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ber formation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2초

올방개 지문무늬병균의 효과적 처리방법에 의한 올방개 제초효과 (Potential Appilication of Epicoccosorus nematosporus for the Control of Water chestnut)

  • 홍연규;조재민;엄재열;류길림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67-171
    • /
    • 1997
  • 올방개 지문무늬병균(E. mematosporus)의 접종농도, 처리회수, 올방개의 모령이 제초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온실에서 검정하였다. 포자현택액의 농도를 $10^{5}$ conidia/ml로 조정하여 분무접종하였을 때 15~20일 이내에 올방개 지상부 줄기의 82.6%~92.1% 정도가 고사하였으나, 그 이하의 농도에서는 제초효과가 53.7%이하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또한 지상부 줄기의 고사는 지하부 괴경형성에서도 영향을 미쳐, $10^{5}$ conidia/ml의 농도에서는 무처리나 $10^[3},\;10^{4}$ 농도의 처리에 비해 약 6~21배의 괴격형성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올방개 지문무늬평균 분생포자현탁액($6.3\;{\times}\;10^{5}$ conidia/ml)은 여러번 처리할수록 제초효과가 높았는데 2회 이상 처리했을 때 지상부 줄기의 고사율(93.8%)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고사하기까지의 시간도 단축되었으며 신초의 발생율은 1회 처리에 비해 2.5배 무처리에 비해 12배 감소시켰고 지하부 괴경형성도 1회처리에 비해 6배, 무처리에 비해 35배 억제하였다. 올방개의 모령에 따라서도 제초효율에 차이가 있었는데 신초 형성후 20일 되었을 때 처리하는 것이 줄기 고사율이 가장 높았고, 신초의 발생율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또한 지하부 괴경형성 억제력도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올방개 지문무늬병균의 최적처리의 포자량은 $10^[5}$ conidia/ml 이상, 1주일 간격으로 2~3회 처리하며 신초형성 20일 후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 PDF

활혈거어약물(活血祛瘀藥物)이 항혈관신생(抗血管新生)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effect of the herbs that invigorate and dispel blood stasis on Angiogenic inhibition)

  • 김성훈;심범상;최승훈;안규석
    • 대한한방종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37
    • /
    • 2001
  • Object When angiogenesis is excessive, Cancer, RA, Blindness, Psoriasis, Hemangioma, Diabetic retinopathy, Granulation, etc are induced. On the contrary, when it is insufficient, Stroke, Heart disease, Ulcer, Infertility, Scleroderma, artherosclerosis, delay of the wound recovery, etc occur. In recently, the methods which is control of abnormal angiogenesis are researching actively in relathion to anticancer research. This study is search for effective drugs which suppress this angiogenesis, in the ingredients of the herbs that invigorate and dispel blood stasis using to treat intravascular coagulation in the oriental herbal medicine. Methods We maked 80 % methanole extracts of Cnidii Rhizoma, Olibanum, Myrrha, Corydalidis Tuber, Curcumae Radix, Curcumae longe Rhizoma, Zedoariae Rhizoma, Salviae miltiorrhizae Radix, Polygoni cuspidati Rhizoama, Leonuri Herba, Persicae Semen, Carthami Flos, Trogopterorum Faeces, Achyranthis Bidentatae Radix, Manitis Squama, Eupolyphaga, Hirudo, Tabanus, Lycopi Herba, Artemisiae anomalae herba, Vaccariae Semen, Sappan Lignum, Gleditsiae Spina, Draconis Resina, Leonunari Semen, Selaginelliae Folium, Spatholobi Caulis, and these extracts were tested for MTT viabilaty test, BrdU incorporation, Tube foramtion assay on ECV304(immotaliz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at the concentration of $50{\mu}g/ml$, $100{\mu}g/ml$, $200{\mu}g/ml$, $400{\mu}g/ml$ Results All extracts except Draconis Resina have no cytotoxicity at the $100{\mu}g/ml$, and in BrdU incorporation test, proliferation rate were reduced below 60% at the concentaraion of $100{\mu}g/ml$ by Zedoariae Rhizoma, Sappan, Lignum Gleditsiae, Spina Draconis Resina Vaccariae Semen. Zedoariae Rhizoma Sappan Lignum Gleditsiae Spina Draconis Resina Vaccariae Semen Olibanum, Achyranthis Bidentatae Radix showed inhibition effects on tube formation of ECV304 at the concentration of $100{\mu}g/ml$. Conclusion At the concentration of $100{\mu}g/ml$ in which cytotoxicity is not found, Zedoariae Rhizoma, Sappan Lignum, Gleditsiae Spina, Vaccariae Semen showed the inhibition effect on proliferation and tubeformation of ECV304.

  • PDF

Anti-thrombic Properties of the Oriental Herbal Medicine, Daejowhan

  • Chang Gyu-Tae;Kim Jang-Hyu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391-1398
    • /
    • 2005
  • The anti-thrombic properties of the oriental herbal medicine Daejowhan(DJW, 大造丸) which consists of 11 kinds of herbs (indicated as ratio) of Rehmanniae Radix 24%, Hominis Placenta 5%, Testudinis Carapax 9%, Eucommiae Cortex 9%, Asparagi Radix 9%, Phellodendri Cortex 9%, Achyranthis Radix 7%, Liriopis Tuber 7%, Angelicae Sinensis Radix 7%, Ginseng Radix 5% and Schizandrae Fructus 3% were investigated. The water extracts from DJW inhibited Platelet-activating factor(PAF) induced platelet aggregation. DJW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nd further fractionated by ethylacetate. A 70% methanol extract showed a strong inhibition against PAF-induced aggregation in vitro and in vivo assays. The ethylacetate soluble fraction was shown to have inhibitory effect on PAF-induced platelet aggregation in vitro assay. The ethylacetate soluble fraction specially protected against the lethality of PAF, while verapamil did not afford any prote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water extracts and alcoholic-fractions inhibit the action of PAF in vivo by an antagonistic effect on PAF, so that it may be useful in treating disorders caused by PAF, such as acute allergy, inflammation, asthma, gastrointestinal ulceration, toxic shock and so forth. DJW was investigated regarding its assumed anti-thrombic action on human platelets which was deduced from its ability to suppress Arachidonic acid(AA)-induced aggregation, exocytosis of ATP, and inhibition of Cyclooxygenase(COX) and Thromboxane synthase(TXS) activity. The latter two effects were estimated from the generation of Prostaglandin $E_2(PGE_2)$ and Thromboxane $A_2(TXA_2)$ respectively. Exogenously applied AA ($100{\mu}mol/{\ell}$) provoked a $89\%$ aggregation of platelets, the release of 14 pmol ATP, and the formation of either 225 pg $TXA_2$ or 45 pg $PGE_2$, each parameter being related to 106 platelets. An application of DJW 5 min before AA dose-dependently diminished aggregation, ATP-release and the synthesis of $TXA_2$ and $PGE_2$ with $IC_{50}$ values of 74, 108, 65, $72{\mu}g/m{\ell}$, respectively. The similarity of the $IC_{50}$ values suggest an inhibition of COX by DJW as primary target, thus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TXA_2$ which induces aggregation of platelets and exocytosis of ATP by its binding on $TXA_2$-receptors.

벗풀에 대한 2,4-D, 2,4-D ETHYLESTER 및 BENTAZONE의 살초효과(殺草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Herbicidal effect of 2,4-D, 2,4-D ethylester and bentazone on Sagittaria trifolia)

  • 신현승;박태선;이인용;박재읍;류갑희;이정운;전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6-41
    • /
    • 1996
  • 본(本) 실험(實驗)은 논 난방제(難防除) 잡초(雜草)로 지적(指摘)되고 있는 벗풀에 대(對)한 2,4-D, 2,4-D ethylester 및 bentazone의 살초효과(殺草效果)와 효과적(效果的)인 사용법(使用法)을 밝히고자 수행(遂行)되었다. 1. 2,4-D와 2,4-D ethylester는 80일(日)까지도 벗풀에 대(對)하여 100%의 살초효과(殺草效果)를 나타내었으나, bentazone은 60일(日) 이후(以後) 처리(處理)에서 살초효과(殺草效果)가 감소(減少)되었다. 2. Bentazone은 생장점(生長點)으로 이행(移行)이 어려운 반면(反面), 2,4-D와 2,4-D ethylester는 생육후기(生育後期)임에도 지하부(地下部)의 생장점(生長點)으로 쉽게 이행(移行)되어 생장점(生長點)을 파양(破壤)하였다. 3. 2,4-D와 2,4-D ethylester는 3cm 담수구(湛水區)에서도 80일(日)까지 완전방제(完全防除)가 가능(可能)한 반면(反面), bentazone은 1cm 이상(以上) 담수구(湛水區)에서 효과(效果)가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다. 4 괴경현성(塊莖形成)에 있어서 2,4-D와 2,4-D ethylester의 한계(限界) 처리수준(處理水準) 및 시기(時期)는 각각(各各) 기준량(基準量)의 1/4량(量)인 7g ai/10a과 1/8량(量)인 6g ai/10a 60일(日)이었다.

  • PDF

감자절간 기내배양에서 소괴경의 형성과 형태적 발달 (Microtuberization and Morphological Development by Culture Condition In Vitro Node Culture of Potato)

  • 황혜연;이영복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331-338
    • /
    • 2007
  • 기내에서 배양되고 있는 감자 (Solanum tuberosum L.)로부터 액아와 완전히 전개된 잎이 부착된 약 1 cm 크기의 절간을 채취하였다. 절간의 잎은 제거한 후 온도, 일장, sucrose, CCC의 처리가 소괴경의 형성과 비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확인하기 위해 MS배지에서 배양을 하였다. 기내 소괴경의 형성에 있어 $20^{\circ}C$$28^{\circ}C$의 두 처리간에 있어 배양 80일 후에 형성된 괴경의 크기나 생체중 모두 $28^{\circ}C$에 비해 $20^{\circ}C$에서 유의성 있는 효과를 보였으며, 배지에 첨가되는 sucrose의 영향에 있어서도 농도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여 8% sucrose가 3% 보다 괴경의 비대 발육을 촉진하였다. 일장의 영향은 배지의 sucrose의 농도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20^{\circ}C$에서는 sucrose가 8%일 때 일장에 관계없이 괴경의 형성이 양호하였지만 sucrose의 농도가 3%일 경우에는 일장과 관계없이 액아는 신초로 발달하였다. 그러나 $28^{\circ}C$의 고온에서는 8% sucrose와 8시간의 단일에서만 괴경의 비대에 효과가 있었다. CCC의 영향에 있어서 괴경의 구중은 sucrose 농도가 8%의 배지에서는 모든 일장에서 괴경의 형성이 양호하였으며 일장이 짧을 수록 효과는 더 양호하였다. 배양온도에 따른 감자의 액아부위 세포의 조직학적 변화에 있어서는 저온조건에서 괴경이 형성이 촉진되어 세포의 조직은 신장생장보다 비후생장을 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일장조건에 따른 변화에 있어서는 암조건에서 조직의 비후 생장이 뚜렷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CCC의 첨가 유무에 따른 변화에 있어서는 CCC를 첨가한 조건에서 양호한 현상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조직의 변화에 있어서 배양한지 9일이 되었을 때 pith, cortex 및 perimedullary tissue에 있는 parenchyma 세포의 수와 크기가 증가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조직내 위치별 세포분열의 가시적 비율에서는 pith부위 보다 cortex부위에서 세포비후의 비율이 큰 것으로 보였다. Sucrose, CCC 및 일장차이에 따른 AGPase 활성의 변화에 있어서 암처리에서는 sucrose 농도 3%보다 8%에서 양호하였고 sucrose 3%, 8%에서도 각각 CCC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8시간 처리에서는 sucrose 농도 3%보다 8%에서 양호하였고 sucrose 3%, 8%에서는 CCC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16시간 처리 sucrose 농도 3%보다는 8%에서 양호하였고 sucrose 3%에서는 CCC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8%에서는 CCC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sucrose의 농도가 높고, CCC와 암처리의 괴경형성의 촉진조건에서 AGPase의 활성이 양호함을 볼 때, AGPase가 starch 합성에 중요한 물질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표식유전자를 이용한 담배와 감자의 원형질체 융합 (Protoplast Fusion of Nicotiana glauca and Solanum tuberosum Using Selectable Marker Genes)

  • 박태은;정해준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4권
    • /
    • pp.103-142
    • /
    • 1991
  • 표식 유전자를 이용하여 체세포 잡종체를 선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감자조직에는 T-DNA를 도입하여 식물호르몬 무첨가 배지에서도 생장가능한 형질전환체을 획득하고, 담배조직에는 NPT H gene을 도입하여 kanamycin에 대해서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체를 획득하여 각각의 특성구명과 원형질체를 유리하여 도입된 유전자 marker를 이용해서 융합을 시도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감자 괴경에서 Agrobacterium tumefaciens Ach5와 A. rhizogenes ATCC15834를 접종하여 crown gall tumor 및 hairy root를 유기하였으며 이러한 tumor조직은 식물 호르몬 무첨가 배지에서 생장이 가능하였다. 2. 감자에서 유기된 hairy root로부터 callus 형성은 2.4-D 2mg/1 첨가된 MS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casein hydrolysate 1g/1가 첨가하면 유연 한 callus의 증식이 더욱 왕성하였다. 3. Activated charcoal이 0.5~2.0g/1 첨가된 배지에서는 crown gall tumor callus의 절단면이 갈변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어 생존률을 높일 수 있었으나 hairy root에서는 갈변되어 고사되었다. 4. 2, 4-D 2mg/1와 casein hydrolysate 1g/1를 첨가한 배지에 hairy root callus를 현탁배의한 결과 양호한 많은 callus 덩어리들을 단시간에 얻을 수 있었다. 5. $Tri^-$parental mating으로 NPTII gene이 coding되어있는 binary vector인 pGA643을 wild type 및 disarmid된 Agrobacterium 내에 도입하여 Agrobacterium tumefaciens Ach5/pGA643, A.tumefaciens $A_4T$/pGA643, A. tumefaciens LBA4404/pGA643를 획득하였다. 이 세 개의 conjugant를 사용하여 0.7% agarose gel 상에서 pGA643을 확인하였다. 6. pGA643이 도입왼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와 담배 조직과 동시배양하여 kanamycin $100\mug$/ml 첨가된 배지에 생존하는 callus를 선발하였으며 동일배지에서 callus의 증식이 가능하였다. 7.형질전환된 담배 callus로부터 식물체 형성은 BA 2mg/1를 첨가한 배지에서 가능하였다. 8. 재분화된 담배의 엽조직은 kanamycin.이 $1000\mug$/ml 첨가된 MS 배지에서도 왕성히 callus가 유기되어, 이는 재분화체에서도 NPTII gene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9. 담배의 정상 shoot와 형질전환된 shoot를 kanamycin이 $100\mug$/ml이 함유된 MS배지에 기내삽목한 결과, 정상 shoot는 발근이 되지 않고 황화 되었으나 형질전환된 shoot는 발근이되었으며 정상적으로 생장을 하였다. 10. 감자의 T-DNA가 도입된 현탁배양 callus는 cellulase 2%, macerozyme 2%, dricelase 1%에서 양호하게 유리되었다. 11. Osmoticum으로서 mannitol 농도 0.8M에서 담배와 감자의 두 조직 모두 원형질체유리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생존력은 T-DNA가 도입된 감자의 hairy root를 callus로 탈분화 시킨 후 현탁배양한 callus가 mannitol 0.5M에서 97%를 나타냈고, 그리고 NPTII gene이 도입된 담배의 엽조직은 mannitol 0.7M에서 94%로 최고를 타나냈다. 12. 원형질체 융합은 PEG solution 처리 15분 후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여 20분에 완전히 융합되었고, 융합된 원형질체는 선발 marker인 호르몬 무첨가 및 kanamycin 첨가배지에서 배양 5일 후에 세포벽이 재생되었으며 4주일 후부터 colony들이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