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igwe(儀軌)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2초

영건의궤 및 산릉의궤에 기록된 건축부재 구로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urodae, archiectural member recorded on Yeonggeonuigwes and Sanleunguigwes)

  • 이연노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3호
    • /
    • pp.45-59
    • /
    • 2009
  • This thesis mainly deals with what is th Gurodae, recorded of the YeonggeonUigwe and the SanleungUigwe. Gurodae makes diverse appearance In Uigwes.(久老代, 仇老代, 求路代, 仇老臺, 仇露臺, 求露臺, 仇累臺, 九累臺) It seems that Gurdae was an architectural member used on the roof. Especially that was a member of the eaves. Gurodae looks like a Pyeonggodae, located on the end of the rafters. But it differs in the shape compare to that of Pyeonggodae, Gurodae has the shape of combined members, Pyeonggoaed and Chakgo. Chakgo is a member covering the spae, between two Buyeons So Gurodae has the shape of prominence and depression. The result obtained by surveying the Uigwes is the Gurodae is the Gurodae used until 1789. After the publication of HyeonlyungwonUigwe in 1789, that member was no longer existed on the other Uigwes. In 1794, the making Hwaseong fortress, Gurodae divieed into two members, Chopyeonggodae and Chakgo. Since then Chopyeonggodae and Chakgo never combined again.

  • PDF

조선시대 후기 궁중 행사도의 의궤(儀軌) 도식(圖式)과 도병(圖屛)에서 찾아 본 전통 꽃꽂이 양식 (Traditional Style of Flower Arrangement According to Diagram of Royal Protocol and Folding Scre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 한상숙;이부영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1호
    • /
    • pp.61-92
    • /
    • 2019
  • 조선시대 의궤(儀軌) 도식(圖式)과 도병(圖屛)등에서 꽃꽂이의 양식을 찾아보았다. 의궤의 도식과 도병에서는 국연(國宴)이 열리는 궁궐 정전(正殿) 중앙의 어좌(御座) 좌우를 장엄하는 선형, 둥근형, 타원형의 준화(樽花)을 확인, 음식 위를 장식하는 상화(床花), 관이나 모자 등을 장식하는 잠화(簪花), 화안(花案)이라고도 하며, 궁중 행사시 차일을 받쳤던 기둥장 식인 화가(花架) 등의 양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가는 초기에는 찾아볼 수 없었으며, 1848년 무신진찬도병에서부터 나타나고 있다. 1795년 원행을 묘정리의궤와 화성능행도병에서는 테이블장식과 현대 공간장식으로 볼 수 있는 바닥공간장식과 어사화, 왕이 하사한 꽃을 지팡이에 묶은 꽃 장식등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선시대 의궤 반차도를 통한 왕실의례복식 콘텐츠 제작 (Content Production for Royal Rituals Attire through Uigwe Banchado in the Joseon Dynasty)

  • 차서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21-531
    • /
    • 2019
  • Uigwe Banchado are paintings of court events and royal ceremonies of the Joseon dynasty. The paintings record national events and ceremonial rituals performed by the Joseon royal family, such as marriages, celebrations, enthronements, processions to royal tombs, and archery ceremonies. This record provides a combination of information about the event's appearance, including preparation, procedure, people involved, reproductions worn by the participants, and the items used at that time. Through the realistic depictions painted in the Uigwe Banchado, in particular, one can grasp the scene of events at the time and reproduce the diverse attire worn by participants in the event. Based on 31 representative Uigwe Banchado, 550 knowledge nodes were written. These include 31 royal protocols, 41 attires, 136 clothes, 8 storage facilities, 120 objects, 55 people, 33 places and 83 concepts. The meaningful relationships between each node can be explored via a network graph. Digital illustrations of the 41 attires were created to aid in the understanding of Joseon dynasty royal ceremonial ritual attire.

영건(營建) 관련 자료를 통해 본 조경단(肇慶壇)의 건축특성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Jogeongdan Examined through Construction-Related Records)

  • 안선호
    • 건축역사연구
    • /
    • 제32권5호
    • /
    • pp.59-68
    • /
    • 2023
  • Jogyeongdan is an altar built by the Korean Empire within the burial grounds of Sijomyo(始祖墓), the Jeonju Lee clan, as a part of their posthumous respecting project. This site adheres to strict rules and formalities that are comparable to those of the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with its altars and monument House demonstrating construction techniques that hold high value in architectural history.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construction-related records such as Uigwe, Statements, and Figure, along with their historical context. Through this effort, the study explores in detail the original form of Jogyeongdan at the time of its construction and subsequent transformations in later periods. Findings showed that the Figure was drawed by Chae Yongsin and was only a blueprint prior to the construction; it was modified during the actual construction process. A part of Jogyeongdan project was carried out by demolishing four government office buildings that were closed because of the Gabo Reform in order to secure wood and roof tiles, among other materials. Additionally, concluded the Jaesil was by relocated Deokryudang from Samryeyeokcham. Further, instances of distinctive terminology usage were found related to construction materials in the Jogyeongdan Uigwe, which were not used in another Uigwe. These terms were distinguish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locations in which the materials were used.

목조건축의 방연(方椽) 용례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Bangyeon on Wooden Architecture)

  • 조현정;김왕직
    • 건축역사연구
    • /
    • 제26권1호
    • /
    • pp.17-30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quare shape cases of rafter end header with special reference to wooden architecture and Uigwe records. In Uigwe, the member Bangyeon is widely used in multiple Changung and Chansil, and it is the most used in various gates in the buildings. It is also found in Haenggak and Subokbang. In the surviving wooden architecture, Bangyeon is found in pavilion, colonnade and gate in Changdeokgung Palace, and it is often seen in palace architecture. It is rare in private sector, and it is shown in Sangju Yangjindang and Andong Songsojongtaek. A total of 48 cases in Uigwe, can found records of Bangyeon. According to the records, mainly Yeonggeon Uigwe and Salleung Uigwe, it can be found that gates, also Bangyeon was used.

외규장각 의궤 책의 문양을 통한 운보문 편년 설정 방법 (A Method for Establishing Chronology of Cloud Patterns Based on the Cover Patterns of Oegyujanggak Uigwe Books in the Late Joseon Period)

  • 이은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4호
    • /
    • pp.18-37
    • /
    • 2019
  • 국립중앙박물관의 외규장각 의궤 중 운보문단(雲寶紋緞) 책의(冊衣)를 대상으로 운보문의 편년 설정 방법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규장각 의궤 중 운보문단 책의는 현종 즉위년(1659) 『효종국장도감의궤(상·하)』부터 영조 20년(1744) 『사도세자가례도감의궤』까지 86년간 89책(冊)에서 사용되었다. 둘째, 의궤 책의에 사용된 보문 종류는 14종으로 파악되었는데 잡보(雜寶)인 금정(金錠), 만자(卍字), 방승(方勝), 방승(쌍), 보주(寶珠), 산호(珊瑚), 서각(犀角), 서보(書寶), 애엽(艾葉), 여의두(如意頭), 전보(錢寶), 전보(쌍), 특경(特磬), 화보(畵寶)이다. 셋째, 운보문 판독 방법은 다음과 같다. (1)보문의 명칭을 결정한다. (2)운두(雲頭) 꼭지점을 기준으로 운두가 일방향(一方向)으로 배열되었는지 양방향(兩方向)으로 배열되었는지를 확인한다. (3)운두에 연결된 만자꼬리 중 상하꼬리 방향이 좌향인지 우향인지 파악한다. (4)운두를 중심으로 사분면에 배열된 보문 조합이 '1조(組) 보문형'인지 '2조 보문형'인지 확인하고 운두 꼭지점을 기준으로 좌향꼬리는 좌상(左上) 면에서 시계 역방향으로 보문을 판독하고 우향꼬리 운보문은 우상(右上) 면에서 시계 순방향으로 보문을 판독한다. 2조 보문인 경우는 첫 보문의 명칭을 가나다 순으로 따져 '제1조 보문'과 '제2조 보문'을 결정한다. (4)운보문에서 판독한 내용을 유물명부터 유물번호, 소장처, 왕조, 연도, 1-1면, 1-2면, 1-3면, 1-4면, 방향, 2-1면, 2-2면, 2-3면, 2-4면, 운두 크기, 단위문 크기 등 16항목으로 정리한다. 이러한 판독법의 활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운보문의 연대 파악을 위한 '정하 운보문 판독법'으로 명명하였다. 넷째, 현종 즉위년(1659)부터 영조 20년(1744)까지 86년간의 의궤 89책 책의에서 28종의 운보문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운보문에 사용된 보문은 단독보문과 조합보문을 포함하여 45종으로 확인되었는데, 특히 보주(85건), 산호(84건), 서보(42건), 방승(쌍)(41건) 등이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운보문 판독법을 연대가 정확한 초상화와 출토복식, 전세유물 등에 운보문 판독법을 적용해본 결과, 유물의 연대 파악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산릉.영건의궤 분석을 통한 조선시대 건축에서 회벽의 존재 여부 고찰 -조선 후기 관영건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istence of Lime Plaster Wall in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Analysis of Construction Reports of 'Sanleong-Uigwe' & 'Yeonggeon-Uigwe' - Emphasized on the Government Building Constructions -)

  • 이권영
    • 건축역사연구
    • /
    • 제19권3호
    • /
    • pp.89-106
    • /
    • 2010
  • Since the 1970's, UNESCO and ICOMOS have adopted or emphasized on the principles of historic preservation. One of them is what to require a repair should not be repaired beyond the limits of the features and techniques which had been adopted in those days of establishment. On the premise,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aterials and technique of wall plaster work in the government building constructions in the Joseon dynasty. The result of this examination shall come up with a basic conformity in the case of repairing the building established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This paper is carried out for the proper repair and restoration of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Construction reports and other documents in those days are examined for the study.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through the study. The materials and technique which applied to wall plaster work in those days were quite different from the present. The technique that was used to wall plaster of government buildings in those days was not a lime wall plaster, but sand coat one. The kinds of material for setting of the sand coat wall plaster had been revised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or constructions. The main kinds of material were composed of sand, white clay, paper fiber, and cereal starch. However, the present materials were composed of sand, white clay. Therefore, the present materials and technique which applied to wall plaster work for the repair and restoration of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have to be revised and corrected.

조선 왕실 가례의 부용향(芙蓉香) 연구 -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 of Buyonghyang During the Joseon Royal Wedding Ceremony - Focused on Sunjo Sunwonwanghoo Garyedogam Uigwe -)

  • 하수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3호
    • /
    • pp.222-239
    • /
    • 2019
  • 본 연구는 문헌을 통해 조선왕실의 부용향을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한국에서 향은 삼국시대부터 불교문화와 함께 전래되었다. 부용향은 조선시대 왕실을 상징하던 향이며 왕실의 각종 의례에 사용되었다. 민가에서도 혼인할 때 신부의 가마 앞에서 부용향을 태우기도 했다. 부용향은 의례, 방향, 방충, 의료의 목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부용향은 침속향과 백단향을 주 향재로 하여 모향, 백급, 영릉향, 감송향, 팔각향, 삼내자, 정향, 소뇌, 비초 등 10가지 향재를 혼합해 만든 합향이다. "탁지준절"과 "세종실록지리지",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통해 향재의 수급 방법을 추적했다. 각 향재의 특성을 파악하고 "제중신편", "동의보감" 등의 의서를 통해 제조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의 기록을 통해 부용향을 제작한 향장의 협업과 처우를 살펴보았다. 가례에서 부용향이 사용된 사례를 통해 조선시대에 향이 갖던 의의를 알아보았다. 가례는 이전의 가례도감의궤에 비하여 그 체제가 잘 정비된 것으로 평가받는 "순조순원왕후가례도감의궤"를 참고했다. 궁에서는 의례를 진행하는 동안 항상 향을 사용했다. 반면 신부의 집에서 진행된 경우 오로지 비수책의에서만 향로 차비 등의 향과 관련된 차비가 동원되어 이 시기에만 향을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책봉 후에야 비로소 향을 사용하게 됨을 통해 부용향은 왕실 사람만이 사용했으며 왕실을 상징하는 향이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의궤 반차도 디지털화의 체계서지학적 연구와 현대적 활용 (Systematic Bibliographic Study on Uigwe Banchado Digitization and Modern Application)

  • 김다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8년도 제25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37
    • /
    • 2018
  • 본 연구는 반차도의 활용에 관한 연구이다. 반차도란 의궤 안에 담긴 그림으로 왕실의 행사와 관련된 내용을 하나의 본보기로 삼아 기록해놓고 예법에 맞게 이를 따르고자 왕실의 각종의식과 행사의 전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조선왕조의궤는 세계기록유산으로 유네스코에 등재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기록유산들의 정보를 소장하고 있는 기관이 여러 곳이고 각각 세부 분류 방식이나 열람 형식 등이 달라 이용자들의 이용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기록유산들 중 의궤 반차도를 주제로 디지털화에 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반차도 디지털화의 장점은 일반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문화 콘텐츠의 개발, 재생산을 하는 데에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료를 보존하는 것과 더불어 이용자들의 활발한 접근과 활용을 유도하여 또 다른 가치를 창조해낼 수 있고 동시에 역사를 후대에 잘 전승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서 반차도의 주요 소장처들이 진행한 반차도 디지털화의 현황을 알아보고 어떤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 이용자 중심의 비교를 통해 현황과 개선할 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영건의궤로 살펴본 벽(壁)의 명칭에 관한 고찰 - 종묘 정전·영녕전의 갑벽(甲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ame of the walls in YeonggeonUigwe Based on the gap wall of the Main Hall and Yeongnyeongjeon Hall of Jongmyo Shrine in the Joseon Dynasty)

  • 홍은기;곽이라;한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4호
    • /
    • pp.4-21
    • /
    • 2021
  • 본 연구는 조선시대 건축 공사 기록인 영건의궤에서 조선 후기 건물에 구성되었던 벽의 명칭과 유형을 살펴보고, 종묘 정전과 영녕전에 사용된 벽에 대해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벽의 명칭은 성격에 따라 방향·위치, 형상·기능, 재료, 복합 등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벽 앞에 성격을 의미하는 단어가 합쳐진 합성어로 사용되었다. 둘째, 벽의 유형 중 재료와 관련된 일부 벽은 사용 시기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18세기 이후 토벽의 사용은 줄고 목벽(판벽), 지벽의 사용이 많은 것으로 확인된다. 셋째, 종묘 정전과 영녕전의 벽은 흙벽과 화방벽이 사용되었으며, 고주열 중인방 상부는 흙벽으로, 외부는 화방벽으로 구성되었다. 화방벽은 종묘 정전의 경우 기둥까지를 포함한 일체화된 모습으로 설치된 반면, 영녕전의 경우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만 설치되었다. 넷째, 갑벽은 의궤 내 사용된 용례들과 현재 건물의 비교를 통해 '종묘 내 건축물 구성 시 사용된 중인방 상부에 설치한 벽'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익숙한 까닭에 연구가 미비했던 벽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에 사용되었던 벽의 명칭들과 용례를 기록과 실제 건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고 갑벽의 정의를 밝히기 위해 시도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