에서는 두 가지의 결과를 나타냈는데, outer-bow가 15mm 짧은 경우에는 distal-in의 rotation을 보였으나, 25mm와 35mm 짧은 경우에는 distal-out의 rotation을 보여 15mm와 25mm 사이에 변환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치근 분지부 직하방에서 치근막의 초기 응력분포를 관찰한 결과, 정상 위치된 치아의 원심협측 치근에서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압축응력이 구개측에서 원심측으로, 그리고 협측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6. 치근 분지부 직하방에서 치근막의 초기 응력분포를 관찰한 결과, 정상 위치된 치아의 원심협측 치근을 제외한 근심협측 치근과 구개측 치근, 그리고 근심 위치된 치아의 세 개의 치근 모두는, outer-bow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응력의 크기만 변할 뿐 전체적인 응력분포의 양상에는 변화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