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rf grass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6초

Performance of Three Warm Season Turfgrasses under Linear Gradient Irrigation

  • Ow, Lai Fern;Ghosh, Subhadip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1호
    • /
    • pp.61-66
    • /
    • 2017
  • The appropriate level of irrigation for turfgrasses is vital to the performance of the turfgrass as well as conservation of water. Linear gradient irrigation system (LGIS) facilitates long-term study of turf performance under continuous irrigation gradients at extreme ends of the irrigation scal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 determine the minimum irrigation requirements and relative drought resistance in three warm season turfgrasses; and b) evaluate the medium to long-term effects of irrigation levels on turf persistence, weed invasion, and susceptibility to diseases. Results suggest that grasses differed in drought resistance and persistence under variable irrigation regimes. Irrigation (Ep) required for consistent acceptable turf quality for respective grasses was Cynodon dactylon x C. transvaalensis (61%), Zoysia matrella L. Merr (73%), and Stenotaphrum secundatum 'Palmetto' (86%). Brown patch infection was most prevalent in Stenotaphrum secundatum 'Palmetto' at 12 and 125% Ep irrigation. Cynodon dactylon x C. transvaalensis and Zoysia matrella L. Merr were better able to adapt to the various irrigation regimes, and this ability allowed these species to resist drought, and maintain turf coverage which in turn, kept weeds and the occurrence of diseases at bay. Ranking these grasses for their drought tolerance abilities showed that Cynodon dactylon x C. transvaalensis had the most outstanding resistance against drought, followed by Zoysia matrella L. Merr, and lastly, Stenotaphrum secundatum 'Palmetto'. Despite having the highest irrigation requirement, Stenotaphrum secundatum 'Palmetto' was still not able to maintain persistence at high irrigation regimes. Likewise, this grass also lost turf coverage at low irrigation levels.

차광이 반지형 잔디의 여름철 하고현상 감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hade Net on Summer Stress of Cool-season Turfgrass)

  • 이재필;김석정;서한용;이상재;김태준;김두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1-64
    • /
    • 200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름철 고온다습 환경 하에서 축구장에 조성된 한지형 잔디의 하고현상을 줄이기 위해 차광이 한지형 잔디의 하고현상을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1999년 5월부터 2001년 8원까지 35% tall fescue+50% kentucky bluegrass+15% perennial ryegrass의 한지형 잔디로 조성된 건국대 포장에서 실험되었다. 한지형 잔디의 여름철 하고현상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차광률(0, 50%, 75%), 차광색(검정, 녹색), 차광 높이(잔디면 0cm 위, 잔디면 30cm위) 및 차광시간(오전 10시부터 5시가지 7시간만 차광, 24시간 차광)을 달리하여 처리하였다. 차광처리는 1999년 6월8일부터 매년 여름 기간 동안 차광하였고 실험구의 크기는 1.25m$\times$3m이며 3반복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대조구 온도가 30~35$^{\circ}C$일 때 처리구간의 잔디표면 온도 차이는 2~3$^{\circ}C$로 적었지만 4$0^{\circ}C$ 이상의 고온에서는 차광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6~13$^{\circ}C$ 정도 낮았으며, 검정차광이 녹색차광보다 온도를 더 낮추었다. 맑은 날 조도는 대조구가 66,700~95,200 Lux인 데 비해 50%와 75% 검정차광처리구는 대조구보다 40~94% 정도로 지나치게 차광되었다. 반면 50%와 75% 녹색차광처리구는 25~54%의 차광률을 보여 검정보다 녹색 차광막의 차광률이 낮게 나타나 한지형 잔디의 광합성 측면에서 볼 때 녹색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차광률 및 차광색은 50%와 75%의 녹색 차광처리구에서 엽색, 잔디면 품질, 예지물량과 지하부 건물중이 우수하였다. 반면 75% 검정색 차광처리구는 한지형 잔디를 심하게 도장시켰으려 그 후 고온과 과습은 한지형 잔디를 갈변 후 부패시켰다. 50% 검정 차광막으고 차광높이를 달리한 실험에서 잔디면 바로 위에 덮은 처리구는 장마 후 고온으로 한지형 잔디를 각변 후 부패시켰지만 30cm 높이로 띄운 처리구에서는 하고현상의 피해가 적었다. 타광시간에 있어 50% 검정 차광막으로 30cm 높이로 24시간 차광처리구와 0cm 높이로 오전 10시부터 5시까지 7시간 차광 처리구에서 한지형 잔디의 엽색, 잔디면 품질, 예지물 및 지하부 건물중의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이상을 요약하면 50%와 75% 녹색착광막을 우리나라 여름철 장마기 중 강한 햇볕으로 잔디 표면 온도가 갑자기 상승하거나 경기장 이용 후 한지형 잔디를 회복시키고자 할 때 오전 10시부터 5시까지 차광을 지속하변 한지형 잔디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을 유지 또는 촉진하며 하고현상감소를 위한 관리적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고 판단된다. 그러나 녹색타괌만은 검정차광막보다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적어 온도를 6~13$^{\circ}C$로 낮추고 조도를 50,000~60,000만 Lux를 유지할 수 있는 녹색+검정색이 혼합된 차광막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공원잔디공간의 『레크레이션』 수용능력에 관한 연구(I) -잔디에 미치는 답압의 영향 및 수용능력의 답압회수 기준설정- (A Study on the Recreation Carrying Capacity of Lawn Areas in Parks(I) -Estimation of treading times criteria based on the tolerence of the turf to treading pressure-)

  • 엄붕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3-68
    • /
    • 199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recreation carrying capacity of lawn areas in parks. Recreation carrying capacity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two parts,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and psychological carrying capacity. As the first part, this paper deals with the treading times criteria based on the tolerence of the turf to treading pressure. The plant material used for this study was Zoysia japonica, and the treading experiment was done in the experimental fields in Kyungju and Suwon, Korea. The major results of the first part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1. As shown in annual change of the growth of the turf, The growth of turt grass was represented by the number of leaf. 2. The tolerance to tread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time of treading treatment. And the tolerance varies depending on growth rate of grasses, which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recipitations. 3. From the result of different numbers of simulated treading treatment, the damage of the turf was increased by the increase of the frequency of treading. And the damage was very serious within short period(about 20 days) in high frequency(over 20 times/day) of treading treatment. But low frequency(1∼3times/day) of treading shows good effects on the growth of the turf. 4. The criteria of treading number per day for each carrying capacity level are estimated as 7 times/day for optimum carrying capacity, 13 times/day for standard carrying capacity, and 20 times/day for critical carrying capacity.

  • PDF

경기장 지붕의 막구조가 잔디생육에 미치는 광환경에 대한 영향분석 (Analysis of Light Environment to Turfgrass Growth under the Roof Membrane on Stadium)

  • 주영규;이동익;송규동;심규열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9-128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roof membrane on light environment that influence on turfgrass growth under domed stadium. Roof structure on experimental plot was constructed with PTFE and PE same as Busan Asiad Main Stadium. Tested turfgrass species were combinations of cool-season grasses(Kentucky Bluegrass, perennial ryegrass, $KBG80+PR20\%,\;KBG33+PR33+Fine fescue33\%)$ and warm-season grasses(zoysiagrass, 'An-yang middle-leaf, 'Zenith', Bermudagrass) established with seeding or sodding. The experimental set-up and research work were initiated November 1999 and finished on August 2000 at near Busan Asiad Main Stadium. By the result of computer simulation of daylight radiant energies on the turf surface were lower than needs of normal sport turf growth. The shortage of radiant resulted pest infection on cool-season grass mixture compared with warm-season. But turf color and density showed the best results on Kentucky bluegrass or its mixture plot. Over a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est quality of turfgrass growth was occurred on full sun area, and the next was under PTFE membrane.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lighting system may increase the turfgrass growth under domed stadium(partially) covered with roof membrane.

산림 내 묘지 지역의 곤충상에 관한 연구 (Insect Fauna of Cemetery Area in Forest from Korea)

  • 박진영;박종균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3-159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지역에서 유일하게 잔디가 식재되어 있는 집단묘지에서 출현하는 곤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11목 39과 77속 86종이 조사되었으며, 그 중 노린재목(Hemiptera)이 25종(29.1%)으로 가장 많은 종수를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딱정벌레목(Coleoptera)이 17종(19.8%), 메뚜기목(Orthoptera) 13종(15.1%), 나비목(Lepidoptera) 11종(12.8%), 잠자리목(Odonata) 5종(5.8%), 벌목(Hymenoptera) 4종(4.7%), 파리목(Diptera) 2종(2.3%), 바퀴목(Blattaria), 사마귀목(Mantodea), 집게벌레목(Dermaptera)이 각각 1종(1.2%) 순으로 조사되었다. 노린재목(Hemiptera)과 메뚜기목(Orthoptera)의 출현이 많은 것은 대부분 조사지의 식물상이 잔디와 더불어 서식하는 억새풀, 띠풀, 넝쿨딸기 그리고 가시박, 칡 등 키 작은 화본과 식물, 개망초, 바랭이, 호밀풀 등의 초본식물로 구성된 초지형태로 식식성 곤충들에게 적합한 서식처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조사지점별 분석에서 도로변과 인접하고 여러 가지 인공적인 영향(St. 1)으로 곤충의 다양성이 묘지 중앙이나 산림과 인접한 조사지(St. 2, 3)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다양성을 보였다. 비록 산림내에서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묘지지역이지만 잔디구역은 묘지잡초들과 더불어 잔디를 먹이원으로 하는 노린재목, 메뚜기목 곤충들 그리고 이 곤충들을 포식하기 위해 모여드는 사마귀, 딱정벌레류의 포식성 곤충 등, 묘지지역 역시 산림 속 하나의 조그만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결과 산림내 잔디지역의 곤충다양성은 주로 식식성 곤충 위주로 분포 되어 있었으며 향후 산림생태계 내에서 잔디지역을 유일하게 포함하고 있고, 인위적으로 잔디지역이 조성되며, 지속적으로 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잔디지역의 영향에 대한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및 산림생태계 및 산림다양성 연구에 이바지 할 것으로 사료된다.

야생화 도입 초지의 생육특성, 식생비율 및 동물상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Botanical Composition and Fauna Distribution of Wildflower Pasture)

  • 김득수;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33-246
    • /
    • 2001
  • 본 연구는 국산 야생화초지(Native wildflower p pasture: NWP, turf grass 6종 + 국산야생화 11종) 및 외국산 야생화초지(Introduced wildflower pasture; IWP, turf grass 6종 + 외국산야생화 9종)를 조성하여 계절별 개화시간, 개화지속 정도, 꽃의 색깔, 식생변화 및 초지에서의 동물상 등을 조사 분석하여 야생화초지의 개발에 필요한 초종 선발 및 구성, 혼파조합 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시험은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초지 시험포장에서 1997년 8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수행하였으며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야생화의 개화는 5월에서 9월까지 연속적으로 유지되었으며 꽃색깔은 비교적 다양하게 유지 되었다. 국내산 야생화의 경우 개화기간이 가장 긴 것은 벌노랑(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이었고, 원추리(Hemerocallis fulva), 범부채(Belamcanda chinenis),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등은 발아 및 정착이 느려 문제가 있었다. 외국산 야생화의 경우 국내산 야생화에 비해 초기생육 및 정착이 양호했으며, 꽃색깔도 화려하게 유지되었으나 기생초(Coreopsis tinctoria), 서양톱풀(Achillea millefolium), 원추천인국(Rudbeckia bicolor) 등은 초고가 크거나 강력한 지하경으로 우정되는 경향이었다. 2) 야생화 초지(NWP, IWP)의 적합한 turf grasses 는 계절별로 고른 식생을 유지한 tall fescue, perennial ryegrass, Kentucky bluegrass라 생각된다. 3) 국산 야생화초지의 식생분포는 톱풀(Achillea sibirica) > 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 패랭이꽃(Dianthus chinensis) > 질경이 (Plantago a asiatica) >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 제비꽃(Viola mandshurica) > 벌개미취(Aster koraiensis) > 얼치기완두(Vicia tetasperma) > 매듭풀(Lespedeza s st$\psi$ulacea) > 원추리(Hemerocallis fulva) 순이었다. 봄철과 여름철에는 톱풀이, 가을철에는 벌노랑이가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냈으며 계절별로 일정한 분포를 유지한 것은 민들레였다. 한편, 외국산 야생화초지는 서양톱풀(Achillea millefolium) > 기생초(Coreopsis tinctoria) > 끈끈이대나물(Silene armeria) > 금계국(Coreopsis lanceolata) > 원추천인국(Rudbeckia bicolor) > 서양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 수레국화(Centaurea cyanus) > 데이지( (Chrysanthemum leucanthemum) > 서양패랭이꽃(Dianthus petraeus) 순 이었다. 봄철에는 끈끈이대나물이, 여름철에는 서양톱풀이 가을철에는 기생초가 가장 높은 식생분포를 나타내었다. 3년 평균 총 야생화의 식생분포는 외국산 야생화초지가 국 산 야생화초지에 비해 2.27배 정도 높은 분포를 보여 다양한 국산야생화 초종도입과 선발 및 순도 높은 종자의 확보가 국산 야생화초지를 보급을 위해 우선적으로 선결해야할 과제라 하겠다. 4) 야생화 초지(NWP, IWP)는 관행 혼파초지나 하번초 혼파초지에 비하여 동물상이 다양하고 많게 분포되었으며 그중 외국산 야생화초지의 동물 개체수가 가장 많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야생화 초지는 봄부터 가을까지 야생화가 지속되었고, 양서류 및 곤충의 개체 수가 증가되었던 것으로 보아 야생화 초지의 공익적인 측면에서의 활용 가능성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고 하겠다. 그러나 국산 야생화초지를 널리 보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생 야생화의 생육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선발해야하고 재배증식을 통한 순도 높은 총자의 확보와 보급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aenibacillus elgii SD17 as a Biocontrol Agent Against Soil-borne Turf Diseases

  • Kim, Dal-Soo;Rae, Cheol-Yong;Chun, Sam-Jae;Kim, Do-Hyung;Choi, Sung-Won;Choi, Kee-Hy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328-333
    • /
    • 2005
  • Paenibacillus elgii SD17 (KCTC $10016BP^T$=NBRC $100335^T$) was recently reported as a new species. Based on its inhibitory activity to Thanatephorus cucumeris AG1-1, strain SD17 was further evaluated for its potential as a biocontrol agent against soil-borne diseases of turf grasses in Korea. P. elgii SD17 showed a broad spectrum of antimicrobial activity in vitro test and suppressed development of turf grass diseases; Pythium blight caused by Pythium aphanidermatum and brown patch caused by T. cucumeris AG1-1 on creeping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in the growth chamber tests. Under a condition for massive culture in a 5,000 L fermenter, P. elgii SD17 reached $6.4{\times}10^8$ spores/ml that resulted in approximately $1.0{\times}10^7$ cfu/g when formulated into a granule formulation (GR) using the whole culture broth instead of water. Using the GR formulation, biocontrol activity of P. elgii SD17 was confirmed. In the growth chamber tests, the GR formulation was effective against brown patch and Pythium blight with similar level of disease severity compared to each of the standard fungicides at the application rates of 10 g/$m^2$ or above. In the field tests, compared to each untreated control, the GR formulation also effectively controlled Pythium blight, brown patch and large patch at all the application rates of 5, 10 and 20 g/$m^2$, respectively, without significant response by the application rates. However its performance was inferior to each of the standard chemical fungicides.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sider this GR formulation of P. elgii SD17 as an effective biocontol agent to suppress Pythium blight, brown patch and large patch of turf grasses in Korea.

초지지붕에서의 시간경과에 따른 식생변화 (Changes in Plant Species on a Grass Roof over Time)

  • 이영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39-53
    • /
    • 2007
  • Unlike conventional roof landscaping, where various kinds of plants and structures are employed, a grass roof is a roof on which herbaceous plants are grown in planting medium and which is not accessed or maintained, mainly because it doesn't have sufficient load capacity to support a regular roof garden. They are mostly built on existing roofs, whether flat slab or gabled. Planting on roofs has numerous advantages, such as creating a biotope, purifying urban air, adding moisture to the atmosphere, storing rain water, preventing flash floods, reducing energy use for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enhancing the urban landscape and providing relaxation to the city dwellers, not to mention the alleviation of global warming by absorbing $CO_2$. In addition to the general merits of roof planting, the grass roof has its own unique qualities. Only herbaceous species are planted on the roof, resulting in light weight which allows roofs of existing buildings to be planted without structural reinforcement. The species chosen are mostly short, tough perennials that don't need to be maintained. These conditions provide an ideal situation where massive planting can be done in urban areas where roofs are often the only and definitely the largest space available to be planted. If roofs are planted on a massive scale they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alleviating global warming, heat island effects and energy shortages. Despite the advantages of grass roofs, there are some problems. The most significant problem is the invasion of neighboring plants. They may be brought in with the planting medium, by birds or by wind. These plants have little aesthetic value comparing to the chosen species and are usually taller. Eventually they dominate and prevail over the original species. The intended planting design disappears and the roof comes to look wild. Since the primary value of a grass roof is ecological, a change in attitude towards what constitutes beauty on the roofscape is necessary. Instead of keeping the roof neat through constant maintenance, people must learn that the wild grass with bird's nests on their roof is more beautiful as it is.

운동장의 피복 유형별 표면 및 대기온도 비교 (Comparison of Surface and Air Temperature depending on Cover Materials in Playground)

  • 이학형;권오경;신진희;;이광수;류승필;이동운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1호
    • /
    • pp.71-75
    • /
    • 2015
  • 운동장은 체육활동 공간으로 학생은 물론 일반인들도 자주 이용하는 시설로서 다양한 피복소재들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운동장에 다양한 피복소재들이 적용되어 있는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의 대운동장에서 피복 소재별(나지, 들잔디 식재지, 우레탄 트랙, 콘크리트 바닥면, 에폭시 바닥 처리, 인조잔디)에 따른 표면온도를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는 한국잔디의 녹화시기를 고려하여 5월부터 10월까지 지표면 온도와 지상부 1 m높이의 온도를 측정하였는데 각각 9시, 12시, 15시, 18시에 측정하였다. 지표면 온도는 피복소재 별과 조사 시간대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나지와 천연잔디에서는 전체 조사 시간대에서 가장 낮은 온도를 나타내었다. 온도가 높은 지역은 조사시간대별에 따라 차이를 보여 우레탄 트랙과 인조잔디에서는 12시와 15시 조사에서 온도가 가장 높았고, 콘크리트와 에폭시 바닥면에서는 18시 조사에서 가장 높은 온도를 보였다. 지상 1 m 높이의 온도는 조사지역별 온도의 차이는 지표면에 비하여 현저히 적었으나 18시 조사를 제외하고, 모든 조사 시간대에서 인조잔디 지역의 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운동장에 들잔디와 같은 난지형 천연잔디도 지표면과 지상부 온도 상승 억제 효과가 있어 운동 경기자의 경기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야생화초지 혼파조합을 위한 몇 가지 잔디형 및 야생화 초종의 초기생육과 개화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arly Growth and Anthesis Characteristics of Some Turf Type Grasses and Wildflower Species for Mixture Combination of Wildflower Pasture)

  • 이병철;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73-182
    • /
    • 2007
  • 본 연구는 야생화 초지조성을 위한 잔디형 목초 및 야생화초종의 선정과 혼파조합구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탐색하고자 몇 가지 잔디형 목초와 야생화초종을 공시하여 초기생육, 경엽 및 근중, 건물수량, 개화특성 및 기호성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공시초종은 잔디형 목초 5종{Kentucky bluegrass(Midnight), tall fescue(Millennium), perennial ryegrass(Palmer III), redtop(Barricuda) 및 creeping bentgrass(Crenshaw)}과 야생화 11종{Chrysanthemum leucanthemum L., Coreopsis lanceolata L., Rudbeckia bicolor Nutt., Dianthus chinensis L., Chrysanthemum lindicum L.,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 Veronica linariaefolia Pallas, Aster koraiensis Nakai., Chrysanthemum zanadskii var. latilobum(Maxim.) Kitamura, Lythrum anceps Makino 및 Iris nertschinskia. Lodd}을 공시하였으며,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초지시험포장에서 2005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공시된 잔디형 목초 중에서 상대적으로 야생화와 혼파가능성이 큰 초종은 Kentucky bluegrass이었으며, Kentucky bluegrass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초기생육이 왕성하고 경엽과 근중이 높아 야생화초지를 조성하는 데 유리할 것으로 보이는 야생화는 Chrysanthemum leucanthemum L.,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ura 및 Lythrum anceps Makino 등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야생화는 꽃색, 개화시기 및 개화지속기간 등이 서로 중복되지 않았으며 가축에 의한 기호성도 대체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야생화초지의 조성을 위해서는 잔디형 목초는 야생화와의 경합력이 낮은 초종을, 반대로 야생화는 경합에서 유리한 초종을 선발하되 개화특성이 서로 다른 야생화를 다양화하여 혼파조합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