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na bon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6초

참치 뼈를 이용한 Hydroxyapatite 세라믹 복합체의 합성 및 생체 친화성(제3보) -인공체액에서의 Hydroxyapatite 세라믹 복합체간의 결합의 전자현미경 관찰- (Synthesis and Biocompatibility of the Hydroxyapatite Ceramic Composites from Tuna Bone(III) - SEM Photographs of Bonding Properties between Hydroxyapatite Ceramics Composites in the Simulated Body Fluid-)

  • 김세권;최진삼;이창국;변희국;전유진;이응호;박인용
    • 공업화학
    • /
    • 제9권3호
    • /
    • pp.322-329
    • /
    • 1998
  • 참치 뼈에서 추출한 hydroxyapatite를 출발물질로 여러 가지 세라믹 복합체를 제조하여 인공체액에서의 hydroxyapatite 복합체간의 화학결합을 조사하였다. Hydroxyapatite 복합체들은 인공체액에서 4주 후부터 화학 결합성질을 나타내었다. 결합강도는 bioglass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으며, 조성에 따른 의존성은 관찰할 수 없었다. 인공체액에서 복합체들은 이들의 경계면에서 불균일 핵생성 및 성장에 의해 화학적 결합으로 이루어졌다.

  • PDF

기능성 지질 추출 소재로서 Fish Frames의 지질성분 특성 (Lipid Characteristics of Fish Frame as a Functional Lipid Resource)

  • 김정균;한병욱;김혜숙;박찬호;정인권;최영준;김진수;허민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80-388
    • /
    • 2005
  • 수산가공 부산물인 fish frame을 기능성 지질 추출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6종의 fish frame(붉은메기, 연어. 삼치, 고등어, 붕장어, 가다랑어 등)에 대한 지질성분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Fish frame에 대한 어류 뼈의 수율은 가다랑어가 64.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연어(57.9%), 붕장어(54.6%), 붉은 메기(42.0%), 삼치(41.7%)등의 순이었으며, 고등어가 32.6%로 가장 낮았다. 어류 뼈 유래 총 지질 중 중성 지질의 함량은 삼치가 23.3g/100g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붕장어 (21.5 g/100 g), 연어 (16.0 g/100 g), 고등어 (15.5 g/100 g)의 순이었으며, 가다랑어와 붉은 메기의 경우 다른 4종의 어류에 비하여 확연히 낮았다. 붉은 메기를 제외한 5종 어류의 중성지질 모두가 근육 및 뼈 지방에 관계없이 TG가 주성분(근육지방, 71.9-83.2%; 뼈지방, 74.2-86.9%)이었고, 다음으로 근육지방의 경우, FFA(8.1-19.2%), 뼈지방의 경우 FS(5.5-l5.5%)이었다. 붉은 메기의 경우, 중성지질의 주성분인 TG의 조성비(근육지방, 48.6%; 뼈지방, 45.3%)가 다른 어류에 비하여 확연히 낮았고, FFA의 조성비 또한 근육지방(41.6%) 및 뼈지방 (43.4%)에 관계없이 모두 5종의 어류에 비하여 확연히 높았다. 어류 뼈의 중성 지질의 EPA+DHA 조성은 연어 가 29.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가다랑어(27.1%), 붉은 메기(27.0%), 고등어(25.7%), 삼치(21.6%)의 순이었고, 붕장어의 경우 14.9%에 불과하였다. 이상의 수율, 중성지질 함량, 유리지방산 조성 및 EPA+DHA 조성 비율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기능성 지질 추출원으로는 연어가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 삼치, 붕장어, 고등어, 가다랑어 등의 순이었으며, 붉은 메기의 경우 부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