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의 발음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9초

독어의 표준발음에 대한 고찰 (Zur Standardaussprache des heutigen Deutsch)

  • 정동규
    • 한국독어학회지:독어학
    • /
    • 제9집
    • /
    • pp.45-63
    • /
    • 2004
  • Obwohl der Begriff Standardaussprache noch umstritten ist, werden mit ihm musterhafte Ausspracheformen beschrieben, deren Akzeptanzareal weit $\"{u}ber$ dasjenige dialektaler und umgangssprachlicher Ausspracheformen hinausreicht, die beim Sprechen der Standardsprache in $\"{o}ffentlichen$ Bereichen verwendet werden, und die viele Sprachbenutzer emotional positiv bewerten.(Stock, 2001: 162) Seit Ende des 19. Jhs. stehen verschiedene Versuche, die einheitlichen Ausspracheformen $f\"{u}r$ unterschiedliche Kommunikationsbereiche zu normieren. Eine umfangreiche und verantwortungvolle Antwort hat Duden $Aussprachew\"{o}rterbuch$ gebracht. In der deutschen Sprache gibt es eine ganze Reihe landschaftlich und sozialisch bedingter Unterschiede in der Aussprache: 1. Genormte Lautung - Standardlautung, $B\"{u}hnenaussprache$ 2. Ungenormte Lautung - Umgangslautung, $\"{U}berlautung$ Dabei ist die $B\"{u}hnenaussprache$ heute als $\"{u}bersteigert$ empfunden. Und die Umgangslautung ist weniger deutlich und schriftnah als die Standardlautung, die $\"{U}berlautung$ deutlicher und $schriftn\"{a}her$ als die Standardlautung. Von diesen aussprachlichen Situationen ausgehend ist hier untersucht worden, welche aussprachliche Variante eine Richtschnur in der Aussprache $f\"{u}r$ die $Ausl\"{a}nder$ sein soli, die Deutsch als Fremdsprache lemen. Die Standardlautung oder -aussprache ist eine der $M\"{o}glichkeiten$, das Lautsystem des heutigen Deutsch zu realisieren.

  • PDF

한글 단어를 발음 기호로 변환 시키는 인공신경망에 관한 연구

  • 양재우;김두현
    • ETRI Journal
    • /
    • 제10권3호
    • /
    • pp.113-124
    • /
    • 1988
  • 본 논문에서는 한글 단어를 발음 기호로 변환시키는 인공신경망의 설계와 이를 시뮬레이션한 결과에 대하여 논한다. 이 인공신경망은 multi-layer perceptron 구조를 가지며 error back-propagation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이 인공신경망에 한글 발음 사전의 일부를 반복적으로 제시하여 학습시킨 결과, 학습한 단어에 대하여 최고 97%의 정확도로 변환 작업을 수행하였고 학습하지 않은 단어에 대해서는 91%의 정확도를 보였다. 이는 설계된 인공신경망이 발음 사전 내에 포괄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발음규칙을 스스로 학습하였음을 나타낸다. 아울러 신경망의 학습 성취도와 입력 코드와의 관계도 연구하였는데, 한글단어를 발음기호로 변환하는 데에 있어서 compact 코드 보다 local 코드일 때 학습 성취도가 높은 것이 실험을 통해 밝혀졌다.

  • PDF

한국인의 영어 발음 학습상 문제점 개관 (A Survey or The Korean Learner's Problems in Mastering English Pronunciation)

  • 유만근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42호
    • /
    • pp.47-56
    • /
    • 2001
  • 이 글은 제2회 서울 국제 음성학 학술대회(SICOPS 2000) 기조강연 내용을 조금 손질한 것인데,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저지르기 쉬운 발음상 잘못을 모음, 자음별로 관찰하고 그 대책을 논의한다. 모음에서는 주로 i:l, u:$-\sigma$, (equation omitted) 흔동이 문제이며, 또한 90종이 넘는 여러 철자로 나타나는 쭉정모음(schwa) 식별과 정복한 발음도 큰 문제다. 자음에서는 음소 연결방식에서 생기는 자음접변 둥 한 국어 특유 현상을 영어에까지 연장하는 바람에 많은 오류가 생긴다는 것과 영어 sp-, st-, sk-에서 /p t k/는 연한소리(lenis)로 [(equation omitted)]인데, 된소리로 잘못알고 있는 수가 많다는 것도 지적된다. 무룻 영어학습자는 철자만 보고 발음을 속단하지 말고 단어마다 반드시 발음을 사전에서 확인할 것과 아울러 거기에 음성학적 훈련이 수반되어야 함을 역설하며, 정확한 발음을 아는 것은 실제 영어 청취i구사에 뿐 아니라 또한 언어연구 기초확립에 필수적이라는 말로 글을 맺는다.

  • PDF

코퍼스 확률에 기반한 한국어 표준발음 생성 (The Corpus-probability Based Generation of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 김동성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7년도 제19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10-21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코퍼스 확률에 기반하여 한국어 표준 발음 생성에 대한 연구를 한다. 기존의 이은영 외 (2005)에서 연구된 규칙기반의 한국어 IPA 발음 변환방식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음운변환 코퍼스를 바탕으로 표준발음을 변환한다. 이 방식을 위해서 Brill(1995)에서 제안한 변형기반 학습방식이 활용되었으며, 단계적인 처리방식이 아닌 입-출력 대응 방식의 확률적 처리 방식이 제안되었다. 음운변환 방식은 음운규칙에 근거한 처리가 아닌 언어자원인 코퍼스를 활용해서 처리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방식과 차이가 있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는 음운규칙을 단계적으로 적용하여서 입력형이 출력형으로 도출되기 위해서 여러 단계를 거쳤지만, 본 연구에서는 입력형과 출력형의 일대일 대응이라는 점에서 차이점을 보인다.

  • PDF

영어발음교육과 발음기호 (Phonetic Alphabet as a Pronunciation Guide)

  • 강용순
    • 영어영문학
    • /
    • 제56권1호
    • /
    • pp.65-7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at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be included in English curriculum and taught in English classroom. Current English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doesn't specify anything for the education of the IPA. The knowledge of IPA is essential for the students to study by themselves how to pronounce English words. The IPA, however, is either too little or too much to be taught at school. It is too little in that it doesn't tell us anything about allophones, the knowledge of which could enable us to get rid of foreign accents as much as possible. It is too much in that it can represent more than one sounds (e.g., /ɔ/ in American and British English). To overcome these drawbacks, it should be introduced gradually with the allophones in the same environments. The correct vowel sounds should be introduced with the aid of pronunciation dictionary so that the students could get their own vowel quality. Moreover, the IPA symbol should be adopted for the English textbooks.

단어의 음성학적 특징을 이용한 한국어 기계 번역 데이터 세트 구축 방안 (Proposed Methodology for Building Korean Machine Translation Data sets Considering Phonetic Features)

  • 장칭하오;양홍진;김세린;권혁철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2년도 제3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592-595
    • /
    • 2022
  • 한국어에서 한자어와 외래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일상어의 경우 한자어와 외래어의 비중이 약 53%, 전문어의 경우 약 92%에 달한다. 한자어나 외래어는 중국이나 다른 나라로부터 영향을 받아 한국에서 쓰이는 단어들이다.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한자어와 외래어의 한글 표기과 원어 표기를 발음해보면, 발음이 상당히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자어인 도서관(图书馆)을 중국어로 발음해보면 thu.ʂu.kwan'로 해당 단어에 대한 한국 사람의 발음과 상당히 유사하다. 본 논문에서는 Source Length, Source IPA Length, Target Length, Target IPA Length, IPA Distance 등 총 5가지의 음성학적 특징을 고려한 한국어-중국어 한국어-영어 단어 기계번역 데이터 세트를 구축하고자 한다.

  • PDF

한국 학생들의 영어 철자 인지와 발화에 대한 훈련효과 (Training Effect on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Grapheme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 초미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226-233
    • /
    • 2019
  • 다섯 가지 미국 영어 모음 [ʌ, ju, ʊ, u, ə]으로 실현되는 영어 철자 를 어떻게 듣고 발음하는지 그리고 훈련의 효과는 어떠한지 살펴보기 위해서 31명의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철자 를 포함한 24개의 영어 단어들에 대하여 사전 시험-훈련-사후 시험의 형태로 인지와 발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전체적 결과를 살펴보면, 사후 시험에서 인지와 발화 점수가 모두 사전 시험보다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다섯 가지 모음 소리가 모두 향상된 것은 아니었다. 인지에서는 긴장 모음 [u]와 이완 모음 [ʊ]을 제외한 모음 소리들의 점수가 유의하게 상승되어서 훈련의 효과를 보였으며 발화에서는 [ʌ], [u], [ʊ]를 제외한 모음들이 훈련의 효과를 보였다. 이는 인지와 발화에서 모두 한국 학생들이 영어의 긴장 모음과 이완 모음의 차이를 구별하기 어려워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발화에서 이완 모음 [ʊ]를 한국어 [우]와 가장 비슷한 음향적 성질을 가진 긴장 모음 [u]로 대치하여 발음하는 오류를 우세하게 보였으며 [ʌ]의 경우에는 [u]-비슷한 소리들로 대치함으로써 철자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또한 인지와 발화 시험의 오류 유형을 통해서 목표 모음이 [t, d, n, s]같은 혀끝소리 뒤에서는 미국 영어에서 [j]-탈락이 일어난다는 것을 한국 학생들이 모르고 [j] 삽입하는 경우가 기회 수준이상으로 발생하였다. 반대로, 입술소리 ([p, b, f, v, m])나 연구개소리 ([k, g]) 뒤에서는 [j] 소리가 있지만 철자에는 구현되지 않아서 [j]를 탈락시키는 오류도 보였다. 본 연구의 발견점들을 바탕으로 교실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지도해야 할 교육적인 함축점도 논의하였다.

u-Health 시스템을 위한 음성신호 분석 기반의 간 기능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nitoring of Liver Function Based on Voice Signal Analysis for u-Health System)

  • 김봉현;조동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8B권6호
    • /
    • pp.389-396
    • /
    • 2011
  • 현대 사회에서 식습관의 변화, 스트레스, 음주 등으로 인해 다양한 간 질환이 발생되거나 악화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간 질환이 음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간 질환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간 질환자를 대상으로 입원했을 때와 치료로 인해 정상적으로 퇴원했을 때의 음성을 각각 수집하여 음성 분석 요소를 적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특히, 한의학적으로 간(肝)과 관련 있는 발음인 아음(牙音)에 대한 분석 실험으로 제3포먼트 주파수 대역폭과 발음 요소값을 적용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간 질환이 공명강과 발성에 미치는 영향을 객관적 지표로 출력하는 연구를 행하였다. 또한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u-Health 환경에서 간 기능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개의 높이가 한국어 모음 발음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palatal height on the Korean vowels)

  • 정보윤;임영준;김명주;남신은;이승표;권호범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69-74
    • /
    • 2010
  •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 남녀 유치악자를 대상으로 구개의 높이가 한국어 모음 발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발음, 청력 및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고 음성 관련 병력이 없는 23세부터 40세까지의 건강한 한국인 남녀 4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피험자들의 인상 채득 후 제작된 연구모형을 가지고 구개 폭과 깊이를 고려하여 피험자들을 구개 높이 정도에 따라 고, 중, 저 세 군으로 구분하였다. 피험자들에게 7가지의 한국어 모음을 발음하도록 하여 녹음하고, 음향학적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음들의F1 포먼트와F2 포먼트를 산출하였다. /ㅏ,ㅣ, ㅜ/ 세 모음의 평균 포먼트 값을 이용하여 모음 공간 삼각형을 작성하였다. 구개 높이에 따라 분류한 세 군 간에 포먼트의 차이와 모음 공간 삼각형의 면적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통계방법으로 Kruskal-Wallis 검정과 Mann-Whiteny U 검정이 사용되었다 (P< .05). 결과: 구개 높이에 따른 세 군 간에서는 /ㅣ/ 모음에서 F2 포먼트의 값만 차이가 있었고 (P = 0.003), /ㅣ/를 제외한 다른 모음에서 포먼트 값은 차이가 없었다. 평균 포먼트 주파수를 좌표값으로 이용한 모음 공간 삼각형은 세 군 모두 비슷한 모양을 나타내었고 면적은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96). 결론: /ㅣ/ 모음을 제외하고는 구강 내 해부학적 구조 차이가 존재해도 구개 높이에 따라 분류한 피험자간 모음의 발음차이가 없었고 발음명료도의 차이도 없어 구개 높이에 대해 혀의 보상작용이 어느 정도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