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opoelastin (T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5초

Post-Transcriptional Control of Tropoelastin in Aortic Smooth Muscle Cells Affects Aortic Dissection Onset

  • Qi, You-Fei;Shu, Chang;Xiao, Zhan-Xiang;Luo, Ming-Yao;Fang, Kun;Guo, Yuan-Yuan;Zhang, Wen-Bo;Yue, Jie
    • Molecules and Cells
    • /
    • 제41권3호
    • /
    • pp.198-206
    • /
    • 2018
  • Aortic dissection (AD) is a catastrophic disease with high mortality and morbidity, characterized with fragmentation of elastin and loss of smooth muscle cells. Although AD has been largely attributable to polymorphisms defect in the elastin-coding gene, tropoelastin (TE), other undermined factors also appear to play roles in AD onset.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st-transcriptional control of TE by microRNAs (miRNAs) on elastin levels in aortic smooth muscle cells (ASMC). We found that miR-144-3p is a miRNA that targets TE mRNA in both human and mouse. Bioinformatics analyses and dual luciferase reporter assay showed that miR-144-3p inhibited protein translation of TE, through binding to the 3'-UTR of the TE mRNA. Interestingly, higher miR-144-3p levels and lower TE were detected in the ASMC obtained from AD patients, compared to those from non-AD controls. In a mouse model for human AD, infusion of adeno-associated viruses (serotype 6) carrying antisense for miR-144-3p (asmiR-144-3p) under CAG promoter significantly reduced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AD, seemingly through enhancement of TE levels in ASMC. Thus, our data suggest an essential role of miR-144-3p on the pathogenesis of AD.

DNA Microarray 분석을 통한 한우 부위별 특이 마커 유전자의 발굴 (Identification of Cuts-specific Myogenic Marker Genes in Hanwoo by DNA Microarray)

  • 이은주;신유미;이현정;윤두학;전태훈;이용석;최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4호
    • /
    • pp.329-336
    • /
    • 2010
  • 본 연구는 소의 부위별 근육에 특이하게 발현하는 유전자 마커를 발굴하여 소고기의 부위를 과학적으로 판명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표 아래 먼저 사태(Beef shank), 등심(Longissimus dorsi), 양지(Deep pectoral), 홍두깨(Semitendinosus) 부위의 근육조직에서 MSC (myogenic satellite cell, 근육줄기세포)를 순수 분리하고 이를 MFC (myotube-formed cell; 근관이 형성된 세포)로 분화시키거나 ALC (adipocyte-like cell; 지방세포와 유사한 세포)로 이형분화 시킨 후 3가지의 세포로 부터 각각의 RNA를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한 RNA는 24,000개의 bovine oligo-nucelotide (70 mer)가 집적된 microarray를 이용해 4개의 조직 중 1개의 조직에서만 MSC의 분화(MFC) 또는 이형분화 과정에서 mRNA의 발현이 증감을 보이는 유전자 135개를 먼저 발굴하였다. 135개의 유전자에 대해 microarray 분석에 사용한 동일한 RNA를 이용하여 real-time PCR 기술로 검증한 결과 총 29개의 유전자가 microarray 분석 결과와 유사함을 보였다. 29개의 유전자를 다시 4개 부위의 생체 조직에서 추출한 RNA를 이용해 real-time PCR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TS (thymi- dlyate synthase), TE (tropoelastin), RAD52(similar RAD52 motifcontaining protein 1), unknown gene), MLC2 (myosin light 2, regulatory cardiac, slow), TXNIP (thioredoxin-interating protein) 6개의 유전자만이 다른 부위에 비해 사태 부위에서 현저한 발현의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소 부위별 근육을 구분할 수 있는 과학적 기술의 토대를 확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