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mester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인의 단백질 섭취권장량 산출방법과 단백질 섭취권장량 변화 - 한국인 영양권장량과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alculation Methods and Amounts Changes of Recommended Protein Intake in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and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 김영남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1-62
    • /
    • 2012
  • 본 연구는 1962년 한국인 영양권장량의 제정부터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개정에 이르기까지 성인과 임신 수유부의 단백질의 섭취권장량 산출방법과 섭취권장량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1. 성인의 단백질 섭취권장량은 1989년까지 요인가산법을, 그 이후에는 질소균형연구를 활용하여 설정되었다. 요인가산법을 적용하였던 시기는 표준단백질 최소 필요량 또는 불가피 질소손실량을 기본 요인으로 하고 식이단백질의 이용율을 적용하였으며, 질소균형연구를 적용하였던 시기는 질소평형 유지에 필요한 식이단백질의 최소 필요량을 기본 요인으로 하였다. 그리고 개인 차, 스트레스 등의 조정 요인을 반영하여 단백질 섭취권장량을 계산하였다. 단백질 섭취권장량은 남성 50~80g/일, 여성 45~70g/일이었으며, 남성의 섭취권장량이 여성보다 크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섭취권장량은 감소하였다. 2. 임신부의 단백질 부가섭취권장량은 태아의 발육에 기인하는 단백질 축적량을 기본 요인으로 하고 식이단백질 이용율 등의 조정요인을 적용하여 산출하였고, 10~30g/일이었으며, 2010년에는 임신 기간을 3분하여 각각 0, 15, 30g/일을 제시하였다. 3. 수유부의 단백질 부가섭취권장량은 모유로 분비되는 단백질의 양을 기본 요인으로 하고 식이단백질 이용율 등의 조정요인을 적용하여 산출하였고, 20~30g/일이었으며, 시기별 증감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앞으로 체중 대신 제지방체중을 적용하는 단백질 섭취권장량의 산출 공식이 마련될 필요성이 있으며, 에너지와 마찬가지로 섭취하는 식이단백질의 조성에 근거한 개인별 섭취권장량의 계산방법 고안을 제언한다. 그리고 수유부의 경우 수유 기간을 구분하여 기간별 단백질 부가섭취권장량의 제정을 제언한다.

  • PDF

어머니의 직업활동이 선천성 근육사경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Work Activity and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 김기전;송브라이언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270-28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근육사경과 산모의 직업적 활동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2006년부터 2011년 4월까지 수원 "C" 병원 재활의학과를 내원한 선천성 근육사경아동의 산모 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는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출산 평균연령은 30.09세, 교육수준은 대졸이상이 많았으며, 초산이 82.0%로 나타났으며, 자연분만, 제왕절개, 흡입분만 순이었고, 분만 시 둔위여부는 20.2%로 나타났으며, 첫째 아동이 사경인 경우가 82.0%로 나타났고, 둘째, 연구대상자의 직업적 특성에서 직장생활을 한 산모가 59.6%이고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가 45.3%를 차지하였고, 직장생활을 임신 3기까지 한 산모가 75.5%로 나타났고, 주로 서서 일하는 자세보다 앉아서 일하는 자세로 앉아서 일하는 시간이 7시간 이상이 54.7%로 나타났으며, 하루 평균 근무시간은 8.75시간으로 나타났고, 셋째,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하위 25%이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별 정도에선 관계갈등영역에서만 상위 50%이상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적 업무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스트레스(100점 환산)와 직무스트레스의 직무요구, 관계갈등, 보상 부적절, 직장문화와 양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직장문화와 보상 부적절간에도 양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직업적 업무 중 하루 평균 근무시간과 평균 일주일 근무시간과 양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양수의 대장균에 대한 세균증식 억제효과 (Bacterial Growth-inhibiting Activity of Amniotic Fluid Against E. coli)

  • 김수용;최명식;장우현;차창룡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33-240
    • /
    • 1987
  • The amniotic fluid provides a medium in which the fetus can readily move, cushions him against possible injury and helps him maintain an even temperature. Besides above mentioned functions, investigators reported that human amniotic fluid contains host-resistance factors which prevent bacteria from producing infectious disease and this activity shows difference among human racial groups or bacterial genera, species and strains. 40 amniotic fluid specimens from Korean women in their second and third trimesters of pregnancy were examined for inhibiting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And various factors which might affect bacterial growth inhibiting activity such as pH, initial inoculum size, concentration of amniotic fluid, and heat resistance, were also tested using a strongly inhibitory amniotic fluid specimen. Finally plate diffusion tests were carried out using other strongly inhibitory amniotic flui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Of the 40 fluid samples examined, 18 specimens(45%) had inhibitory activity and samples from women in their second trimester of pregnanancy showed non-inhibitory activity(2 specimens). 2. The pH of the fluids varied between 7.43 and 8.33.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pH and inhibitory activity. 3. No. 19 amniotic fluid showed bacteriostatic activity after 24 hours incubation when an inoculum of $10^2$ organisms per milliliter was used, but non-inhibitory with an inoculum of $10^3$ and $10^4$ bacteria per milliliter. 4. The content of amniotic fluid in culture media influenced E. coli growth. At 90 percent, E. coli was inhibited growth but at 10 percent and 50 percent. 5. Inhibitory activity of No. 19 amniotic fluid was retained after heating to $50^{\circ}C$ for 30 minutes or 100^{\circ}C$ for 30 minutes. 6. Plate diffusion tests with No. 27 amniotic fluid showed that 0.7ml amniotic fluid gave clear zone of growth inhibition around the central well but 0.2ml and 0.1ml amniotic fluids were not.

  • PDF

출혈위험 임산부에서의 자가수혈 (Autologous Transfusion in Pregnant Women with Significant Risk for Hemorrhage)

  • 김기득;배철성;박윤기;김종욱;고민환;이승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7권1호
    • /
    • pp.95-103
    • /
    • 1990
  • 1989년 8월 1일부터 1990년 4월 30일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에서 대량출혈이 예상되는 18명의 환자에서 21례의 자가수혈을 시행하여 관찰한 결과 자가수혈의 가장 많은 적응증으로는 전치태반이었으며(10/21) 수술후 자가수혈 및 homologous transfusion의 빈도도 제일 많았다. 출혈위험이 있는 산모 20례중 6례에서 자가수혈로 인해 homologous transfusion을 피할 수 있었다. 혈액 채취전후의 혈압 및 맥박, 호흡 및 reticulocyte등은 통계학적으로 별차이점이 없었고, 채혈전후에 시행하였던 태아감시장치상 약 8례에서 약간의 이상이 나타났으나 대부분 자세변화 및 산소공급으로 20분 이내에 정상으로 돌아왔다. 태어난 신생아중 거대아 1명, 저체중아 3명이었으며 14명이 정상체중아였고, 분만전의 채혈로 인한 이상소견을 발견할 수가 없었다. 채취전후의 혈액학적 변화로소 채취전 Hct는 $34.1{\pm}2.9%$였고, 채취 후는 $31.8{\pm}2.4%$로 유의성이 있었다(P<0.01). 대부분의 혈액 채취시간은 4-8분 정도였으며 채혈시 산모에서 특별한 합병증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3명을 제외하고 15명이 채혈후 3주 이내에 분만하였다. 상기한 여러가지 결과 대량출혈이 예상되는 산모에 있어서 수술전에 혈액을 채취하여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자가수혈은 산모 및 태아에 있어 특별한 이상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산모에 있어서 자가수혈은 homologous transfusion을 피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한 방법일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고, 채혈시 나타났던 태아감시상의 여러가지 이상소견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oes Vitex Agnus-Castus L. Have Deleterious Effect on Fertility and Pregnancy Outcome? An Experimental Study on Rats for Prediction of Its Safety

  • Najib, Fateme Sadat;Poordast, Tahereh;Mahmudi, Monireh Sufi;Shiravani, Zahra;Namazi, Niloofar;Omrani, Gholamhossein Ranjbar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6-113
    • /
    • 2022
  • Objectives: Herbal medicine is a worldwide health topic. Vitex agnus-castus L. (VAC) is a popular plant used for gynecologic problems due to its hormonal effec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VAC extract effect on fetus when this herb is used started from antenatal period or during pregnancy. Methods: Performed from starting day of January 2019 till February 2019, 48 rats were assigned in randomly divided eight-member six groups: control (C1), treated group with 365 mg/kg VAC from initiation of insemination (T1) and 30 days prior to pregnancy (T2), control that underwent caesarean section on 15th day of gestational age (C2) and treated group with 365 mg/kg VAC from initiation of insemination (T3) and 30 days prior to pregnancy (T4) that underwent caesarean section. Weight, sex and number of fetuses, abortion and still birth rate and estradiol level were evaluated using t-test by SPSS software. Results: We showed increased weight among T1 group considering totally and sex-dependent which is significant (all p-value < 0.05). We also detected significantly decreased weight in T2 in total (p-value < 0.0001) and when considering female fetuses (0.043) but not males (0.17). Although the results showed slightly non-significant increased weight among fetuses of T3 (totally or based on the fetus sex)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2), T4 group had statistically decreased weight compared to control group. Pregnancy rate and pregnancy outcome were affected by VAC usage. The time of VAC initiation also affected live birth and abortion rates. Conclusion: VAC extract may affect pregnancy rate, live birth rate, abortion and stillbirth rates. Its effect on the weight and the sex showed dual pattern depends on the time of initiation and pregnancy trimester of evaluation. Prescribing this medicinal plant for patients being prone to pregnancy should be with caution. Further study is recommended.

Distribution of maternal risk factors for orofacial cleft in infants in Indonesia: a multicenter prospective study

  • Andi Tajrin;M. Ruslin;Muh. Irfan Rasul;Nurwahida;Hadira;Husni Mubarak;Katharina Oginawati;Nurul Fahimah;Ikeu Tanziha;Annisa Dwi Damayanti;Utriweni Mukhaiyar;Asri Arumsari;Ida Ayu Astuti;Farah Asnely Putri;Shinta Silvia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16
    • /
    • 2024
  • Background: The pathogenesis of orofacial cleft (OFC) is multifactorial, involving both genetic and non-genetic factors, the latter of which play a key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se anomalies. This paper addresses the incidence of OFC in Indonesia, with a focus on identifying and examining the distribution of contributory factors, including parental medical history, pregnancy history,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collection of primary data.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team from Indonesia administered a standardized questionnaire to parents who had children with OFC and who had provided informed consent. The case group comprised 133 children born with cleft lip and/or palate, and the control was 133 noncleft children born full-term.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OFC anomalies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5. A p-value of 0.05 or less was considered to indicate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The study comprised 138 children, of whom 82 were boys (59.4%) and 56 were girls (40.6%). Among them, 45 patients (32.6%) presented with both cleft lip and cleft palate, 25 individuals (18.1%) had a cleft palate only, and 28 patients (20.3%) had a cleft lip only. OFC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maternal family history of congenital birth defects (p<0.05), complications during the first trimester (p<0.05), consumption of local fish (p<0.05), caffeine intake (p<0.05), prolonged medication use (p<0.05), immunization history (p<0.05), passive smoking (p<0.05), and X-ray exposure during pregnancy (p<0.05).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cidence of OFC and maternal medical history, prenatal factors,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임신 중 벨 마비 한방치료에 대한 국내외 증례 연구 고찰 (A Review of Clinical Research Trends on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Bell's Palsy during Pregnancy)

  • 김효정;안영태;현지수;최소연;김백준;이윤재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19
    • /
    • 202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clinical study trends on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Bell's palsy during pregnancy. Methods: Key words such as 'facial palsy', 'Bell's palsy, 'Korean medicine', 'herbal medicine', 'acupuncture', 'pregnancy' were searched through the 'RISS', 'OASIS', 'KISS', 'PubMed' and 'CNKI' databases. Results: Ten clinical studies with 107 patients were selected, and 1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9 case reports were included as the target studies. In the 9 case reports, the gestational age at the onset of facial palsy was most common in the third trimester (29-42 weeks) in 38 cases (56.7%). The most commonly used Korean medicine interventions were acupuncture, with the most frequently used acupoints being ST4, ST2, ST6, BL2, TE23, LI20, GB1, GB14, SI18, and CV24. The herbal medicine treatment most commonly utilized was Geumgwedanggwi-san (金匱當歸散), which is related to the principles of clearing heat, nourishing blood, and stabilizing the fetus (淸熱養血安胎). Among the 65 participants evaluated using the House-Brackmann facial nerve grading system, 81.5% showed complete recovery to grade 1, while 6% remained at grade 4 with no effect, indicating the efficacy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facial palsy during pregnancy. All the selected studies reported no abnormalities in the mothers or fetal growth, and all participants who had the reported delivery had full-term childbirth. Conclusions: The effect on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Bell's palsy during pregnancy had mostly positive results. However, further large, well-designed clinical trials are need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Bell's palsy during pregnancy.

토끼 태자에 형성시킨 구순열상의 치유과정에서 수종 성장인자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SEVERAL GROWTH FACTORS IN THE ARTIFICIALLY CHEATED CLEFT LIP WOUND HEALING OF RABBIT FETUSES)

  • 백승학;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83-696
    • /
    • 1997
  • 성체의 상처 치유과정중 반흔조직 형성에 수종의 성장인자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태자의 피부상처가 반흔형성없이 치유되는 기전에 관한 성장인자의 역할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토끼태자의 상처 치유과정에서 반흔조직의 형성과 관련이 있는 수종 성장인자의 분포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뉴질랜드산 흰 토끼를 임신 3기의 중반인 24일째에 자궁절개술을 시행하고 태자에 인위적으로 구순열상을 만든 후, 봉합한 군(봉합군)과 봉합하지 않은 군(비봉합군), 정상대조군(sham operated control group)으로 나누고 이들을 각각 수술후 1, 2, 3, 5, 7일째에 희생시켜 상처치유에 대한 육안관찰 소견과 H & E 염색 소견 및 $TGF-{\beta}1,\;TGF-{\beta}2$, PDGF, bFGF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소견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봉합군과 비봉합군에서 전기간동안 염증반응과 반흔조직의 형성 그리고 신생 혈관의 형성 증가는 없었다. 2. 비봉합군의 재상피화가 봉합군에 비해 다소 느렸다. 3. bFGF는 정상대조군, 봉합군과 비봉합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4. PDGF는 봉합군과 비봉합군에서 1, 2일군에서 증가하였다가 그후 감소하여 정상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5. $TGF-{\beta}$는 봉합군과 비봉합군에서 1, 2일군에서 약간 증가하였다가 그후 감소하여 정상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TGF-{\beta}1$에 비하여 $TGF-{\beta}2$의 검출양이 많았다.

  • PDF

토끼 태자에 형성시킨 구순열상의 치유과정에서 세포외기질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RACELLULAR MATRIX IN THE ARTIFICIALLY CHEATED CLEFT LIP WOUND HEALING OF RABBIT FETUSES)

  • 양원식;백승학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5
    • /
    • 1998
  • 태아와 성체의 상처치유과정에서 다른 점으로는 태아 상처가 염증반응과 반흔조직의 생성이 없이 신속히 치유됨을 들 수 있다. 태자상처의 비반흔성 치유와 세포외기질의 역할을 연관지어 해석하려는 노력이 진행중에 있으나, 각 실험 동물종간의 차이 및 세포외기질 구성요소의 다양성등 많은 변수가 아직 미결의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토끼 태자의 상처 치유과정에서 반흔조직의 형성과 관련이 있는 세포외기질의 주요성분인 교원질 I, III, IV, V형, fibronectin, laminin의 시기적 출현 및 분포양상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뉴질랜드산 횐 토끼를 임신 3기의 중반인 24일째에 자궁절개술을 시행하고 태자에 인위적으로 구순열상을 만든 후, 봉합한 군(봉합군)과 봉합하지 않은 군(비봉합군), 정상대조군(sham operation group)으로 나누고 이들을 각각 수술후 1, 2, 3, 5, 7일째에 희생시켜 상처치유에 대한 육안관찰 소견과 H & E 염색 소견 및 교원질 I, III, IV, V형, fibronectin, laminin의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소견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봉합군과 비봉합군에서 전기간동안 염증반응은 없었다. 2. 비봉합군의 재상피화가 봉합군에 비해 다소 느렸다. 3. 교원질 I, III, V형은 봉합군과 비봉합군에서 2일군까지는 발견되지 않았고 3일군이후 존재하였으나 염색정도가 인접정상조직이나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지 않았다. 4. 상피 기저막에서 교원질 IV형의 염색소견은 봉합군과 비봉합군에서 3일군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그후 감소하여 인접정상조직이나 정상대조군과 차이가 없었고, laminin의 염색 소견은 봉합군과 비봉합군에서 5일군이후 발견되었고 염색정도의 증감없이 7일군까지 유지되었고 인접정상조직이나 정상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5. 혈관내피세포 기저막에서 laminin과 교원질 IV형의 염색소견은 인접정상조직이나 정상대조군에 비해서 증가하지 않았다. 6. Fibronectin은 봉합군과 비봉합군에서 fibrin clot과 창상 기저부 및 창상연을 따라 3일군까지 염색소견이 증가하였다가 그후 감소하여 인접정상조직이나 정상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 PDF

임신초기 모체의 엽산영양상태와 동 영향인자 (Maternal Folate Statu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Early Pregnancy)

  • 이정아;이종임;임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31-338
    • /
    • 2004
  • 임신초기 모체의 엽산영양은 태아의 신경관 손상을 예방하는 측면에서는 물론이고 엽산 필요량이 증가하는 임신후기를 대비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임신초기에 있는 151명의 임신부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식사를 통해 얼마의 엽산을 섭취하는지를 조사하고, 혈청과 적혈구의 엽산 농도와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분석하여 엽산영양상태를 평가하고, 이들의 엽산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조사당시 임신기간은 9.1$\pm$2.3주이었으며, 초산부가 46%이었고 나머지는 경산부이었다. 에너지 및 엽산 섭취량은 각각 1559$\pm$589 ㎉/day 및 230.8$\pm$145.2 $\mu$g/day로 각 권장량의 72.5%및 46.2%로 낮았다 혈청과 적혈구의 엽산 농도는 각각 5.5$\pm$1.9 ng/mL 및 266.6$\pm$75.0 ng/mL으로, 연구 대상자의 7.8%가 혈청 엽산 수준이 3 ng/mL미만인 결핍상태에 해당하였고 60.3%는 경계역(3∼5.9 ng/mL)에 속하였으며, 적혈구 엽산 농도가 l57 ng/mL미만인 결핍상태에는 4.3%가 해 당하였다. 그러나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정상범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대상자의 엽산영양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고 판정되었다. 혈청 엽산 농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유의한 인자는 건강상태점 수(+),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 연령 (-), 임신기간(-) 및 엽산 섭취량(+) 순으로 그 영향력이 높았고, 적혈구 엽산 농도의 영향인자는 교육수준(-),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 지난번 출산 영아의 출생시 신장(+),연령(-)및 에너지 섭취량(+)이었고,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영향인자는 지난번 출산 영아의 출생시 신장(-), 경제수준(+),혈청 엽산 농도(-)와 임신전 체중(+)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혈장이나 적혈구의 엽산 농도나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분석하지 않고도, 임신초기에 있는 모체의 엽산영양상태를 개략적으로 판정하는데 있어 주관적으로 평가한 불량한 건강상태, 높은 교육수준 또는 경제수준, 지난번 출산에서 작은 체위의 영아를 출산한 경력, 고연령 또는 엽산이나 에너지섭취량 부족을 위험 인자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임신기간이 진행되었을수록 엽산영양상태가 저하되었을 가능성이 있음도 나타내준다. 앞으로 임신초기 임신부의 엽산영양상태를 어떤 위험인자를 몇 가지나 가졌느냐에 따라 평가하는 연구결과가 나와야 이들 위험 인자의 실용성 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선 이들 위험 인자를 많이 지닌 임신부라면 임신초기부터 엽산 섭취량을 늘리거나 엽산보충제 섭취를 일찍 시작하는 등의 방법으로 엽산영양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