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butyl phosphat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9초

Polysulfone에 Carbon Nanotubes, Tributyl Phosphate와 Di-(2-ethylhexyl)-phosphoric Acid를 고정화한 하이브리드 비드의 제조와 Sr(II)의 제거 특성 (Preparation of Hybrid Beads Containing Polysulfone Modified with Carbon Nanotubes, Tributyl Phosphate and Di-(2-ethylhexyl)-phosphoric Acid and Removal Characteristics of Sr(II))

  • 감상규;서정호;윤종원;이민규
    • 공업화학
    • /
    • 제29권3호
    • /
    • pp.264-269
    • /
    • 2018
  • Polysulfone (PSf)에 탄소 나노 튜브(CNTs, carbon nano tubes)와 두 가지 추출제, di-(2-ethylhexyl)-phosphoric acid (D2EHPA)와 tributyl phosphate (TBP)를 고정화시킨 PSf/D2EHPA/TBP/CNTs 비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비드의 특성은 SEM, TGA 및 FTIR로 분석하였다. 제조한 PSF/D2EHPA/TBP/CNTs 비드에 의한 Sr(II)의 제거속도는 유사 2차 속도식에 의해 잘 설명되었으며, Langmuir 등온식으로 구한 Sr(II)의 최대 제거 용량은 5.52 mg/g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조한 PSf/D2EHPA/CNTs 비드에 의한 Sr(II)의 제거효율은 TBP가 첨가되지 않은 PSf/D2EHPA/CNTs 비드에 의한 Sr(II)의 제거효율 보다 크게 향상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천연염료에 의한 모발염색에서 용매의 효과 (I) (Effect of Solvent in Human Hair Dyeing with Natural Dye (I))

  • 양혜연;장미화;김성민;최창남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2-28
    • /
    • 2009
  • Human hair is a kind of fibrous keratin which has much cystine residues like wool fiber. It protects human head from the dangerous shock and is an organ to release heavy metals in human body. Recently, in many dyeing field there is a trend to utilize the natural dyes. Cochineal is a reddish natural mordant dye. When the cochineal is applied in human hair dyeing, it is expected that dyeing rate will be slow and wash fastness will be poor on account of large molecular weight relative to oxidative dyes. In this work,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ributyl phosphate in hair dyeing with natural dye cochineal. Dyeability of hair increased significantly by adding tributyl phosphate in cochineal dyeing. Nevertheless the hair was slightly damaged during dyeing, the dyed hair showed a good wash fastness.

Separation of Zirconium and Hafnium from Zirconium Oxychloride (ZOC) Synthesis of Kalimantan Zircon Sand Concentrate Using Extraction Method with tributyl phosphate (TBP)-Dodecane in Nitric Acid Medium

  • Kharistya Rozana;Ariyani Kusuma Dewi;Herry Poernomo;Won-Chun Oh;Karna Wijaya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247-253
    • /
    • 2024
  • The separation of zirconium and hafnium using tributyl phosphate (TBP)-Dodecane extractants in nitric acid medium was performed. Zirconium oxychloride, used as extraction feed, was obtained from the synthesis of Kalimantan zircon sand concentrate smelted using NaOH. The extraction process was carried out by dissolving chloride-based metals in nitric acid media in the presence of sodium nitrate using TBP-Dodecane as an extractant. Some of the extraction parameters carried out in this study include variations in organic phase and aqueous phase (O/A), variations in contact time, and variations in nitric acid concentration. Extraction was carried out using a mechanical shaker according to the parameter conditions. X-ray fluorescence (XRF) was used for elemental (Zr and Hf) composition analysis of the aqueous solution. The results showed that zirconium was separated from hafnium at optimum conditions with an organic/aqueous ratio of 1:5, contact time of 75 min, and an HNO3 concentration of 7 M. The resulting separation factor of zirconium and hafnium using TBP-Dodecane was 14.4887.

유도결합 플라즈마 원자방출 분광법에 의한 아연광 중 Ga 및 In의 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nalysis of Gallium and Indium in Zinc Ores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ry)

  • 황윤옥;심상권;성학제;양명권
    • 분석과학
    • /
    • 제6권1호
    • /
    • pp.131-139
    • /
    • 1993
  • 아연광 중 미량으로 존재하는 갈륨 및 인듐을 유도결합 플라스마 원자방출분광법(ICP-AES)으로 분석할 때 간섭하는 아연 및 다른 이온들과 특히 Fe(III) 이온으로부터 이들을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갈륨과 인듐을 tributyl phosphate(TBP)로 용매추출하였는데 이때 영향을 주는 산농도, 다른 이온들의 간섭, 수용액상/유기상의 비율, TBP의 농도 및 탈거율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갈륨과 인듐이 함유되어 있는 아연광을 녹인 5N 염산용액에서 100% TBP로 추출하여 아연 및 기타 간섭이온들로부터 분리하였으며, 이때 철(III)이온은 hydroxylamine hydrochloride를 사용하여 Fe(II)로 환원시켜 coetraction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유기상으로부터 갈륨과 인듐의 탈거는 0.02N 염산용액으로 역추출하여 이루어졌으며 이 용액을 ICP-AES로 측정하여 이들을 정량하였다. 전체적으로 추출률이 95% 이상으로 정량적이었다.

  • PDF

금이 함유된 왕수용액으로부터 TBP(tributyl phosphate) 용매추출에 의한 질산과 금의 분리 (Separation of Nitric Acid and Gold from Gold Bearing Aqua Regia Solution by Solvent Extraction with TBP(tributyl phosphate))

  • 배무기;;김수경;이재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6권1호
    • /
    • pp.51-58
    • /
    • 2017
  • TBP(tributyl phosphate)를 사용하여 왕수 침출액으로부터 질산과 금을 추출하여 회수하는 공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가 수행되었다. 순수한 왕수용액으로부터 추출제의 농도, 질산과 염산의 농도 비에 따른 질산의 추출거동을 조사하였으며, 금을 함유하는 왕수용액으로부터 질산과 금의 추출율을 구하였다. McCabe-Thiele 도로부터 얻어진 조업단수와 상비로 역류추출을 행하여 이론적인 추출단수를 검증하였다. 유기상에 장진된 질산과 금의 연속적인 회수를 위한 탈거실험을 수행하였다. 질산과 금의 추출과 염산의 영향을 고려하여 O/A = 1:0.85의 조건으로 역류추출을 통해 2단에 의해 $103.0mg{\cdot}L^{-1}$의 금은 99.9% 추출되었으며, 3단에 의해 $151.2g{\cdot}L^{-1}$의 질산은 98.0% 추출되었다. 질산과 금의 탈거제로는 증류수와 티오황산나트륨이 사용되었으며 탈거율은 각각 99.5%, 92.0%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 왕수용액에 함유되어 있던 금과 질산을 동시에 추출하고 연속적인 탈거공정에 의해서 질산과 금을 회수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온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Tributyl Phosphate(TBP) 분해산물의 정량 (Determination of Tributyl Phosphate Degradation Products by Ion Chromatography)

  • 한선호;이효진;양한범;박양순;조기수
    • 분석과학
    • /
    • 제15권4호
    • /
    • pp.329-334
    • /
    • 2002
  • TBP 내의 분해산물인 $DBP^-$$MBP^{2-}$의 정량을 위하여 이온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였으며, AS4A-SC(Dionex) 분리관과 $Na_2CO_3$/NaOH 용리액을 사용하여 $DBP^-$, $MBP^{2-}$, $F^-$, $Cl^-$, ${NO_2}^-$, ${NO_3}^-$, ${SO_4}^{2-}$${PO_4}^{3-}$의 머무름거동을 살펴보았다. 2 mM $Na_2CO_3$/1 mM NaOH 용리액에서 이들의 분리가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15분 이내에 분리되었다. $5{\mu}g/mL$ - $100{\mu}g/mL$의 농도범위가 측정에 적합하였으며, 이 범위에서 검량곡선은 $r^2$=0.999로 좋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시료량 $25{\mu}L$를 취할경우 $DBP^-$의 검출한계는 $1{\mu}g/mL$이고, $MBP^{2-}$의 검출한계는 $0.5{\mu}g/mL$ 이었다.

A Stable Supported Liquid membrane Composed of Polypropylene Glycol and Tributyl Phosphate for Phenol Separation from Aqueous Solution

  • Ahn, Hyo-Seong;Lee, Yong-Taek;Kim, Myung-Soo
    • Korean Membrane Journal
    • /
    • 제1권1호
    • /
    • pp.81-85
    • /
    • 1999
  • Tributyl phyosphate(TBP) polypropylene glycol 4000(PPG-4000) and the mixture of two compounds were examined as a liquid membrane in a supported liquid membrane (SLM) to separate phenol from aqueous solution.The feed concentration of phenol was varied in a broad range from 500 mg/L to 5000 mg/L and different types of liquid membrane were prepared to elucidate their effects on separation of phenol. It was found that the modified PPG 4000 with TBP and toluene diisocyanate(TDI) might be used as a proper liquid membrane because the mass transfer rate examined with this membrane was higher than that through methyl isobutyl ketone (MIBK) which has been used as a conventional solvent in a solvent extraction process. The breakthrough pressure of the SLM is defined to be the pressure difference across the membrane at which the supported liquid membrane is not kept in the pores any more. it indicates how the SLM is stable., It was found that the breakthrough pressure of the modified PPG-4000 was much higher than those of typical organic solvents.

  • PDF

모사 헤미셀룰로오스 가수분해액으로부터 발효 저해물질의 제거를 위해 에멀젼형 액막법의 적용 (Application of Emulsion Liquid Membrane to Removal of Fermentation Inhibitors from Simulated Hemicellulosic Hydrolysates)

  • 이상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4호
    • /
    • pp.457-462
    • /
    • 2015
  • 헤미셀룰로오스 가수분해액은 당은 물론 카르복시산, 푸란유도체 및 페놀화합물과 같은 여러 종류의 에탄올 발효 저해물질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저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는 분리 기술로서 에멀젼형 액막법이 적용되었다. 기본 모사 헤미셀룰로오스 가수분해액은 당인 자일로스, 용매인 묽은 황산 수용액과 카르복시산인 초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필요에 따라 푸란유도체인 푸르푸랄 또는 페놀화합물인 p-hydroxybenzoic acid(HBA)가 그 가수분해액에 추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고려된 모든 에멀젼형 액막계에서 약산인 초산과 HBA는 선택적으로 제거가 가능하였지만, 알데히드인 푸르푸랄은 상당히 제거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기본 모사 가수분해액에 HBA가 추가된 에멀젼형 액막계에서 추출제로 tributyl phosphate를 사용하여 원료상에 있는 초산과 HBA를 99%까지 동시에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