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benzylamin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2초

Tribenzylamine Ionophore를 이용한 pH-ISE의 제조 및 임상응용 (Preparation and Clinical Application of pH-ISE(Ion Selective Electrode) Based on Tribenzylamine Ionophore)

  • 조동회;박정오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9-64
    • /
    • 2006
  • The pH-ISE(ion selective electrode) based on tribenzylamine as a hydrogen ion carrier was prepared and its electrochemical characterization was studied. It responded linearly to hydrogen ions in the range of pH 3.1 - pH 11.0 and the Nernstian slope showed 55.0 mV/pH (at $20{\pm}0.2^{\circ}C$), it also showed a fast response time of 8 sec. When it was directly applied to human blood(pH 6.0-8.5), we could get the same satisfying results. A good reproducibility and stability were shown with the precision of 2 mV (${\pm}0.1$). The pH-ISE based on tribenzylamine exhibited biocompatibility in clinical applications.

  • PDF

Tribenzylamine 중성운반체를 이용한 pH-선택성 고분자 막전극 (A polymer pH-Selectrode Based on Tribenzylamine as Neutral Carrier)

  • 박면용;정구춘;조동회;이경재;정성숙;박선영;김태훈
    • 분석과학
    • /
    • 제8권1호
    • /
    • pp.63-68
    • /
    • 1995
  • 수소이온 선택성 막전극을 제조하기 위하여 tribenzylamine, polyvinylchloride, dioctylphthalate, sodium tetraphenylborate와 tetrahydrofuran을 0.02, 0.62, 1.34, 0.02g, 10mL씩 섞고 전기전도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acetylene black, 흑연, 탄화규소, 탄화텅스텐을 각기 1g씩 섞었다. 7개의 막전극은 pH 2~9 범위내에서 수소이온에 직선성을 나타내었다. Tribenzylamine을 중성 운반체로 사용한 수소이온에 선택성 막전극을 제조하기 위해 섞은 것 중 가장 좋은 전기전도체는 아세틸렌블랙이었다. 이 막전극은 $20^{\circ}C$에서 Nernstian slope는 이론값에 가장 근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알칼리금속과 알칼리토금속 이온이 수소이온과 공존할 때 나타나는 방해효과는 유리전극보다 오차가 적은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 막전극은 특히 플루오르화수소산 용액에 대해서 재현성 및 안정성 시험에서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아릴아민계의 중성운반체를 이용한 수소이온선택성 막전극 (Hydrogen ion-selective membrane electrodes based on arylamines as neutral carriers)

  • 정성숙;조동희;김재우;정구춘;박면용
    • 분석과학
    • /
    • 제9권1호
    • /
    • pp.78-83
    • /
    • 1996
  • Tribenzylamine(TBA), tetrabenzylethylenediamine(TBEDA), pentabenzyldiethylenetriamine(PBDETA)을 중성운반체로 이용한 막전극은 각각 pH 1~pH 9, pH 2~pH 12, pH 4~pH 12 범위에서 수소이온에 선택적이고 선형적인 감응을 나타내었다. TBA, TBEDA, PBDETA로 만든 막전극은 비공유전자쌍 수의 증가와 수소이온 선택성 사이에는 무관 하였고 각각에 대한 기울기는 43.8mV/pH, 46.9mV/pH, 43.6mV/pH를 나타냈다. 각 전극에 대하여 알칼리금속이온($Li^+$, $Na^+$, $K^+$) 및 알칼리토금속이온($Ba^{2+}$, $Ca^{2+}$, $Mg^{2+}$), 전이금속이온($Mn^{2+}$, $Co^{2+}$, $Ni^{2+}$, $Cu^{2+}$, $Zn^{2+}$)에 대한 방해이온을 측정하였다. 선택계수는 분리용액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TBEDA를 이용한 막이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