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ber weight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6초

씨마 대량생산을 위한 수경재배 조건 연구 (Development of Hydroponic Culture System for Seed Tuber Production of Yam (Dioscorea opposita))

  • 이희선;김현준;박병재;박철호;장광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32-236
    • /
    • 2006
  • 1. 일장과 온도의 영향은 자연일장에서 괴경이 600mg, 9시간 단일에서 640mg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12시간 처리구, 15시간 처리구에서는 490, 500mg으로 일장이 영향을 미쳤다. 2. 배양액의 농도가 마의 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양액은 50% 용액에서 420mg으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3. 호르몬농도는 NAA100mg/L에서 560mg으로 무처리 및 다른 농도구에 비하여 가장 좋았다.

씨마 대량생산을 위한 수경재배시스템 연구 (Development of Hydroponic Culture Systems for Seed Tuber Production of Yam(Dioscorea opposita))

  • 장광진;이희선;김현준;박병재;박철호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7권1호
    • /
    • pp.47-54
    • /
    • 2005
  • 1. 일장과 온도의 영향은 자연일장에서 괴경이 600mg, 9시간 단일에서 640mg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12시간처리구, 15시간처리구에서는 490, 500mg으로 일장이 영향을 미쳤다. 2. 배양액의 농도가 마의 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양액은 50% 용액에서 420mg으로 다른 구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호르몬농도는 NAAl00ppm에서 560mg으로 무처리 및 다른 농도구에 비하여 가장 좋았다.

올방개(Eleocharis kuroguwai Ohwi)의 생장(生長)과 괴경형성(塊莖形成)에 미치는 환경요인(環境要因)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Growth and Tuber Formation of Eleocharis kuroguwai Ohwi)

  • 구연충;정승근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4-54
    • /
    • 1993
  • 올방개의 생육(生育) 및 괴경형성(塊莖形成)에 미치는 영향(環境)을 검토(檢討)하고자 온도(溫度), 일장(日長), 차광(遮光), 파종시기(播種時期), 수심(水深) 그리고 괴경(塊莖)의 크기 및 예취시기(刈取時期)를 달리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주야온도(晝夜溫度)가 높은 25/$20^{\circ}C$에서 초장(草長)이 크고 경수(莖數)가 많았으며 건물중(乾物重) 및 괴경수(塊莖數)도 많았다. 지상부의 질소함량(窒素含量)은 주야온도(晝夜溫度)가 낮은 20/$15^{\circ}C$에서 높았으나 인산(燐酸) 및 가리함량(加里含量)은 낮았으며 3요소(要素) 흡수량(吸收量)은 주야온도(晝夜溫度)가 높은 25/$20^{\circ}C$에서 많았다. 2. 초장(草長)은 수온(水溫), 경수(莖數) 및 건물중(乾物重)은 기온(氣溫)의 영향(環境)을 더 크게 받으며 지상부(地上部)의 3요소(要素) 함유율(含有率) 및 흡수량은 기온(氣溫) 및 수온(水溫)의 차가 큰 18/$28^{\circ}C$ 및 28/$18^{\circ}C$에서 높았다. 3. 괴경수(塊莖數) 및 괴경중(塊莖重)은 기온(氣溫)의 교차(較差)가 큰 18/$28^{\circ}C$ 및 28/$18^{\circ}C$에서 많고 무거웠으며 저기온(低氣溫)/저수온(低水溫)(18/$18^{\circ}C$) 및 고기온(高氣溫)/고수온(高水溫)(28/$28^{\circ}C$)에서는 괴경형성(塊莖形成)이 저해(沮害)되었다. 4. 괴경(塊莖)은 8시간(時間) 및 12시간(時間)의 단일(短日)에서는 형성(形成)되었으나 16시간(時間)의 장일(長日)에서는 형성(形成)되지 않았다. 5. 괴경형성(塊莖形成)에 필요한 일장(日長) 감응시기(感應時期)는 출아후 30-45일 그리고 단일처리(短日處理)의 유도기간(誘導其間)은 10일 이내이었다. 6. 차광처리(遮光處理)에 의해서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生育)은 억제(抑制)되었으며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이 많을수록 초장(草長) 경수(莖數) 및 지상부 건물중(乾物重)은 증가(增加)하였으나 괴경수(塊莖數) 및 괴경중(塊莖重)은 차이(差異)가 없었다. 7. 파종시기(播種時期)가 늦어질수록 괴경형성시(塊莖形成時) 까지의 일수는 단축(短縮)되었으나 초장(草長), 건물중(乾物重) 및 괴경수(塊莖數)는 감소(減少)하였다. 8. 담수심(湛水深)이 깊어질수록 괴경수(塊莖數)가 63-75% 감소(減少)하고 괴경중(塊莖重)도 가벼워지는 경향(傾向)이었다. 9. 파종시(播種時)의 괴경(塊莖)의 크기는 괴경수(塊莖數) 및 괴경중(塊莖重)에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10. 예취시기(刈取時期)가 늦어질수록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地下部)의 생육(生育)이 억제(抑制)되고 괴경수(塊莖數) 및 괴경중(塊莖重)이 감소(減少)하였는데 괴경수(塊莖數) 감소(減少)에 크게 영향(影響)을 미치는 예취시기(刈取時期)는 출아후 70일경이었다.

  • PDF

Effects of the applications of excessive irrigation water and acetaldehyde on Chinese yam tubers at byobusan area of Aomori prefecture in Japan

  • Kawasaki, Michio;Keimatsu, Ryo;Endo, Akira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47-247
    • /
    • 2017
  • Byobusan area of Aomori prefecture in Japan was a marshy sand dune and had developed for agricultural land use with a large-scale sprinkler system. Recently, it becomes an agricultural problem at this area that distinctive damage with browning maculation and fissures frequently occurs in Chinese yam tubers. Acetaldehyde is one of the factor candidates of underground part damage in plants. In this study, incidence rate of the tuber damage,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 and elemental composition of the damage parts in tubers were investigated with applications of excessive irrigation water or acetaldehyde water solution into the yam field. The incidence rate of the distinctive tuber damage increased as the input amount of irrigation water was increased. At the browning maculation parts of the tubers, many fissures and damages of cork layer were observed un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n addition, the periderm of tubers was significantly thicker in damaged parts than in non-damaged parts. Funguses, bacterium and nematodes were not observed in the damaged part un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weight ratio of each constituent element in an analyzed area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major essential elements was measured with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eight ratios of boron, carbon, phosphorus, sulfur and calcium were higher in damaged parts than in non-damaged parts whereas the weight ratios of oxygen and chlorine were lower in damaged parts than in non-damaged parts. It was also shown by this spectrometry that iron, cadmium, lead and zinc were not directly involved in occurrence of the tuber damage. In this study,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of tuber appearance between non-acetaldehyde and acetaldehyde application treatments.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hown that the damage would be a physiological disorder induced by the input of a large quantity of water in the sandy field.

  • PDF

토성에 따른 마 괴경의 특성과 수량 (Effects of Soil Texture on Tuber Characteristics and Yield in Dioscorea opposita Thunb)

  • 박상구;강동균;김영효;정상환;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9-93
    • /
    • 2000
  • 절편씨마를 이용하여 마를 재배할 경우 토성에 따른 괴경의 형태적 특성과 수량성의 차이를 단마 품종 '마1호'와 장마 품종 '안동재래종'을 공시하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토에서는 괴경의 길이가 짧고 분기의 발생이 많아 괴경의 모양이 좋지 않았다. 양토와 사양토에서는 사토에 비하여 분기 발생이 적어 괴경의 모양이 양호하였으며, 괴경의 생체수량은 단마가 $21{\sim}27%$, 장마가 각 6% 증수되었고 , 상마수량은 단마가 $45{\sim}55%$, 장마가 $20{\sim}22%$ 증수되었다. 식양토에서 단마는 괴경의 분지 발생이 다소 많았으며, 장마는 괴경의 굵기가 가늘고 만곡되어 모양이 좋지 않았다.

  • PDF

Trench 깊이가 마 괴경의 특성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enching Depth on Tuber Characteristics and Yield in Dioscorea opposita Thunb)

  • 박상구;강동균;김영효;정상환;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67-171
    • /
    • 1999
  • 마 재배에 있어서 트랜쳐를 이용한 심경재배 효과와 트렌치 깊이에 따른괴경의 형태적 특성 및 수량성의 변화를 자주식 보행형 트렌쳐인 "NF-827H"를 공시하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트렌처를 이용한 심경으로 마를 재배하면 관행 경운에 비하여 괴경의 크기가 커지면서 모양이 좋아지고 상품성이 높은 괴경의 수량이 크게 증가되었다 트렌치에 의한 심경재배 효과는 단마보다 장마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괴경의 크기와 모양 및 수량성을 고려할 때 단마는 60cm 이상, 장마는 80cm 이상으로 트렌치하는 것이 좋다.

  • PDF

감자 고랭지 재배 시 표고 및 파종시기에 따른 괴경의 비대반응 (Effects of Altitude and Planting Time on Tuber Bulking of Potato)

  • 김충국;옥현충;정진철;허온숙;서종호;정광호;김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18-423
    • /
    • 2012
  • 감자 괴경의 비대 반응을 해석하여 재배기술을 개선하고자 2005년에 표고별 괴경의 비대반응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관령(표고 800 m)과 진부(표고 600 m)에서 수미와 대서 2품종을 노지에서 시험하였다. 또한 파종시기별 괴경의 비대반응을 구명하고자 대관령(표고 800 m)에서 4월 19일부터 5월 19일까지 10일 간격으로 4시기에 노지에 파종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표고에 따른 비대반응을 보면 총 건물중은 표고 800 m에 비하여 표고 600 m에서 전 생육기간 동안 높게 유지되었으며, 생육초기인 7월 6일(파종 후 58일)에 증가 정도가 가장 컸다. 총 건물중이 최고에 달한 시기는 표고 800 m에서는 파종 후 110~112일이었으며, 표고 600 m에서는 파종 후 108~111일로 표고 및 품종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주당 괴경 건물중은 표고 800 m에 비하여 표고 600 m에서 7월 6일(파종 후 58일)은 적었으나 7월 21일(파종 후 73일) 이후부터는 높게 유지되는 경향이었으며, 2지역 모두 7월 6일(파종 후 58일)부터 8월 8일(파종 후 91일)에 주당 괴경 건물중의 증가정도가 컸다. 주당 괴경 건물중이 최고에 달한 시기는 표고 800 m에서는 파종 후 118~125일이었으며, 표고 600 m에서는 파종 후 118~124일로 표고 간에는 유사하였다. 괴경당 건물중은 표고 600 m에 비하여 표고 800 m에서 증가되었다. CGR은 표고 800 m에 비하여 표고 600 m에서 생육초기인 7월 6일(파종 후 58일)에 증가 정도가 가장 컸다. 파종시기별 괴경의 비대반응은 괴경 건물중(수확시기)은 총 건물중과 동일한 경향으로 수미는 4월 29일 파종 시 가장 증가되었으며, 대서는 수미에 비해 10일이 빠른 4월 19일 파종 시 가장 증가되었다. 괴경의 건물중은 6월 30일부터 8월 8일에 증가정도가 가장 컸다. 주당 괴경 건물중이 최고에 달한 시기는 4월 19일 파종 시는 파종 후 139~144일, 5월 9일 파종 시는 파종 후 121~126일, 5월 19일 파종 시는 파종 후 111~113일로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단축되었다.

수확시기와 야간온도가 유색칼라(Zantedeschia)의 구근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rvesting time and night temperature on tuber production of calla (Zantedeschia))

  • 남춘우;유동림;김수정;서종택;백기엽;이상규;윤무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4호
    • /
    • pp.271-276
    • /
    • 2013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tubers of Calla (Zantedeschia elliottiana 'Golden Affair' and 'Black Magic') in Korea highland. In vitro produced plantlets and tuberlets of Calla 'Golden Affair' and 'Black Magic' were planted plastic film greenhouse and grown for 100, 120, 140 days, with different night temperature treatments ($0{\sim}10^{\circ}C$ : no heating, 10, $15^{\circ}C$). In both cultivars, tuber size(tuber diameter, tuber height) and tuber weight increased with increasing cultivation period when the night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10^{\circ}C$. The largest tuber diameter in vitro produced plantlets was 5.8cm in 'Black Magic' and 3.2cm in 'Golden Affair', and daily tuber growth rate was 1.110g in 'Black Magic' and 0.092g in 'Golden Affair' under the culture conditions. Consequently we think that tuber harvest date was Oct. 30 and night temperature was $10^{\circ}C$ and no heating that was proper method of tuber production. However we had selection of $10^{\circ}C$ treatment for tuber production because it appeared freezing damage occasionally in highland late in October.

Effects of Application of Compost Made from Citrus Skin and Starch Sludge on Potato Growth

  • Kang, Bong-Kyoon;Han, Sang-Heon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25-331
    • /
    • 2006
  • The experiment fields consisted of five plots as follows; 2, 4, and $8\;tons{\cdot}ha^{-1}$ citrus skin in combination with starch sludge and pig manure mixing compost (CSSP), $4\;ton{\cdot}ha^{-1}$ fermented pig manure compost (FPMC) treated plot, and untreated control. Plant height and stem diamete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CSSP. Most of all, average tuber weight and tuber yield per plan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4 and $8\;tons{\cdot}ha^{-1}$ CSSP plots compared to the other plots. Marketable tuber (>50 g fresh weight) yield were superior in order of 4 and $8\;tons{\cdot}ha^{-1}$ CSSP plot, $4\;tons{\cdot}ha^{-1}$ FPMC plot, and $2\;tons{\cdot}ha^{-1}$ CSSP plot.

  • PDF

맥문동약침액(麥門冬藥鍼液)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흰쥐의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riopis Tuber Herbal-Acupuncture on Diabetes Mellitus Induced by Streptozotocin in Rat)

  • 박재영;박희수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99-130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riopis Tuber Herbal-Acupuncture on Diabetes Mellitus induced by streptozotocin in rat. Body weight, serum insulin, glucose,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free cholesterol and total protein were measured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 injected with Liriopis Tuber Herbal-Acupuncture solution at Pisu(BL20) respectively for 30 days. In order to study the effects of Liriopis Tuber Herbal-Acupuncture at Pisu(BL20) on Diabetes Mellitus induced by Streptozotocin in rat,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Normal group(non treated group), N.-Saline group(administration of injection with normal saline at BL20 in 30 days after streptozotocin injection), Control group(non treated group after streptozotocin injection), H. Acup. group (administration of Liriopis Tuber Herbal-Acupuncture at BL20 in 30 days after streptozotocin injection), and Acup. group (administration of acupuncture at BL20 in 30 days after streptozotocin injec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re wae no significant tendency to diminish the rate of weight loss in H. - Acup. group. 2.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re wae signiticant increase of serum insulin level in H. -Acup. group. 3.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re was decrease of glucose level in H.- Acup. group. 4.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re was decrease of triglyceride level in H. - Acup. group. 5.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rere wae increase of HDL cholesterol level in H. - Acup. group. 6.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of free cholesterol level in H. - Acup. group. 7.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re was Increase of total protein level in H. - Acup. group. According to above mentioned results, Liriopis Tuber Herbal-Acupuncture was expected to be effective in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and its co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