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trasound imaging

검색결과 657건 처리시간 0.025초

Diagnostic Performance of Core Needle Biopsy for Characterizing Thyroidectomy Bed Lesions

  • So Yeong Jeong;Jung Hwan Baek;Sae Rom Chung;Young Jun Choi;Dong Eun Song;Ki-Wook Chung;Won Woong Kim;Jeong Hyun Lee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10호
    • /
    • pp.1019-1027
    • /
    • 2022
  • Objective: Thyroidectomy bed lesions frequently show suspicious ultrasound (US) features after thyroid surgery. Fine-needle aspiration (FNA) may not provide definitive pathological information about the lesions. Although core-needle biopsy (CNB) has excellent diagnostic performance in characterizing suspicious thyroid nodules, no published studies hav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CNB specifically for thyroidectomy bed lesions. Therefore, we aimed to evaluate the diagnostic performance and safety of CNB for characterizing thyroidectomy bed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24 thyroidectomy bed lesions in 113 patients (79 female and 34 male; age, 23-85 years) who underwent US-guided CNB between December 2008 and December 2020 were included. We reviewed the US imaging features of the target lesions and the histories of previous biopsies. The pathologic results, diagnostic performance for malignancy, and complications of CNB were analyzed. Results: All samples (100%) obtained by CNB were adequate for pathological analysis. Pathological analysis revealed inconclusive results in two lesions (1.6%). According to the reference standard, 50 lesions were ultimately malignant (40.3%), and 72 were benign (58.1%), excluding the two inconclusive lesions. The performance of CNB for diagnosing malignant thyroidectomy bed lesions in the 122 lesions had a sensitivity of 98.0% (49/50), a specificity of 100% (72/72),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100% (49/49),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98.6% (72/73). Eleven lesions were referred for CNB after prior inconclusive FNA results in thyroidectomy bed lesions, for all of which CNB yielded correct conclusive pathologic diagnoses. According to the pathological analysis of CNB, there were various benign lesions (58.9%, 73/124) besides recurrence, including benign postoperative lesions other than suture granuloma (32.3%, 40/124), suture granuloma (15.3%, 19/124), remnant thyroid tissue (5.6%, 7/124), parathyroid lesions (4%, 5/124), and abscesses (1.6%, 2/124). No major or minor complications were associated with the CNB procedure. Conclusion: US-guided CNB is accurate and safe for characterizing thyroidectomy bed lesions.

Validation of CT-Based Risk Stratification System for Lymph Node Metastasis i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 Yun Hwa Roh;Sae Rom Chung;Jung Hwan Baek;Young Jun Choi;Tae-Yon Sung;Dong Eun Song;Tae Yong Kim;Jeong Hyun Lee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10호
    • /
    • pp.1028-1037
    • /
    • 2023
  • Objective: To evaluate the computed tomography (CT) features for diagnosing metastatic cervical lymph nodes (LNs)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DTC) and validate the CT-based risk stratification system suggested by the Korean Thyroid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K-TIRADS) guidelin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63 LNs from 399 patients with DTC who underwent preoperative CT staging and ultrasound-guided fine-needle aspiration were included. The following CT features for each LN were evaluated: absence of hilum, cystic changes, calcification, strong enhancement, and heterogeneous enhancement.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independent CT features associated with metastatic LNs, and their diagnostic performances were evaluated. LNs were classified into probably benign, indeterminate, and suspicious categories according to the K-TIRADS and the modified LN classification proposed in our study.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both classification systems was compared using the exact McNemar and Kosinski tests. Results: The absence of hilum (odds ratio [OR], 4.859; 95% confidence interval [CI], 1.593-14.823; P = 0.005), strong enhancement (OR, 28.755; 95% CI, 12.719-65.007; P < 0.001), and cystic changes (OR, 46.157; 95% CI, 5.07-420.234; P = 0.001)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metastatic LNs. All LNs showing calcification were diagnosed as metastases. Heterogeneous enhancement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dependent association with metastatic LNs. Strong enhancement, calcification, and cystic changes showed moderate to high specificity (70.1%-100%)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91.8%-100%). The absence of the hilum showed high sensitivity (97.8%) but low specificity (34.0%). The modified LN classification, which excluded heterogeneous enhancement from the K-TIRADS, demonstrated higher specificity (70.1% vs. 62.9%, P = 0.016) and PPV (92.5% vs. 90.9%, P = 0.011) than the K-TIRADS. Conclusion: Excluding heterogeneous enhancement as a suspicious feature resulted in a higher specificity and PPV for diagnosing metastatic LNs than the K-TIRADS. Our research results may provide a basis for revising the LN classification in future guidelines.

소아 충수 초음파 검사에서 구조화 판독문의 부가가치: 추가 CT 검사 및 음성 충수절제술의 관점에서 (Added Value of Structured Reporting for US of the Pediatric Appendix: Additional CT Examinations and Negative Appendectomy)

  • 최건우;최지영;김혁중;김현진;장석기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653-662
    • /
    • 2023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소아 충수 초음파에서 구조화 판독문을 이용하는 것의 증분가치를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이 후향적 연구에는 2009년 1월부터 2016년 6월 사이에 충수염이 의심되는 소아환자 1150명이 포함됐다. 2012년 11월, 충수 초음파에 대한 5점 척도의 구조화 판독문을 도입했다. 환자들은 초음파 판독문 양식에 따라 자유 텍스트 그룹과 구조화 판독문 그룹으로 나뉘었다. 초음파 검사 후 추가적 CT 검사율, 음성 충수절제율 및 충수 천공률을 포함한 주요임상 결과를 두 그룹 간에 비교했다. 결과 자유 텍스트 그룹에서 550명의 환자와 구조화 판독문 그룹에서 600명의 환자가 선별되었다. 추가 CT 검사 비율은 구조화 판독문 그룹에서 8.2%로 5.3%가 감소했다(p = 0.003). 음성 충수절제율은 구조화 판독문 그룹에서 7.8%로 8.4% 감소했다(p = 0.028). 충수 천공률(37.6% vs. 48.0%, p = 0.078)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충수염이 의심되는 소아 환자에서 초음파 검사 시 구조화 판독문을 사용하면 추가 CT 검사율이 감소하고, 충수 천공률의 증가 없이 음성 충수절제율이 감소한다.

내리막 달리기 후 국소 근손상의 영상학적 비교분석 : 운동 강도의 영향 (Evaluating Quadriceps Muscle Damage after Downhill Running of Different Intensities using Ultrasonography)

  • 선민규;김춘섭;김맹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028-1040
    • /
    • 2019
  • 본 연구는 내리막 달리기(downhill running, DR) 후 초음파 영상분석을 이용해 대퇴사두근 무리(quadriceps group, QG) 내 근손상의 국소화 여부를 검증하고, DR 동안 운동 강도가 운동유발성 근손상(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EIMD) 및 근육 반향세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규칙적인 신체활동이 없는 건강한 남성 11명이 무작위 교차설계에 따라 서로 다른 강도[low-intensity DR session($50%HR_{max}$), LDR; high-intensity DR session($70%HR_{max}$), HDR]의 DR 운동을 수행하였다. DR 후 EIMD의 심각성은 혈청크레아틴 키나아제(creatine kinase, CK) 활성 수준 변화와 함께 신경근 기능 지수로서 무릎 신전근의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및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 ROM) 변화를 통해 결정되었다. 회색조 분석을 적용한 근육 반향세기 평가는 DR에 따른 QG 내 국소 근육별(rectus femoris, RF; vastus lateralis, VL; vastus medialis, VM; vastus intermedius, VI) 손상 양상을 탐지하기 위해 활용되었다. 모든 세션에서 혈청 CK 활성 수준과 VL 및 VM의 근통증 정도는 운동 후 24시간째(RF의 경우 각각 LDR 24시간째와 HDR 48시간째) 최대에 이르렀으며, 혈청 CK 수준에서 운동 강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난 반면 근통증에서 세션 간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무릎 관절을 이용한 MVIC 및 ROM과 같은 신경근 기능 지표 및 VM을 제외한 모든 QG 근육 반향세기는 운동 직후 극적으로 감소 또는 증가 후 72시간까지 점진적 회복 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신경근 기능 지표에서 운동 강도에 따른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 RF 및 VL 반향세기에서 세션 내 및 세션 간 유의한 차이(p<.01)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ECC를 함유한 DR 운동 시 운동 강도는 DOMS 및 신경근 기능 지표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혈청 CK 수준과 함께 RF 및 VL의 근육 반향세기는 운동 강도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반영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현재 연구결과는 DR 동안 ECC를 겪는 QG 내 국소 근육 간 근손상 정도가 다를 수 있으며 초음파 근육 반향세기가 국소 근육의 EIMD 심각성을 차별화할 수 있는 유용한 평가기법임을 뒷받침하고 있다.

Patterns of Care Study를 위한 2006년 한국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들의 전립선암 방사선치료원칙 조사연구 (A Patterns of Care Study of the Various Radiation Therapies for Prostate Cancer among Korean Radiation Oncologists in 2006)

  • 김진희;김재성;하성환;신성수;박원;조재호;서창옥;오영택;신세원;김재철;장지영;남택근;최영민;김일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96-103
    • /
    • 2008
  • 목적: 한국인의 비뇨기암 중 1990년 말부터 발병률이 빠르게 증가되고 있는 전립선암의 치료에 있어 전국 각 병원의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시행되고 있는 방사선치료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립선암의 Patterns of care study(PCS) 개발의 기본 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전국 13개 대학병원의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들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각 의사들의 전립선암에 대한 치료 현황과 치료원칙을 수집, 분석하였다. 결과: 진단은 초음파유도 조직생검을 적게는 6개에서 12개 부위, 평균 9개 부위에서 얻고 있으며 진단당시의 영상학적 검사는 대부분에서 자기공명영상과 전신골스캔을 사용하고 있다. 방사선치료를 시행할 때 내부고정물과 외부고정물은 각각 61.5%, 76.9%에서 사용하며 방사선치료의 임상표적부위는 병원마다 다양하게 시행하고 있었다. 전골반 방사선치료는 76.9%에서 $45{\sim}50.4$ Gy를, 정낭의 방사선치료는 92.3%에서 시행하고 있으나 총방사선량은 $54{\sim}73.8$ Gy로 다양하였다. 근치적인 방사선치료의 방사선량은 저위험군에서 고위험군으로 갈수록 증가하였으나 병원간의 차이가 $60{\sim}78.5$ Gy로 넓었다. 세기조절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는 병원은 53.8%로 반 수 이상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총방사선량은 70 Gy이상 이었다. 동시추가분할선량법(SIB; simultaneous integrated boost)을 시행하는 병원은 3곳으로 표적부피와 방사선량이 다양하였다. 전립선 전적출술 후 생화학적 재발의 경우 84.6%의 병원에서 방사선치료를 시행하고 있으며 방사선치료 조사야는 전골반와부터 전립선부위까지 다양하며 총방사선량도 다양하였다. 결론: 전국 13개 병원의 전립선암의 방사선 치료현황을 볼 때 계속 증가하는 전립선암에 대한 전국병원의 방사선치료의 patterns of care study가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전립선암 방사선치료의 guideline을 제시할 필요가 있겠다.

서혜부 탈장에서의 초음파 조영술 (Ultrasonographic Evaluation in Patients with Inguinal Hernia)

  • 권오경;정진향;박진영;장수일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8권1호
    • /
    • pp.16-22
    • /
    • 2002
  • 초음파 검사는 수술 전 탈장 진단을 위한 안전하고 간편한 진단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서혜부 탈장의 진단 시 초음파 검사의 정확도와 잠복 탈장에 대한 초음파의 진단적 의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1999년 3월부터 2000년 1월까지 경북대학교 일반외과학 교실에서 이학적 검사상 서혜부 탈장이 의심되어 술 전 확인을 위해 초음파 검사를 실시한 82명의 남아 (편측성 70예, 양측성 1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서혜부 탈장 확진을 위한 초음파 검사의 진단 기준은 1)장관 탈장, 2)교통성 음낭수종, 3)초상돌기 확장, 즉 내서혜륜 부위에서 초상돌기의 너비가 4 mm 이상되는 경우로 하였다. 서혜부 탈장의 임상적 증상이 있었던 94개서의 서혜부에 대한 초음파 검사 결과, 장관 탈장 31개 (33%), 교통성 음낭수종 18개 (19%), 초상돌기 확장 38개 (41%), 탈장이 없는 경우가 7개 (7%)였다. 임상적 증상이 없었던 70개소의 서혜부는 초음파 검사상 장관 탈장 4개 (6%), 5개 (7%), 교통성 음낭수종, 초상돌기 확장 11개 (16%), 탈장이 없는 경우가 50개 (70%) 였다. 편측성 탈장의 증상을 가진 환아 중 20예 (28%) 가 초음파 검사에서 이학적 검사상 발견되지 않은 반대측 탈장이 발견되었으며 이들 중 5 개 (7%)는 탈장 없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양측성 탈장을 가진 12예 중 2예가 초음파 검사상 편측성 탈장으로 진단되었다. 초음파 검사상 서혜부 탈장으로 진단된 모든 예에서 서혜부 탈정 교정수술을 시행하였다. 164개소의 서혜부 중 이학적 검사에 의해 137개가 정확하게 진단되었으며 27개가 오진이었으므로 이학적 검사의 정확도는 83.5%였다. 탈장 교정수술을 시행한 107개의 서혜부 중 초음파 검사상 탈장으로 정확하게 진단된 경우는 104개이고 오진된 경우는 3예로 초음파 검사의 정확도는 97.2% 였다. 초상돌기 확대의 경우는 탈장의 증상이 있었던 38개소 중 36개, 증상이 없었던 11개 중 10개로 잠복 탈장의 경우 초음파 진단의 민감도는 93.8%였다. 서혜부 탈장의 진단에 있어 초음파 검사는 비침습적이며 높은 정확도를 가진 진단 방법으로 이미 임상적 검사상 확진된 탈장의 경우 간과하고 지나갈 수 있는 반대측 서혜부 탈장의 진단에 유리하며 본 연구와 같이 내서혜륜의 정상 직경의 상한을 4 mm로 정하면 술 전에 잠복 탈장을 비교적 쉽게 진단할 수 있어 불필요한 반대측 탈장 교정 수술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서혜부 탈장이 의심되는 환아에 있어 상용 검사로 초음파 검사를 제안하는 바이다.

  • PDF

봉합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서 상완 이두근 건 장두를 이용한 관절경하 부분 봉합술의 장기 추적 관찰 결과 (Result of a Long-Term Follow-Up of Arthroscopic Partial Repair for Massive Irreparable Rotator Cuff Tears Using a Biceps Long Head Auto Graft)

  • 고상훈;박기봉;박길영;권순환;김명서;박선재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35-142
    • /
    • 2020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봉합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있어서 상완 이두근 건 장두를 이용한 관절경하 부분 봉합술의 임상적 유용성 및 장기 추시 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봉합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환자 중 상완 이두근 건 장두에 50% 미만의 파열이 있는 4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상완 이두근 건 장두를 이용하여 관절경하 부분 봉합술을 시행받은 1군과 파열되지 않은 상완 이두근 건 장두가 있으나 자가 이식건을 이용하지 않고 관절경하 부분 봉합술만을 시행한 2군으로 나누었다. 임상 점수는 시각통증점수(visual analogue pain scale, VAS), 운동범위(range of motion, 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shoulder score (UCLA),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Shoulder Score (ASES) 및 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 (KSS) 점수로 측정하였으며 최종 추시에 측정된 점수가 사용되었다. 수술 전과 최종 추시에 촬영한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견봉상완거리(acromiohumeral interval, AHI)를 측정하였고 최종 추시에 시행한 초음파 또는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이용하여 재파열 여부를 평가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62.1±12.7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90.3±16.8개월이었다. 1군과 2군 간에 VAS와 ROM (전방 거상, 외회전, 내회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79, p=0.129, p=0.098, p=0.155). UCLA, ASES 및 KSS 점수는 2군과 비교해 1군에서 기능적 개선을 보였다(p=0.041, p=0.023, p=0.019). 최종 추시 시 AHI는 1군 9.46±0.41 mm, 2군 6.86±0.64 mm로 측정되었다(p=0.032). 재파열은 1군 21예 중 6예(28.6%), 2군 20예 중 9예(45.0%)에서 발견되었다. 1군의 경우 2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재파열률을 보였다(p=0.011). 결론: 본 연구에서는 봉합이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이 있는 환자들에게 상완 이두근 건 장두를 이용한 관절경하 부분 봉합술을 시행하여 장기 추시한 결과, 상완 이두근 건 장두를 사용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기능적 향상 및 낮은 재파열률을 보인다. 따라서 이는 봉합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이 있는 환자에서 좋은 수술적 방법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