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rf quality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7초

수목 그늘 환경에서 블루그라스속.훼스큐속.라이그라스속 및 한국잔디의 내음성 비교연구 (Comparison of the Turf Performance of Bluegrasses, Fescues, Ryegrasses, and Zoysiagrass Under a Tree Shade)

  • 김경남;남상용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7-54
    • /
    • 1999
  • This study was initiated to evaluate the seasonal turf performance in a tree shade and to suggest shade-tolerant turfgrasses suitable for domestic climate conditions. Atotal of 21 trufgrasses were tested, comprising of Korean lawngrass, shade-tolerant fine fescues, and newly-developed, shade-tolerant varieties of cool-season grasses. Dirrerences in shade tolerance were observed among varieties, species, and genera. Overall turf performance of C3 turfgrasses was better than that of C4 Korean lawngrass under a tree shade. Coarse-type fescues were excellent in shade tolerance, bluegrasses good, ryegrasses medium, fine-type fescues fair, and zoysiagrasses poor, respectively. Inter-species comparison in relative index of shade tolerance(IRST) demonstrated that tall fescue and fough bluegrass were greatest of 7.3, Poa supina 6.4, perennial ryegrass 5.0, Kentucky bluegrass 4.8, and fine fescues least, respectively. A great variation in RIST was observed with fine fescues; creeping red fescue was 3.6, chewings fescue 2.5, hard fescue 2.1, and sheep fescue 1.4, respectively. Among 21 turfgrasses evaluated, tall fescue 'Rebel Jr.', 'Era', and 'Oixie' and rough bluegrass 'Sabre' were the shade-tolerant varieties under a tree shade in Korea. Tall fescue, 'Rebel Jr.' was considered as the most shade-tolerant variety in the experiment. Fine fescues as creeping red fescue, chewings fescue, hare fescue, and sheep fescue, used as the shade-tolerant species in a cool climate of Europe and North America, were not suitable under domestic climate conditions.

  • PDF

Olympic 주경기장 지반 상토층의 토양 물리성과 잔디 생육의 상관관계 (Correlation of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Growth of Turfgrass on the Ground of Olympic-mainstadium)

  • 김인철;주영규;이정호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1-40
    • /
    • 2002
  • 본 연구는 Olympic 주경기장 그라운드의 잔디 관리와 지반 구조 조사 및 잔디의 시각적 품질과 지반 경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지반의 이.화학성 분석을 하여 잔디 구장의 조성과 관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Olympic 주경기장의 토양경도 분포는 답압이 집중되는 goal line 지역과 center circle 지역에서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으며, 답압이 상대적으로 적은 end line 부근지역에서 낮은 경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토양 경도와 잔디 quality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토양의 경도가 높을수록 잔디의 quality에 악영향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깊이별 토양 경도는 상토층 하부로 갈수록 높아졌으며 답압 정도는 지표면의 토양 경도를 변화시키고, 하부 6cm까지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토층 토양의 화학성은 인산이 2,000ppm 내외(기군치 100~300ppm)의 과대치를 제외하고 는 일반적 기준치에 부합되었다. 토양의 입도분포는 silt와 clay 함량이 USGA 잔디 상토층 토양 기준치(silt 5% 이하, clay 3% 이하)보다 높아 토양 경직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Olympic 주경기장 잔디 그라운드는 초기 지반 공사시 정확한 시공이 되지 않은 점과 기술적 문제로 인한 하부 지반공사의 미비 등의 결점을 지니고 있다. 지반 경도는 잔디 생육에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정상적 잔디생육을 위하여 재시공에 의한 근본적인 토양 경화의 문제점을 해결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향후 건설될 잔디 경기장은 표준 시방에 맞게 설계, 시공되어 토양경직을 유발시키지 않아야 국제 규격에 맞는 잔디 그라운드를 건설할 수 있을 것이다.

저농도 SCB액비의 시용이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B(Slurry Compost ion and Biofilter) Liquid Fertilizer on Growth of Creeping Bentgrasss)

  • 함선규;김영선;김택수;김기선;박치호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1-10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퇴비단여과법(SCB)을 통해 생성된 액비의 골프장에의 적용가능성과 자연순환농업정책의 새로운 수요처로서 적합성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SCB가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생육과 토양특성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2008년 4월부터 10월까지 6개월간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비료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구(NF), 대조구(CF), SCB 1L와 2L를 처리한 S-1, S-2 등 4개 처리를 난괴법으로 수행하였다. 시비 후 엽색지수, 엽록소함량 및 잔디 생육량 등 잔디 생육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NF와 비교한 결과, 엽색지수는 CF, S-1 및 S-2에서 각각 1.8%, 1.8%, 3.3% 증가하였고, 엽록소함량은 13%, 14%, 20% 증가하였으며, 잔디의 총건물중은 CF, S-1 및 S-2에서 모두 18% 증가하였다. SCB 액비의 시비는 질소 시비량이 대조구의 1/2수준인 S-1은 대조구와 비슷하고, 질소시비량이 대조구와 동일한 S-2는 대조구보다 엽록소함량이 증가였다. 본 결과들을 통해 SCB 액비의 시비는 잔디 생육을 향상시키고, 골프코스관리에서 자연순환형농업을 통해 잔디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사포닌과 아미노산 함유비료의 살포가 크리핑벤트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효과 (The Growth Effects of Creeping Bentgrass by Application of Liquid Fertilizer with Saponin and Liquid Fertilizer with Amino Acid)

  • 김영선;함선규;이재필;황영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4-59
    • /
    • 2012
  • 본 연구는 사포닌과 아미노산 함유비료를 크리핑벤트그래스에 관주시비하여 잔디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복합비료를 대신하여 잔디관리에 이용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엽색지수, 엽록소지수, 건물중, 잔디밀도, 뿌리길이 및 잔디의 양분함유량을 조사하여 생육을 평가하였다. 시험 전후 토양분석결과, 처리구에 따른 토양화학성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아 SLF와 ALF의 시비가 골프코스의 토양화학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벤트그라스의 엽색지수와, 엽록소지수는 2SLF와 2ALF에서는 엽색지수와 엽록소지수가 CF와 비슷하거나 약간 높았고, 잔디밀도와 뿌리길이는 2SLF, ALF 및 2ALF에서 CF보다 높았다. 건물중과 잔디 중 질소와 칼리함량은 2ALF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잔디품질은 뿌리길이, 잔디밀도, 건물중 및 질소와 칼륨함량에 대해 고도의 상관성을 보였고(P<0.05), 잔디에 함유된 질소는 잔디밀도, 뿌리길이 및 건물중과 같은 잔디생육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P<0.05), 잔디에 함유된 칼륨은 잔디밀도와 건물중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P<0.05).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기능성물질이 함유된 비료는 복합비료를 대신하여 잔디관리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고, 기능성액상비료의 관주시비 시 질소와 칼륨이 잔디에 흡수되어 잔디 지상부 및 지하부생장과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잔디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농무성 NTEP(Nat'l Turfgrass Evaluation Program) 자료를 이용한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Huds.) 품종의 특성 평가 (Evaluation of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Creeping Bentgrass(Agrostis palustris Huds.) Cultivars Using NTEP Data)

  • 장덕환;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
    • /
    • 2007
  • 미농무성 NTEP의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기후에 적합한 creeping bentgrass 품종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벤트그래스 품종들 중에서 'L-93' 품종이 전체 평균 잔디품종 평가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특히 발아세 및 여름철의 피복율이 가장 높게 나왔다. 질감의 경우엔 'Penn A-1'과 'Penn A-2'가 높게 나왔지만 겨울철 내한성이 다른 품종들에 비하여 상당히 낮게 나왔다. 대취의 축적량은 잎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Penncross'를 비롯하여 'Pennlinks', 'Crenshaw', 'L-93' 품종들은 적은 반면, 잎 밀도가 높은 'Penn A'와 'Penn G' 계통의 품종들이 많았다. 이끼의 침입에 대한 저항성 정도는 'Penn A' 계통이 높았고 'Penncross' 품종은 가장 낮게 나타났는데, 이런 경향을 보인 것은 잎의 밀도와 시각적 잔디품질, 대취 축적량, 이끼 저항성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회색 설부병에 저항성을 보인 것은 'Penn A' 계통의 품종들이었으며 브라운팻취 내병성은 'Penncross'와 'Penn A' 계통이 높았다. 피시움병에서는 'Penncross', 'Pennlinks'가 높게 나왔다. 달라 스팟의 경우 'L-93'이 가장 높게 나와서 이 병에 대한 강한 저항성을 보였으나 피시움병에 대한 내병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각 골프코스에서는 지금까지 널리 알려진 'Penncross' 그린의 관리방식과 달리 골프코스에 식재된 bentgrass의 품종에 잔디관리 방식을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골프장 putting green 근권(根圈)에서의 이산화탄소 $(CO_2)$ 함유량 ([ $CO_2$ ] Content in Golf Green Rhizosphere)

  • ;;;옥창호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7-104
    • /
    • 2004
  • Putting green의 높은 이산화탄소 함량은 많은 골프장 관리자들에게 있어서 green 관리시 항상 난제로 여겨져 왔다. 무기성 토양은 green 근권(根圈:토양 중에서 뿌리의 영향이 미치는 범위)에서 이용 가능한 자유산소를 제한하며 그로 인하여 뿌리발달을 방해하며 잔디성장을 위한 영양분이 용도를 제지시킨다. 이 실험은 현 운영되는 골프장 (South illinois, Carbondale, U,S,A) 에서 선택 되어진 아홉 개의 green 에서 근권의 $CO_2$ 함유량과 잔디품질 (Turf qualify Index) 사이의 관계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행되어졌다. 아홉개의 putting green에서 각 green 의 다섯 곳의 소구획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1998년 8월 부터 1999년 8월 까지 일곱번의 반복으로 잔디품질, $CO_2$ 함유량, 수분함량과 수분 침투율 (Infiltration rate) 을 측정하였다. $CO_2$ 함유량은 이른 봄 보다 늦은 여름에 높았으며 $CO_2$ 함유량이 높아짐에 따라 잔디품질은 급격히 낮아졌다. 수분함량이 많을수록 $CO_2$ 함유량이 높았으며 반대로 수분 침투율은 낮아짐을 보였다. 높은 수분 침투율은 $CO_2$ 함유량을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알맞은 토양의 물리적 조건(수분 함량과 침투율)이 $CO_2$ 함유량과 잔디성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다. 잔디품질의 향상을 위해 putting green root zone의 알맞은 배수와 함께 근권의 공기 조건이 매우 중요함이 이 실험을 통해 조사되었다.

한국잔디에 한지형잔디 덧파종에 따른 잔디품질, 녹색기간 및 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ol-season Grass Overseeding on Turf Quality, Green Period and Turf Density in Zoysiagrass Lawn)

  • 한상욱;소호섭;최병열;원선이;이상덕;강창성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4호
    • /
    • pp.333-344
    • /
    • 2017
  • 본 연구는 녹색유지 기간이 6-7개월에 불과한 한국잔디로 조성된 잔디밭에 한지형잔디 종자를 덧파종하여 잔디밭의 녹색기간 연장, 잔디품질, 잔디밀도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처리내용은 대조구로 한국잔디(중엽형)를 포함하여 퍼레니얼 라이그래스($60g\;m^{-2}$)를 중엽형 한국잔디에 덧파종 처리와 켄터키 블루그래스($20g\;m^{-2}$)를 중엽형과 세엽형 한국잔디 '세밀'에 덧파종 처리를 두어 2014년 부터 2016년까지 조사하였다. 한국잔디에 켄터키 블루그래스 또는 퍼레니얼 라이그래스 덧파종으로 월동 전 2개월, 월동 후 봄철 녹화기에 1개월로 총 3개월 정도의 녹색기간 연장으로 품질유지 효과를 보였다. 퍼레니얼 라이그래스를 덧파종 하였을 때 발아 및 초기생장이 빨라 덧파종 후 2-3주만에 녹색기간 연장효과를 볼 수 있었으나, 고온 다습한 여름철 기간 동안에는 하고현상으로 품질 저하가 나타났다. 이에 반해 켄터키 블루그래스로 덧파종한 경우에는 발아 및 초기 생육이 느려 가을 파종시 당년에 뚜렷한 월동전 녹색기간 연장 효과를 볼 수 없었으나, 이듬해부터는 하절기를 포함하여 연중 안정적인 품질 및 녹색 유지 효과를 보였다. 세엽형 한국잔디에 켄터키 블루그래스 덧파종 처리가 중엽형 잔디 처리에 비해 균일도가 좋아 품질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덧파종은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의 하고현상 발생시기를 제외하고는 한국잔디의 잔디밀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덧파종한 한지형잔디의 피복률은 계절과 초종에 따른 변화를 보였고 약 30-80%의 피복률을 나타냈다. 본 시험결과 퍼레니얼 라이그래스는 덧파종 후 빠른 피복도와 뚜렷한 녹색기간 연장효과는 있으나 하절기 품질저하를 보였고, 켄터키 블루그래스 덧파종은 초기 생육은 느리나 연중 안정적인 품질유지가 가능한 특성을 보여 덧파종시 2종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기장 지붕의 막구조가 잔디생육에 미치는 광환경에 대한 영향분석 (Analysis of Light Environment to Turfgrass Growth under the Roof Membrane on Stadium)

  • 주영규;이동익;송규동;심규열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9-128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roof membrane on light environment that influence on turfgrass growth under domed stadium. Roof structure on experimental plot was constructed with PTFE and PE same as Busan Asiad Main Stadium. Tested turfgrass species were combinations of cool-season grasses(Kentucky Bluegrass, perennial ryegrass, $KBG80+PR20\%,\;KBG33+PR33+Fine fescue33\%)$ and warm-season grasses(zoysiagrass, 'An-yang middle-leaf, 'Zenith', Bermudagrass) established with seeding or sodding. The experimental set-up and research work were initiated November 1999 and finished on August 2000 at near Busan Asiad Main Stadium. By the result of computer simulation of daylight radiant energies on the turf surface were lower than needs of normal sport turf growth. The shortage of radiant resulted pest infection on cool-season grass mixture compared with warm-season. But turf color and density showed the best results on Kentucky bluegrass or its mixture plot. Over a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est quality of turfgrass growth was occurred on full sun area, and the next was under PTFE membrane.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lighting system may increase the turfgrass growth under domed stadium(partially) covered with roof membrane.

질소 및 가리 급원이 들잔디(Zoysia japonica Steud.)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trogen and Potassium Sources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Zoysia japonica Steud.)

  • 황규성;이용범;한동욱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0
    • /
    • 1991
  • The purpose of the experiment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nitrogen sources (urea, ammonium sulphate, ammonium nitrate) and potassium sources (potassium chloride, potassium sulphate)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Zoysia japonica Steu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t Seoul City University turf field from 1988 to 1989.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Urea and Ammonium sulphate resulted in superior clipping yield compared to ammonium nitrate. The growth of rhizome and stolon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urea forms, but ammonium sulphate treated plots exhibited the highest the growth rate of root. 2. Ammonium sulphate showed best turf color rating while ammonium nitrate resulted in the poorest. Prolongation of the green period showed longer in ammonium sulphate and urea treated plots than ammoium nitrate. 3. Urea and ammonium sulphate exhibited superior visible quality and shoot density compared to ammonium nitrate. 4. The uptake of mineral nutrient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with urea plots. Surface soil pH was allowed to become slightly acid with the ammonium sulphate and potassium sulphate treatments, while the application of N and K sources did not caus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neral element content in soil.

  • PDF

개량 가축분뇨발효액비의 시비주기에 따른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생육효과 및 양분흡수 (Growth Effect and Nutrient Uptake by Application Interval of Developed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DSCB) Liquid Fertilizer on Kentucky Bluegrass)

  • 함선규;김영선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362-369
    • /
    • 2014
  • 개량SCB저농도액비(DSCB)를 친환경적인 잔디관리에 이용하기 위하여 시비간격에 따른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엽색지수, 엽록소지수, 잔디생육, 양분흡수 및 이용율을 바탕으로 DSCB의 적절한 시비방법을 평가하였다. 시험을 위한 처리구는 무처리(NF), 대조구(CF), 15일 간격으로 시비한 DSCB 처리구 (DSCB), 30일 간격으로 시비한 DSCB처리구(2DSCB), 4월부터 60일 간격으로 시비한 DSCB처리구(4DSCB-1), 그리고 5월부터 60일 간격으로 시비한 DSCB처리구(4DSCB-2)으로 구분하였다. 잔디의 엽색지수는 DSCB와 2DSCB가 CF보다 높았고, 엽록소지수는 CF와 비슷하였다. 질소와 칼리의 흡수량 및 이용율과 예지물량은 2DSCB와 4DSCB에서 CF보다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종합할 때, DSCB는 월 1회 시비하는 것이 잔디의 양분흡수와 이용을 증가시켜 잔디생육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