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p2 gene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1초

효모, Saccharomyces cervisiae의 GAP 유전자를 이용한 발현 벡터계의 개발 (Construction of an Expression Vector System with the GAP Promoter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황요일;서애란;심상국;정동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68-574
    • /
    • 1991
  • 효모에서 대랑의 물질생산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먼저 여러 종류의 베터의 이용이 가능한 다양한 영양요구성 marker를 지니며 형질전환율이 향상된 효모숙주를 선별 개량하였다. 벡터의 제작에 사용되는 프로모터로는, 효모의 여러 유전자 중에서 그 활성이 매우 높은 해당계의 효소 GAP-DH의 구조 유전자 GAP를 이용하기로 하여, 효모염색체 DNA중에서 GAP 프로모터를 분리하여 이용하기 쉽게 변형하였다. 분리된 GAT promoter의 기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reporter로 APase의 구조유전자 PHO5'를 이용하여 세포내의 copy수가 상이한 발현 벡터를 제작하여 GAP 프로모터에 의한 APase의 활성 및 전사산물을 측정한 결과, 정상적인 전사가 이루어 졌으며, 효소활성도 높게 나타났으며, 벡터의 copy수에 의한 효소활성의 차이도 감지되었다.

  • PDF

Chronic progressive external ophthalmoplegia in a Saudi patient with a mutation in the POLG gene successfully managed with bilateral frontalis sling

  • Algahtani, Hussein;Shirah, Bader;Alsaggaf, Khalid;Al-Qahtani, Mohammad H.;Abdulkareem, Angham Abdulrahman;Naseer, Muhammad Imran;Abuzinadah, Ahmad R.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121-126
    • /
    • 2021
  • Chronic progressive external ophthalmoplegia (CPEO) is a complex slowly progressive mitochondrial disorder characterized by extraocular muscle weakness with or without multisystem involvement. The mainstay of therapy in a patient with CPEO is supportive. However, in moderate cases, surgery might be indicated including surgeries for ptosis and strabismus. In this article, we report a Saudi patient with CPEO due to compound heterozygous variants in the DNA polymerase gamma (POLG) gene c.2246T>C p.(Phe749Ser) and c.1735C>T p.(Arg579Trp), which are classified as pathogenic. Proper diagnosis with genetic testing confirmation is important to guide the management and counsel the patient about the prognosis and the management options. The patient was successfully managed with bilateral frontalis sling and illustrates the importance of surgical intervention to improve vision and cosmetic appearance in patients with CPEO.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ultidisciplinary care in the management of cases of mitochondriopathy, especially CPEO.

히솝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 (Antioxidant and Anti-Melanogenic Activities of Hyssopus officinalis Extracts)

  • 신서연;김하늘;강세원;조홍석;김은지;박선화;박경목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95-201
    • /
    • 2016
  • 히솝(Hyssopus officinalis)은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방부제, 기침, 거담제 등 일반적으로 방향족 허브와 약용식물로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및 미백소재의 개발을 위해 히솝을 열수와 주정으로 추출하여 각 추출물의 in vitro 상에서의 항산화 효과 및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를 평가하였다. DPPH와 ABTS assay 시험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히솝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히솝 추출물은 tyrosianse 활성을 저해시켰으며, B16F10 세포에서 UVB로 증가된 활성산소와 ${\alpha}$-MSH로 유도된 멜라닌 또한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멜라닌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RT-PCR을 실시한 결과 히솝 추출물에 의해 MITF, tyrosinase, TRP-2의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히솝 추출물은 미백개선을 위한 화장품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호알카리성 Bacillus sp. MB 809의 알카리성 아밀라제의 말단 아미노산 서열과 그 상동성 (Terminal Amino Acid Sequences of Alkaline Amylase from Alkalophilic Bacillus sp. MB 809 and Their Homology)

  • Moo, Bae;Kang, Kyung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5-178
    • /
    • 1993
  • Alkaline .alpha.-amylase expressed in the transformant, Baciollus subtills MB809, containing alkaline amylase gene cloned from alkalophilic Bacillus sp. AL-8, was purified through for step separation processes. The purified alkaline .alpha.-amylase had molecular weight of app[roximately 59, 000 daltons on SDS-PAGE and Sephaex G-100 gel filtration. Amino acid sequence of terminal portion of the enzyme was analyzed with pure amylase eluted form the SDS-PAGE gel.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 of .alpha.-amylase was determined by the Edman degradation method and resulted in $NH_{2}$-ser-thr-ala-pro-ser-(ile)-lys-ala-gly-thr-(ile)-leu. For C-terminal amino acid sequencing, purified .alpha.-amylase was digested with carboxypuptidase A and B, and reverse-phase HPLC gradient elution system resulted in -thr-trp-pro-lys-COOH.

  • PDF

The association between polymorphisms of ${\beta}$-adrenoceptors and preeclampsia

  • Lim, Ji-Hyae;Kim, Shin-Young;Park, So-Yeon;Yang, Jae-Hyug;Han, Jung-Yeol;Hong, Dal-Soo;Choi, June-Seek;Choi, Kyu-Hong;Ryu, Hyun-Mee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4권2호
    • /
    • pp.160-166
    • /
    • 2007
  • 목 적:아드레너직 수용체는 약물학적 분류에 의해 ${\beta}_1$-, ${\beta}_2$-, ${\beta}_3$ 아드레너직 수용체로 구분된다. 각 아류형 수용체의 유전자는 수용체의 기능에 영향을 주는 다형성들을 가진다(1 아드레너직 수용체: Ser49Gly, ${\beta}_2$ 아드레너직 수용체: Gln27Glu,${\beta}_3$ 아드레너직 수용체: Trp64Arg). 이번 연구의 목적은 자간전증에서 아드레너직 수용체 아류형 각각의 대립 유전자와 유전자형의 분포를 연구하고, ${\beta}$ 아드레너직 수용체들의 조합된 유전자형이 자간전증과 관계가 있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방 법:한국인 자간전증 임산부 159명과 정상 임산부 168명으로부터 DNA 추출을 위해 혈액 샘플을 수집하였다. 각 아류형 수용체들의 유전자형은 중합효소 연쇄반응과 제한효소 절단 절편의 길이 다양성에 기초한 유전자 검색법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결 과:${\beta}_1$${\beta}_2$ 아드레너직 수용체 유전자의 다형성 연구에서, 각 수용체 유전자들의 대립 유전자와 유전자형 분포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beta}_3$ 아드레너직 수용체 유전자의 돌연변이 대립유전자는 정상군보다 자간전증군에서 보다 빈번하게 나타났다(P<0.05, 위험도 1.57, 95% 신뢰구간 1.01-2.46). 더욱이 ${\beta}_3$ 아드레너직 수용체 유전자의 이형접합체는 정상군과 비교했을 때 자간전증군에서 증가하였다(P<0.05, 위험도 1.76, 95% 신뢰구간 1.06-2.92). 아류형 아드레너직 수용체들의 세 가지 다형성들을 조합하여 평가하였을 때, ${\beta}_1$${\beta}_3$ 아드레너직 수용체는 이형접합체이고 ${\beta}_2$ 아드레너직 수용체는 정상 동형접합체로 구성된 특별한 유전자형을 지닌 임산부는 자간전증의 위험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P<0.05, 위험도 3.01, 95% 신뢰구간 1.12-8.08). 결 론:아류형 아드레너직 수용체들의 조합된 유전자형(Ser/Gly, Gln/Gln, Trp/Arg)은 자간전증의 위험과 관계가 있었다.

  • PDF

효소적 갈변반응 생성물의 돌연변이 억제효과 및 유전자 수복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ntimutagenic Effects and Gene Repair of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 함승시;김성완;김영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32-639
    • /
    • 1990
  • 곰취, 참취 그리고 참나물로부터 polyphenoloxidase를 추출하여 polyphenol 화합물인 pyrogallol, hydroxyhyd-roquinone, catechol 그리고 3,4-dihydroxytoluene과 반응시켜 얻어진 12종류의 효소갈변반응 생성물의 생리작용을 검토한 결과 시료 모두 rec-assay, 돌연변이원성 실험 그리고 DNA 절단실험에서 돌연병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12종류의 시료 모두 S-9mix를 첨가한 Salmonella/microsomal 실험에서 $benzo({\alpha})pyrene(B({\alpha})P)$, 3-amino-1,4-dimethyl-5H-pyrido(4,3-b) indole(Trp-P-1) 그리고 2-aminofluorene(2-AF) 등 변이원 물질들을 강하게 억제시키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DNA repair 실험에서 효소갈변반응 생성물의 E. coli HB101에 plasmid pGA658의 transformation 빈도수는 곰취 효소갈변반응 생성물의 첨가에 의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transformation 전에 DNA와 효소갈변반응 생성물을 혼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 곰취의 pyrogallol, catechol, hydroxyhydroquinone의 효소갈변반응 생성물은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 PDF

Assessment of Biomarkers in Acetaminophen-Induced Hepatic Toxicity by siRNA

  • Kang, Jin-Seok;Yum, Young-Na;Kim, Joo-Hwan;Park, Sue-Nie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7권4호
    • /
    • pp.438-445
    • /
    • 2009
  • We investigated global gene expression from both mouse liver and mouse hepatic cell lines treated with acetaminophen (APAP) in order to compare in vivo and in vitro profiles and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the two systems. During our analyses of gene expression profiles, we picked up several down-regulated genes, such as the cytochrome P450 family 51 (Cyp51), sulfotransferase family cytosolic 1C member 2 (Sult1c2), 3-hydroxy-3-methylglutaryl-Coenzyme A synthase 1 (Hmgcs1), and several genes that were up-regulated by APAP, such as growth arrest and DNA-damage-inducible 45 alpha (Gadd45a), transformation related protein 53 inducible nuclear protein 1 (Trp53inp1) and zinc finger protein 688 (Zfp688). For validation of gene function, synthesized short interfering RNAs (siRNAs) for these genes were transfected in a mouse hepatic cell line, BNL CL.2, for investigation of cell viability and mRNA expression level. We found that siRNA transfection of these genes induced down-regulation of respective mRNA expression and decreased cell viability. siRNA transfection for Cyp51 and others induced morphological alterations, such as membrane thickening and nuclear condensation. Taken together, siRNA transfection of these six genes decreased cell viability and induced alteration in cellular morphology, along with effective inhibition of respective mRNA, suggesting that these genes could be associated with APAP-induced toxicity. Furthermore, these genes may be used in the investigation of hepatotoxicity, for better understanding of its mechanism.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a Troglobite Millipede Antrokoreana gracilipes (Diplopoda, Juliformia, Julida), and Juliformian Phylogeny

  • Woo, Hyung-Jik;Lee, Yong-Seok;Park, Shin-Ju;Lim, Jong-Tae;Jang, Kuem-Hee;Choi, Eun-Hwa;Choi, Yong-Gun;Hwang, Ui Wook
    • Molecules and Cells
    • /
    • 제23권2호
    • /
    • pp.182-191
    • /
    • 2007
  •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a troglobite millipede Antrokoreana gracilipes (Verhoeff, 1938) (Dipolopoda, Juliformia, Julida) was sequenced and characterized. The genome (14,747 bp) contains 37 genes (2 ribosomal RNA genes, 22 transfer RNA genes and 13 protein-encoding genes) and two large non-coding regions (225 bp and 31 bp), as previously reported for two diplopods, Narceus annularus (order Spirobolida) and Thyropygus sp. (order Spirostreptida). The A + T content of the genome is 62.1%, and four tRNAs ($tRNA^{Ser(AGN)}$, $tRNA^{Cys}$, $tRNA^{Ile}$ and $tRNA^{Met}$) have unusual and unstable secondary structures. Whereas Narceus and Thyropygus have identical gene arrangements, the $tRNA^{Thr}$ and $tRNA^{Trp}$ of Antrokoreana differ from them in their orientations and/or positions. This suggests that the Spirobolida and Spirostreptida are mo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an to the Dipolopoda. Three scenarios are proposed to account for the unique gene arrangement of Antrokoreana. The data also imply that the Duplication and Nonrandom Loss (DNL) model is applicable to the order Julida. Bayesian inference (BI) and maximum likelihood (ML) analyses using amino acid sequences deduced from the 12 mitochondrial protein-encoding genes (excluding ATP8) support the view that the three juliformian members are monophyletic (BI 100%; ML 100%), that Thyropygus (Spirostreptida) and Narceus (Spirobolida) are clustered together (BI 100%; ML 83%), and that Antrokoreana (Julida) is a sister of the two. However, due to conflict with previous reports using cladistic approache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Spirostreptida and Spirobolida.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의 Exon 5번에서의 새로운 다형성 연구 (A Missense Mutation in Exon 5 of the Bovine Growth Hormone Gene)

  • 윤두학;김태헌;이경희;박응우;이학교;정일정;홍기창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13-22
    • /
    • 2003
  • 성장호르몬 유전자는 하나의 작은 공통 선조 유전자로부터 아주 오랜 기간동안 유전자 중복에 의해 진화되어 온 그룹들 중의 하나이다. 이들에 속하는 유전자들은 동물 종간에 구조적인 상동성과 기능적 공통성 등 유사성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다. 이런 연구결과들을 근거로 하여 소 성장호르몬 유전자에서 아미노산을 암호화하는 영역으로부터 새로운 아미노산의 변이(missense mutation)를 검출하였고, 이 변이의 대립유전자 빈도는 소(cattle)의 종(species) 및 품종의 지리적 분포에 따라 일정한 경향 치를 보여 주었다. 한편 변경되어진 아미노산은 Tryptophan으로 이는 생물체에 존재하는 많은 단백질들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중에서도 그 출현빈도가 가장 낮은 것이다. 또한 검출된 변이는 성장호르몬이 그의 수용체와 강하게 결합하는 부위로서, 성장호르몬의 구조적 변이를 초래하여 수용체와의 결합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져, 이후 성장호르몬이 표적세포로의 신호전달과 같은 역할을 제대로 수행치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가축의 표현되어지는 경제형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대립유전자를 보유하는 개체는 집단에서 제거하는 방법에 의한 개량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모 추출물의 피부 미백 및 항산화 효과 연구 (Study on Skin Whitening and Antioxidant Effect of Anemarrhenae Rhizoma Extract)

  • 최찬헌;정현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67-74
    • /
    • 202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kin whitening and antioxidant effects of the Anemarrhenae Rhizoma extract (ARE). Following the previously studied method,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s of melanin synthesis and tyrosinase activity by using B16F10 cells. First, we measured the Diphenylpicrylhydrazyl (DPPH) assay,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to verifying antioxidant efficacy according to skin whitening. In addition, we confirmed the skin whitening efficacy of ARE by measuring gene expression associated with a skin whitening by th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method in B16F10 cells.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ARE has skin whitening and antioxidant effects at high concentrations. In particular, ARE at a concentration of 500 ㎍/ml inhibit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RP-2 (tyrosinase-related protein), and MITF (microphthalmia transcription factor) genes better than Arbutin. In conclusion, our results confirmed that ARE has the potential for development as a skin whitening efficacy sub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