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smus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4초

하악골 복합 골절시 구내 열창부 상에 추가 절개 배농술을 이용한 단기간 가변적 악간고정 관리: 증례보고 (THE SHORT-TERM REMOVABLE INTERMAXILLARY FIXATION CARE BY USE OF AN ADDITIVE INCISION & DRAINAGE ON THE ORAL LACERATION WOUNDS ADJACENT WITH MANDIBULAR COMPOUND FRACTURES: REPORT OF A CASE)

  • 모동엽;유재하;최병호;김하랑;이천의;유미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260-264
    • /
    • 2010
  • Treatment of the mandibular fracture consists of reduction and fixation. The apparatus that is used to keep the jaws together during healing will often reduce the fracture as well. When the jaws are brought together and intermaxillary elastic rubber traction is placed, the occlusion of the teeth will help to orient the fractured parts into good position. Intermaxillary fixation, that is, fixation obtained by elastic bands between the upper & lower jaws to which suitable anchoring devices have been attached, will successfully treat most fractures of the mandible. Arch bars are perhaps the ideal method for intermaxillary fixation. Several types of ready-made arch bars are used. But, daily occupational life and oral hygiene is difficult to maintain during the period of longterm immobilized intermaxillary fixation (commonly 6-8 weeks), owing to malnutrition and emotional disorders in a position of the patient with mandibular fractures. Most mandibular fractures heal well enough to allow removal of fixation in about 6 weeks. Though there are many complications of mandibular fracture, such as infection, hemorrhage, trismus, paresthesia and nonunion, it is favorable to attain the short-term removable intermaxillary fixation care by use of an additive incision & drainage establishment on the oral lacerated wounds of adjacent mandibular compound fractures. The purpose of an additive incision & drainge establishment is the prevention of wound infection & nonunion by removing the hematoma & seroma in the fracture sites.

Benoist씨 장치를 이용한 소아의 하악 과두 골절의 치험례 (MECHANO THERAPY OF PEDIATRIC CONDYLAR FRACTURES USING BENOIST'S APPLIANCCE : A CASE REPORT)

  • 박상욱;차인호;김성오;최병재;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53-458
    • /
    • 2004
  • 소아에서의 하악 골절은 성인에서보다 드물다. 그러나, 어릴수록 강직과 성장장애의 가능성이 크며 성인만큼 악간고정을 잘 견뎌내지 못한다. 반면에, 골절은 소아에 있어 더 빨리 치유되고 합병증도 적다. 소아에서 하악 골절은 종종 하악의 acrylic splint therapy 단독 또는 eyelet wire 와 악간 고정을 같이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으로는 유착과 성장장애가 있다. 이러한 합병증의 빈도와 심각성은 좀더 짧은 기간의 악간고정과 긴밀한 술 후 관리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소아 환자가 악간고정을 잘 견디지 못하는 경우, 악간고정의 기간이 길어지는 경우, 환자의 자발적인 운동요법이 어려운 경우 악간고정이 불필요하고 개구장애 만을 일으킨 미약한 증상의 경우에는 동기부여에 의한 물리적 하악 운동요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종례에서는 하악정중부의 외상으로 인하여 양측성 과두 골절이 일어난 6세 여자 환아를 대상으로 상, 하악에 elastic을 이용하여 하악의 개구, 측방, 전방운동에 대해 훈련을 가능하게 하는 Benoist씨 장치를 이용한 능동적 하악 운동 요법으로 7개월 간의 정기 검진을 통하여 하악 운동량의 증진 과두 유착의 방지, 골개조의 치료효과를 보였다.

  • PDF

개구장애를 동반한 피부근염 환자 증례 (A Case Report: Limitation of Mouth Opening in Dermatomyositis)

  • 김혜경;김기석;김미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5권2호
    • /
    • pp.155-163
    • /
    • 2010
  • 피부근염은 특발성의 염증성 결합조직 질환으로서 점진적인 근육의 쇠약과 특징적인 피부 발진의 증상을 보이는 전신적 자가 면역 질환의 일종이며 근력 약화와 함께 나타나거나 흔히 선행하는 특징적 발진에 의해 진단된다. 가장 특징적인 피부증상은 상안검의 부종과 함께 나타나는 푸르면서 보라색 발진인 heliotrophic rash, 안면부와 상부 흉부의 넓적하고 붉은 발진 (flat red rash), 피부의 인설(scaling)현상을 나타내는 손가락 관절(knuckle)부위의 두드러진 Gottron's papules (violaceous scaly eruption)등 이다. 근육 증상으로 주로 근위부 사지 근육의 약화를 동반한 근육의 염증성 및 퇴행성 변화를 보인다. 피부 근염은 종종 소화기계 (gastrointestinal tract)와 호흡기계 (respiratory system)를 침범하며 15%~25%에서 악성변화를 보인다. 치료는 피부증상뿐 아니라 근육 증상도 악화시킬 수 있는 자외선에 대한 노출을 피하고 일차적으로 전신적 corticosteroid를 사용하며 증상이 심하거나 steroid에 반응이 없을 때 다른 면역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피부근염에서 안면근은 침범되지 않으며 저작근의 이환 역시 거의 없다. 본 증례를 통해 피부근염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개구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근경축과 유사한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피부근염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구장애는 회복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점진적으로 개구량이 줄어드는 것을 막고 정상적인 개구량을 확보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개구운동 등의 치료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편도암의 수술적용 형태에 따른 치료효과 - 광범위 편도절제술과 복합 편도절제술의 비교 - (Treatment Results of Tonsil Cancer : Comparison of Extended Tonsillectomy with Composite Resection)

  • 주형로;한승훈;권기환;정광윤;최건;최종욱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5-39
    • /
    • 1999
  • Objectives: The treatment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tonsil remains controversial. Surgery or radiation therapy alone is effective in treating early tonsil cancer, but results with single treatment modality in advanced disease have been disappointing. We retrospectively analyzed 37 patients with advanc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tonsil for two treatment modalities in an effort to identify more efficacious therapeutic options. Materials and Methods: From 1990 through 1997, 37 patients who were treated primarily with surgery, were retrospectively sudied. The patients were group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method of treatment, extended tonsillectomy followed by irradiation and/or postradiation neck dissection(Group I) and a combination of composite resection and postoperative radiation(Group II). Results: The three year disease-tree survival in patients with stage IV lesions was 59.09% for the Group I patients, and 56.25% for the Group II patients.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775). The primary tumor recurrence rate in Group I was 16.7% in contrast to 23.1% for Group II. The local recurrence rate in the neck was 16.7% for the Group I patients and 23.1% for the Group II pati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recurrences in the primary or neck in the patients treated with extended tonsillectomy or composite resection(p=0.639). Fistula formation and aspiration occurred in four patients after composite resection. Additionally, there were three trismus, one soft tissue necrosis, and one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Major complications were not observed in the patients treated with extended tonsillectomy and irradiation: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was observed in eight patients and soft tissue necrosis in two patients. Conclusion: Extended tonsillectomy followed by irradiation may be an effective therapy with low morbidity in selected patients with tonsil cancer.

  • PDF

Thermo-splint를 이용한 불안정한 관골궁골절에 대한 효과적인 고정방법 (The Effective Reduction Method of Unstable Zygomatic Arch Fracture with Thermo-Splint)

  • 김순흠;이수향;최현곤;신동혁;엄기일;송우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1호
    • /
    • pp.110-115
    • /
    • 2008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ective management of unstable zygomatic arch fracture. The reduction methods of arch fracture were relatively simple but the maintenance of reduction state is very troublesome. On this, authors introduce an effective management method of unstable zygomatic arch fracture. Methods: Authors experienced 23 cases of unstable segmental zygomatic arch fractures and used Thermo-splint in all cases. All the arch fractures were reduced through Gillies' approach under the general anesthesia. After the reduction, the most effective suspension points were marked on the covering skin of the fractured arch. A needle of heavy nonabsorbable suture material was inserted toward the marking site under the reduced zygomatic arch. And then Therm-splint was dipped in the hot water, and we got the splint pattern of patient face. Reshaped Thermo-splint was trimmed and fixated with previous suspension suture materials. More additive suspension was done if necessary. The splint was applied for in two to three weeks postoperatively. Results: In all the cases, good cosmetic and functional results were observed without severe complications. There were 4 cases of incomplete reductions but they also had no specific problems. There were no facial nerve symptom and scar(stitch mark). Postoperative slight tenderness and trismus were completely subsided after removal of the splint. Conclusion: The Thermo-splint safely protect and maintain the postoperative reduction state. The application, maintenance and removal were easy and simple. It could be reformed to any contour of face and had enough rigidity for supporting. Above all these things, effective prevention of displacement and easy manipulation were significant merit. Authors experienced good results with Thermo-splint, and would introduce it for another method of management of zygomatic arch fracture.

이갈이의 진단 및 치료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Bruxism)

  • 권정승;정다운;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1호
    • /
    • pp.87-101
    • /
    • 2012
  • 이갈이는 이를 갈거나 악무는 것을 포함하는 부기능적인 행위를 말하며 광범위하게는 주간 및 야간에 나타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이갈이의 원인으로는 기본적으로 말초성 요인과 중추성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중추성 요인이 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갈이는 교모, 치경부 미세파절, 교근 비대, 교근 및 측두근의 통증, 턱관절의 통증 및 움직임의 제한, 치아 및 수복물 파절, 치수염, 외상성 교합 등을 유발 할 수 있고 특히 이악물기의 경우 협점막 압흔이나 협점막 백선 또는, 혀의 측면에 압흔 등을 유발한다. 이갈이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 구강내 장치, 근전도, 수면다원검사 등을 이용하며 미국수면장애학회의 경우 이갈이의 임상 진단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갈이의 명확한 원인이 밝혀져 있지 않기 때문에 치료법의 선택은 신중하여야 한다. 이갈이가 중등도 이상이고 임상 증상이나 징후를 유발하는 경우에 이갈이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위험 요인의 조절, 구강내 장치, 보툴리눔 독소 주사, 약물 치료, 바이오피드백 등이 있으며 구강내 장치 요법이 현재로서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다. 이갈이 치료와 교근비대에 대한 심미적인 개선을 같이 원하는 환자에서는 보툴리눔 독소 주사 요법이 이용될 수 있다.

구개편도염과 편도주위농양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Tonsillitis and Peritonsillar Abscess)

  • 최창만;이병화;오대식;양철민;채규학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93-301
    • /
    • 1997
  • The tonsillitis has long been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 in the otolaryngologic field. Peritonsillar abscess occurs when bacterial infection of the tonsil spreads to the potential peritonsillar space deep behind the tonsil, and it usually occurs in patients with recurrent tonsillitis or in those with tonsillitis who have been inadequately treated. We studied retrospectively 71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as acute tonsillitis and 82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as peritonsillar abscess and had admitted in our department of the Ulsan Dong Kang Hospital from January, 1995 to September, 1997. Especially in the bacteriologic studies, we compared acute tonsillitis and peritonsillar abscess with chronic tonsillit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sex distributions of acute tonsillitis were 47 males(66%) and 24 females(34%) cases, but 57 males(70%) and 25 females(30%) in cases of peritonsillar abscess. There were predominant in male and frequently affected in second and third decades in 53 cases(76%) of acute tonsillitis and 56 cases(68%) of peritonsillar abscess. 2) It was same found in each season. 3) The duration from onset of symptom to visit in our department was 3.92 days in cases of acute tonsillitis and 5.95 days in cases of peritonsillar abscess in average 4) The major symptoms were sore throat, swallowing difficult. And others were fever, fatigability, dysarthria, trismus, headache, otalgia. 5) Among the 71 cases of acute tonsillitis and 82 cases of peritonsillar abscess, most temperature of patients at visit were 36.6-37.5 $^{\circ}C$ in each 36 cases(51%), 57 cases(70%). 6) In each disease, 35 cases(47%), 45 cases(75%) consisted of single infection and 39 cases(53%), 15 cases(25%) consisted of mixed infection. In acute tonsillitis, 111 strains were isolated from 74 cases, the most common strain was 69 strains(62.2%) of $\alpha$-hemolytic streptococci. In the peritonsillar abscess, 77 strains were isolated from 60 cases, the most common strain was 49 strains(63.6%) of $\alpha$-hemolytic streptococci. In chronic tonsillitis, 563 strains were isolated from 382 cases, the most common strain was 334 strains(50.3%) of $\alpha$-hemolytic streptococci. 7) In acute tonsillitis and peritonsillar abscess, the most common leukocyte levels were reported with 10, 000-15, 000/$\mu$L in 23 cases(32%). The CRP levels were reported with abnormal findings in 61 cases(97%), 63 cases(95%) above 0.3 in each cases.

  • PDF

소아 심경부 농양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deep neck abscess in children)

  • 이수정;신미용;김창휘;고윤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4호
    • /
    • pp.363-368
    • /
    • 2007
  • 목 적 : 소아 심경부 농양은 항생제 치료가 보편화되고 구강 위생이 향상되어 감소하는 질병으로 생각되었으나, 최근 발생 빈도가 다시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몇 년간의 소아 심경부 농양 사례들을 분석하여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순천향 대학교 부속 부천 병원에서 2001년 2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임상증상과 경부 CT 및 경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심경부 농양으로 진단받은 16세 이하 30례의 소아를 대상으로 임상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발생 연령은 평균 9세(2세-16세)였으며 11세 이상이 14례(46%)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남녀 비는 19:11이었다. 편도주위 17례(57%), 인두후부 9례(30%), 인두주위 공간 4례(13%) 순서로 발생하였다. 선행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11례(37%)였으며, 밝혀진 원인으로는 상기도 감염이 10례(33%), 치성감염 4례(14%)였고, 그 외 경부림프절염 3례(10%)와 부비동염 2례(6%)가 있었다. 치성감염이 선행 원인이었던 4례는 모두 인두주위 농양이었고, 부비동염과 연관되어 발생한 2례는 모두 인두후부 농양이었다. 임상 증상은 발열 16례(53%), 인후통 15례(50 %), 경구 섭취 저하 10례(33%), 연하곤란 8례(27%), 경부통증 8례(27%)의 순이었다. 진찰 소견은 편측 편도비대 및 전위가 15례(50%)로 가장 흔하였고, 압통을 동반한 경부종창 13례(43%), 경부강직 3례(10%) 및 개구장애 3례(10%)가 있었다. 농양의 세균배양 검사를 실시한 10례 중 8례에서 균이 동정되었고, 연쇄상구균이 7례, Micrococcus luteus 1례였다. Micrococcus luteus 1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penicillin G에 감수성을 보였다. 12례(40%)에서 항생제와 함께 외과적 처치를 병용하였으며, 나머지 18례(60%)에서는 항생제만을 사용하였다. 이 두 군 간에 입원 기간과 항생제 투여 기간에 차이는 없었으며, 전례에서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는 없었다. 결 론 : 소아 심경부 농양은 편도주위 농양이 가장 흔하였다. 밝혀진 선행 원인으로는 상기도 감염이 가장 흔하였으며, 치성감염, 부비동염도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주로 발열, 인후통, 경부 통증 등으로 발현하였고, 기도 폐쇄 증상을 보인 경우는 없었다. 원인균은 연쇄상구균이 대부분을 차치하였다. 60%에서 항생제 투여만으로 치유 가능했던 것으로 미루어 소아 심경부 농양은 조기 진단만 된다면 항생제만으로 치료가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소아청소년에서의 심경부 농양에 대한 임상적 고찰: 두 기관에서 도출된 10년간의 경험 (Deep Neck Abscess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10 Year Experience in Two General Hospitals)

  • 김은희;전주희;이원욱;김소영;김은령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8권2호
    • /
    • pp.163-172
    • /
    • 2011
  • 목 적: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경험한 심경부 공간에 농양을 형성하여 입원치료를 받은 소아 청소년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 원인, 치료 방법 등을 분석하고 다른 문헌들과 비교하여 이 질환에 대한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2000년 1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서울 성애병원 및 광명 성애병원에서 통증을 동반한 경부 부종, 발열을 주소로 입원 치료하여 심경부 공간에 농양이 진단되었던 19세 미만의 소아 청소년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성별과 나이, 동반 증상, 심경부 감염의 부위, 농양 유무, 원인균, 치료 및 예후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대상 환아는 남아 21례, 여아 15례로 환아의 평균 나이는 6.5세였다. 선행 질환은 상기도 감염(52.8%), 원인 불명(36.1%)이 많았고, 동반 증상은 통증을 동반한 경부 부종(86.1%), 발열(80.6%)이 많았으며 특히 14세 이상의 환아에서 인후통, 개구 장애, 식욕 감퇴,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났다. 심경부 농양의 발생 부위는 악하 공간, 편도 주위 공간, 인두후 공간 순으로 분석되었고 이 중 13세 이하의 환아에서는 악하 공간에서 14세 이상의 환아에서는 편도 주위 공간에서 각각 농양이 주로 형성되었다. 대상 환아들 중 15례에서 단일 균주가 배양되었고 1례에서는 2가지의 균주가 배양되었다. S.aureus가 6례에서 배양되어 가장 많았고, 그중 5례(83.3%)는 2세 미만이었다. 항생제 감수성을 분석한 결과, 그람 양성균에서는 amoxicillin-clavulanate, vancomycin, cefotaxime, clindamycin, oxacillin에서 그람 음성 구균은 cefotaxime, amikacin에서 각각 항생제 감수성을 나타냈다. 치료는 항생제만을 사용한 경우가 10례, 항생제 및 배농을 병합하여 치료한 경우가 26례였으며, 두 군 간에 입원 기간, 발열 기간, 항생제 치료 기간, 정맥 항생제 치료 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특히 악하 공간에 농양이 발생한 경우에 항생제 치료와 배농의 병행하여 치료한 경우가 많았다. 대상 환아 36례 중 추적관찰이 가능한 32례에서 모두 합병증 없이 회복되었다. 결 론:심경부 농양의 형성 부위, 임상 증상, 원인균을 분석한 결과, 소아와 청소년에서 차이가 있었다. 항생제만을 사용하여 치료한 환아 군과 항생제와 배농을 병행하여 치료한 환아 군의 입원 기간, 발열 기간, 항생제 치료 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항생제 치료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으나 48-72시간 치료를 지속해도 반응이 없는 경우 배농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진은 소아와 청소년에서의 증상의 차이를 이해하고 나이에 따른 발생 원인 및 부위에 대한 명확한 파악을 통해 적합한 항생제 치료를 하는 것이 환아의 예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이차원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코인두암 환자의 장기 추적 결과 및 예후인자 분석 (Long-Term Results of 2-Dimensional Radi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Nasopharyngeal Cancer)

  • 이남권;박영제;양대식;윤원섭;이석;김철용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8권4호
    • /
    • pp.193-204
    • /
    • 2010
  • 목적: 방사선치료 단독요법 또는 동시항암화학방사선치료(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CCRT)를 시행한 코인두암 환자들의 장기 추적결과를 바탕으로 생존율 재발양상 부작용 및 예후인자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1년 12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코인두암으로 진단받고 고려대학교의료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19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령은 8세부터 78세(중앙값 49세) 이었으며, 성별은 남자가 141명, 여자가 49명이었다. 조직학적 분류는 각질화암이 10명 비각질화암이 166명, 기저양평편상피암이 1명이었다.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병기 I이 7명(3.6%), IIA 8명 (4.2%), IIB 33명(17.4%), III 82명(43.2%), IVA 31명(16.3%), IVB 29명 (15.3%)이었으며, 방사선치료 단독요법으로 치료한 환자는 103명이었고, CCRT를 시행한 환자는 87명이었다. 원발병소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일일 선량 1.8~2.0 Gy, 총선량 66.6~87 Gy, 중앙값 72 Gi 였다. 생존율, 예후인자 및 부작용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급, 만성 부작용 평가는 Radiation Therapy Oncology Group 분류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190명 중 184명(96.8%)이 계획된 치료를 마쳤으며 방사선치료 기간은 19~88일(중앙값 63일)이었다. 전체 환자의 추적관찰기간은 2~2787개월로 평균 73개월 중앙값 52개월 이었다. 93명(48.9%)의 환자에서 재발이 발생하였는데 국소재발이 44명(23.2%), 림프절재발 13명(6.8%), 원격전이가 49명(25.8%)이었고 원격전이 부위는 뼈, 폐, 간 전이가 각각 23, 18, 12명이었다. 5년 및 10년 전체 생존율(overall survival rate, OS)은 각각 55.6%, 44.5%이었고, 중앙값 52개월이었다. 무병생존율 (disease-free survival rate, DFS)은 5년, 10년이 각각 54.8%, 51.3%이었고, 질병특이생존율(disease-specific survival rate, DSS)은 5년, 10년이 각각 65.3%, 57.4%이었다. 단변량분석에서 CCRT를 받은 환자, 젊은 연령, 여성이 OS, DFS 및 DSS가 유의하게 높았고, CCRT를 시행한 환자와 기간이 짧았던 환자에서 유의하게 원격전이가 적었다. 다변량분석에서는 CCRT를 받은 환자, 여성에서 OS, DFS 및 DSS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국소재발에는 성별, 원격전이에는 CCRT시행여부가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치료 도중 발생한 부작용으로 3등급 이상의 점막염 혈액학적 부작용은 각각 42명(22.1%), 18명(9.5%)이었고, 치료기간이 연장된 환자가 59명이었다. 항암화학치료를 병용한 환자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부작용 발생빈도가 높았으나 치료기간의 연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추적관찰 기간 동안 3등급 이상의 청력장애, 턱관절장애가 각각 9, 6예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CCRT를 시행한 환자, 여성, T-병기, N-병기 및 연령이 낮은 환자에서 생존율의 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CCRT를 했을 때 생존율 향상과 원격전이율 감소를 보여 항암화학치료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항암화학치료의 동시병용이 반드시 국소 및 영역제어율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CCRT의 부작용을 감안할 때 세기조절방사선치료(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와 같은 치료에서 각 치료 방법의 역할과 기여도에 대한 비교 연구가 향후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추적관찰 기간 동안 3등급 이상의 청력장애, 턱관절장애가 각각 9, 6예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CCRT를 시행한 환자, 여성, T-병기, N-병기 및 연령이 낮은 환자에서 생존율의 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CCRT를 했을 때 생존율 향상과 원격전이율 감소를 보여 항암화학치료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항암화학치료의 동시병용이 반드시 국소 및 영역제어율의 향상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CCRT의 부작용을 감안할 때 세기조절방사선치료(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와 같은 치료에서 각 치료 방법의 역할과 기여도에 대한 비교 연구가 향후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