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trasonographic features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2초

Complications Following Transradial Cerebral Angiography : An Ultrasound Follow-Up Study

  • Yoon, Wonki;Kwon, Woo-Keun;Choudhri, Omar;Ahn, Jaegeun;Huh, Hanyong;Ji, Choel;Do, Huy M.;Mantha, Aditya;Jeun, Sin-So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1권1호
    • /
    • pp.51-59
    • /
    • 2018
  • Objective : The feasibility and usefulness of transradial catheterization for coronary and neuro-intervention are well known. However, the anatomical change in the catheterized radial artery (RA) is not well understood. Herein, we present the results of ultrasonographic observation of the RA after routine transradial cerebral angiography (TRCA). Methods : Patients who underwent routine TRCA with pre- and post-procedure Doppler ultrasonography (DUS) of the catheterized RA were enrolled. We then recorded and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diameter and any complicated features of the RA observed on DUS,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iameter and complications were analyzed. Results : A total of 223 TRCAs across 181 patients were enrolled in the current study. The mean RA diameter was 2.48 mm an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le gender (p<0.001) and hypertension (p<0.002). The median change in diameter after TRCA was less than 0.1 mm (range, -1.3 to 1.2 mm) and 90% of changes were between -0.8 and +0.7 mm. Across 228 procedures, there were 12 cases (5.3%) of intimal hyperplasia and 22 cases (9.6%) of asymptomatic local vascular complications found on DUS. Patients with abnormal findings on the first procedure had a smaller pre-procedural RA diameter than that of patients without findings (2.26 vs. 2.53 mm, p=0.0028).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abnormal findings for the first versus subsequent procedures (p=0.68). Conclusion : DUS identified the pre- and post-procedural diameter and local complications of RA. Routine TRCA seems to be acceptable with regard to identifying local complications and changes in RA diameter.

한국인 조기난소부전 여성의 배란양상 (Pattern of Ovulation in Korean Women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 김혜민;김재령;최은주;박은주;홍서유;이진용;박원일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3호
    • /
    • pp.231-238
    • /
    • 2008
  • 목 적: 조기난소부전 환자의 10$\sim$20%에서 난소기능이 회복될 수 있다고 하며 간헐적으로 배란이 되고 심지어는 임신이 가능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한국의 조기난소부전 여성의 임상적 특징과 배란가능성은 논의된 적이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조기난소부전 환자에서 자연 난포의 발생 빈도와 배란유도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특발성 조기난소부전으로 진단된 15명 여성의 전체 진료기록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환자별로 6번 이상의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고 36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추적관찰을 하였다. 또한 4명의 환자에서 6주기의 배란유도시도를 하였다. 조사항목은 초음파 검사에서 난포의 발견율, 자연 난포 성장률과 배란유도를 시행한 경우에 그 반응을 평가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15명 중 6명은 초음파상 난포가 발견되었나 (40%) 초음파 검사 당 난포 발견 빈도는 7%였다 (115회 중 8회). 6명 중 한 명은 초음파 추적관찰 상 배란이 확인되었고 나머지 5명은 크기에 변화가 없었다. 배란유도를 시도한 6명 중 성공적인 난포 성장이 관찰된 예는 없었다. 결 론: 한국인 조기난소부전 환자에서 난포의 발견율은 이전 서양 연구에 비하여 낮다고 생각되지만 관찰 방법에 차이가 있어 직접비교는 불가능하다. 배란유도의 성공율은 0%로서 이전 연구에서 발표된 수준보다 낮았다.

개에서 발생한 십이지장 샘암종 (Imaging Features of Duodenal Adenocarcinoma in a Dog)

  • 정미애;이민수;이인혜;이아라;박수원;임채영;박희명;엄기동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93-599
    • /
    • 2010
  • 7년령의 중성화한 수컷 Basset hound 가 식욕부진, 체중 감소, 혈변, 구토의 증상을 4개월 동안 보이며 내원하였다. 혈액 검사상, 소적혈구성, 저색소성 빈혈을 보였으며, 그 외 임상검사 소견은 정상이었다. 방사선 단순 촬영 시연부 조직 음영이 증가 된 것을 우측 상복부에서 관찰할 수 있었으며, 초음파와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는 내림 십이지장의 벽이 전반적으로 비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검을 통해 조직의 만성 염증 소견과 점막밑까지 침투되어있는 증식된 점막과 다수의 작은 샘과 같은 구조들을 확인하였고, 장샘암종을 확진 하였다. 13개월 동안의 대증치료 후에 환자는 폐사하였다. 본 증례는 개에서 드문 십이지장 샘암종의 임상학적, 영상진단학적, 조직병리학적 검사와 그 결과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소아 급성 췌장염의 임상적 고찰 (Acute Pancreatitis in Children)

  • 조재호;이태석;고영관;오수명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2권1호
    • /
    • pp.17-25
    • /
    • 1996
  • Acute pancreatitis(AP) in children is not common but can be associated with severe morbidity rates and its diagnosis is often delayed. Thus, reported mortality rates range from 0 to 78%. We have treated 26 patients with AP from 5 to 17 years of age over the past 17 years. We are intended to assess the relevance of the prognostic criteria used to assess severity of adult AP and to review the etiology, clilical presenta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P in children. The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26 children with AP managed in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from 1978 to 1995. Among 26 patients with AP, male were 12, and female were 14. And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11.8 years. In 9(34.6%), no definitive cause was identified. Common causes of AP were trauma(23.1%) and biliary tract disease(23.1%). Other etiologies were viral infection(15.4%) and post ERCP(3.8%). The presenting features were abdominal pain(92.3%), vomiting(61.5%), fever(19.2%), submandibular pain(11.5%), and abdominal mass(7.6%). Back pain was rare(3.8%). Abdominal ultrasonographic findings were abnormal in 10 of 16 patients(62.5%) and abdominal CT findings were abnormal for 9 of 9 patients(100%). Seventeen patients(65.3%) were managed conservatively, and nine patients(34.6%) required surgical treatment. There was no mortality. To evaluate the severity of disease, we used the Imrie prognostic criteria used to assess the severity in adult AP. The number of positive criteria was correlated to the duration of hospitalization(r2=0.91) but statistically insignificant(p>0.05). But, the number of positive criteria was correlated to the operative incidence(r2=0.93)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The common causes of AP in children were unknown origin(34.6%), trauma(23.1%), and biliary tract disease(23.1%). Ultrason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were useful imaging tools of AP in children. The Imrie criteria used to evaluate the severity in adult AP were suspected to be valuable to assess the severity of AP in children.

  • PDF

세침흡인검사 결과 Atypia of Undetermined Significance로 진단된 갑상선 결절에서 악성을 예측할 수 있는 위험인자 (BRAFV600E Mutation is a Strong Preoperative Indicator for Predicting Malignancy in Thyroid Nodule Patients with Atypia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Identified by Fine Needle Aspiration)

  • 최혜랑;최보윤;조재훈;임영창
    •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
    • 제61권11호
    • /
    • pp.600-604
    • /
    • 2018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 reliable preoperative predictive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thyroid cancer in patients with atypia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AUS) identified by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FNAB). Subjects and Method This wa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Two hundred and ninety-nine patients diagnosed with AUS by preoperative FNAB who underwent curative thyroid surgery at our institution between September 2005 and February 2014 were analyzed. Clinical, radiological and molecular features were investigated as preoperative predictors for postoperative permanent malignant pathology. Results The final pathologic results revealed 36 benign tumors including nodular hyperplasia, follicular adenoma, adenomatous goiter, nontoxic goiter, and lymphocytic thyroiditis, as well as 263 malignant tumors including 1 follicular carcinoma and 1 invasive follicular carcinoma; the rest were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The malignancy rate was 87.9%. The following were identified as risk factors for malignancy by univariate analysis: $BRAF^{V600E}$ gene mutation, specific ultrasonographic findings including smaller nodule size, low echogenicity of the nodule, and irregular or spiculated margin (p<0.05).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only $BRAF^{V600E}$ mutation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 for malignancy (p<0.05). When $BRAF^{V600E}$ mutation was positive, 98.5% of enrolled patients developed malignant tumors. In addition, the diagnostic rate of malignancy in these cases was approximately 16-fold higher than BRAF-negative cases. Conclusion Patients with AUS thyroid nodules should undergo $BRAF^{V600E}$ gene mutation analysis to improve diagnostic accuracy and if the mutation is confirmed, surgery is recommended due to the high risk of malignancy.

급성 비특이성 장간막 림프절염의 임상 소견과 급성 충수돌기염과의 감별 인자 (Clinical Features of Acute Nonspecific Mesenteric Lymphadenitis and Factors for Differential Diagnosis with Acute Appendicitis)

  • 신경화;김갑철;이정권;이영환;감신;황진복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7권1호
    • /
    • pp.31-39
    • /
    • 2004
  • 목 적: 급성 비특이성 장간막 림프절염(acute nonspecific mesenteric lymphadenitis, ANML)은 타 질환이 적절히 배제되었을 때 임상적 추정으로 진단하는 경우가 많아 그 실체에 대하여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특히 급성 충수 돌기염(acute appendicitis, APPE)과의 감별에 혼란을 주어 복막염 등으로 이행되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ANML의 임상 소견을 보고하고, 특히 APPE와의 감별시 도움을 줄 수 있는 접근 방식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 법: 2000년 11월부터 2001년 5월까지 대구시 한영한마음연합소아과의원으로 급성 복통을 주소로 내원하여 ANML로 진단된 26명(남녀비 13:13)을, APPE 환자는 같은 기간 대구가톨릭대학병원을 방문하여 수술받은 21명(남녀비 12:9)을 대상으로 하였다. ANML 환자들은 복부 초음파 검사상 10 mm 이상, 5개 이상의 장간막 림프절이 관찰되면서 회장, 대장의 장벽 비후 소견이 5 mm를 넘지 않고 염증성 충수돌기가 관찰되지 않으며, 말초 혈액 검사, 소변 검사, 대변 검사상 타 질환을 의심할 소견이 없는 등을 진단기준으로 설정하였다. 결 과: 1) ANML군의 진단 당시 연령은 1~11세, $5.2{\pm}2.3$세였다. 2) ANML군의 복통 양상은 21례(80%)에서 야간 복통이 있었고, 위치는 배꼽 주위부 20례(76%), 우하복부 3례(11%), 하복부 3례(11%)였다. 2례(7%)에서 복부 강직이 있었고, 반발 압통은 전례에서 없었다. APPE군에서는 전례에서 야간 복통이 있었고, 17례(80%)에서 복부 강직이, 16례(76%)에서 반발 압통이 관찰되어 ANML군과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ANML군에서 복통의 회복까지 걸린 시간은 2~4일, $2.5{\pm}0.5$일이었다. 4) ANML군 10례(38%)에서 구토를 보였고 1~3회/일, $1.5{\pm}0.7$회/일이었다. 설사는 17례(65%)에서 있었고 1~4회/일, $1.6{\pm}0.8$회였다. APPE군 19례(90%)에서 구토가 있었으며 1~10회/일, $4.5{\pm}2.9$회로 ANML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APPE군의 설사는 6례(28%)에서 있었으며 1~5회/일, $2.1{\pm}1.6$회이었다. 5) ANML군에서 열은 19례(73%)에서 있었고, 말초혈액 백혈구 수는 $5,900{\sim}12,300/mm^3$이었으며 평균 $8,403{\pm}1,737/mm^3$이었다. APPE군에서는 열은 16례(76%)에서 관찰되었으며 백혈구 수는 $5,400{\sim}20,800/mm^3$으로 평균 $15,471{\pm}3,749/mm^3$이었으며 ANML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6) 판별분석을 이용하여 하루 구토의 강도와 백혈구 수를 독립변수로 하였을 때 ANML과 APPE는 95.7% 수준으로 분류되었다. 결 론: ANML과 APPE의 감별 시 복부강직, 반동압통 등 급성복증의 소견이 의심될 때 뿐만 아니라, 복통이 3일을 초과하여 지속되거나, 하루 구토가 3회를 초과하는 경우, 말초혈액검사상 백혈구 수가 $13,500/mm^3$ 이상을 보일 때에도 반드시 복부초음파 검사를 이용하여 APPE를 확인하여야 한다.

  • PDF

수신증의 정도와 요로감염 및 자연경과, 산전초음파상의 수신증 여부와의 관련성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f urinary tract infection, natural courses, and prenatal ultrasonographic results according to the grades of hydronephrosis)

  • 이지희;김준우;윤지은;하태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8호
    • /
    • pp.917-921
    • /
    • 2009
  • 목 적 : 신초음파검사는 수신증의 발견을 향상 시켰지만, 수신증의 임상 경과 및 치료에 대해서는 많은 이견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수신증의 정도에 따른 환아들의 임상적 특징을 연구하였다. 방 법 : 1998년 4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신초음파검사에서 수신증이 발견된 총 367명의 환아들 중에 추적 관찰된 207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신우전후직경에 따라 대상을 grade 1-4까지 분류하고, 분석을 위해 이를 다시 mild 군 및 severe 군으로 나누었다. 결 과 : 추적기간 동안 요로감염은 207명 중 91명(44%)의 환아에서 총 128회 발생하였고, 수신증 정도에 따라서는 grade 1이 89명 중 35명(39.3%), grade 2는 88명 중 41명(46.5%), grade 3은 22명 중 11명(50%), grade 4는 8명 중 4명(50%)으로 요로감염의 발생 유무에 대해서는 mild 군과 severe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요로감염의 누적 빈도 및 년당 발생한 요로감염의 횟수를 비교 해볼 때 severe 군이 mild 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41). Mild 군은 175명 중 103명(58%)이 완해를 보여 28명 중 3명(10.7%)의 완해를 보였다(P<0.001). 또한 산전초음파에서 수신증의 발견될 확률은 심한 신우전후직경을 나타낸 환아에서 더 높았다(P<0.001). 결 론 : 저자들은 수신증의 정도가 심할수록 자연완해는 더 적게 일어나며, 요로감염은 더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수신증을 가진 환아에 대해 신장 예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예방적 항생제 등의 치료 지침의 확립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