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spray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8초

과수원용 스프레이어의 농약 살포 및 비산 예측을 위한 전산유체해석 (CFD Modeling of Pesticide Flow and Drift from an Orchard Sprayer)

  • 홍세운;김락우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0권3호
    • /
    • pp.27-36
    • /
    • 2018
  • Effective pesticide applications are needed to assure the quality and economic competitiveness of fruit production and lower the risk of spray drift. Experimental studies have shown that better spray coverage and less driftability require an understanding of the transport of spray droplets within turbulent airflows in the orchard and the interaction between droplet dynamics and tree canopies. This study developed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odel to predict pesticide flows in the orchard and spray drift discharged from an air-assisted orchard sprayer. The model represented the transport of spray droplets as well as droplets captured by tree canopies, which were modeled as a conical porous model and branched tree model. Validation of the CFD model was accomplished by comparing the CFD results with field measurements. Spray depositions inside tree canopies and at off-target location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ments. The resulting data presented that 38.6%~42.3% of the sprayed droplets were delivered to the tree canopies while 13.6%~20.1% were drifted out of the orchard, part of them reached farther than 200 m from the orchard. The study demonstrates that CFD model can be used to evaluate spray application performance and spray drift potential.

사과 '후지'에서 유기 칼슘화합물의 수관살포가 과실의 무기성분 농도, 동녹 발생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ee-spray of Organic Calcium Compounds on the Mineral Nutrition Concentration, Russet Occurrence and Fruit Quality in 'Fuji' Apple at Harvest)

  • 문병우;이영철;정혜웅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4권1호
    • /
    • pp.47-59
    • /
    • 2012
  • 사과 '후지'에서 유기 칼슘화합물(ACa)을 수관살포 농도별 및 생육후반기 횟수별 처리한 후 과실의 칼슘농도, 동녹 발생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육기간중 ACa 수관살포의 적정농도는 엽에는 125배에서 1,000배, 과실에서는 125배 이었다. 생육기간중 ACa 500배 수관살포 적정횟수는 엽에는 1회 (9월 25일) ~ 3회 (9월 25일, 10월 5일, 15일), 과피에는 1회 (9월 25일), 과육에서는 2회 (9월 25일, 10월 5일) ~ 3회(9월 25일, 10월 5일, 15일)이었다. ACa 생육후반기 농도 및 살포 횟수 수관살포에 의한 약해발생은 육안으로 발견하지 못하였다.

포도 '캠벨얼리'에서 유기칼슘제 수관살포에 의한 엽병과 과피의 무기성분 농도 및 과실품질 (Effects of tree-spray of organic calcium agent on the mineral nutrition concentration of petiole, fruit skin and fruit quality at harvest in 'Campbell Early' grapevine)

  • 문병우;이영철;남기웅;구자준;정혜웅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3권1호
    • /
    • pp.35-46
    • /
    • 2011
  • 포도 '캠벨얼리' 품종에서 유기칼슘제(ECa)를 수체살포하여 엽병과 과피의 칼슘농도, 과실품질 및 탄저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칼슘제별 수체살포는 엽병 및 수확 시 과피의 칼슘농도는 무처리에 비하여 염화칼슘 0.4%, ECa 250X 및 MCa 500X 처리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ECa 시기별 수체살포는 엽병 및 수확 시 과피의 칼슘농도는 개화 7일후 및 14일후 처리가 무처리 및 21일 후처리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되었다. ECa 농도별 수체살포는 엽병 및 수확 시 과피의 칼슘함량은 500X 및 무처리에 비하여 250X 및 125X 처리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ECa 수체살포는 시기별, 농도별 과실품질 및 과방의 크기, 탄저병 및 열과 발생율은 통계적 유의성을 인정할만한 큰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ECa 농도별 수체살포에 의한 약해발생은 육안으로 발견하지 못하였다.

요소 엽면시비에 따른 온주밀감의 질소회수율 (Nitrogen Recovery of Foliar Applied Urea by Satsuma Mandarins)

  • 강영길;유장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2-139
    • /
    • 1999
  • 요소 엽면시비가 온주밀감 잎의 질소함량 수체 및 토양의 질소회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98년 7년생 흥진조생에 질소 기준량 표충시비($124kg\;ha^{-1}yr^{-1}$, 나무당 86 g). 기준량의 50% 엽면시비($62kg\;ha^{-1}yr^{-1}$), 나무당 43 g), 기준량의 25% 엽면시비($31kg\;ha^{-1}yr^{-1}$, 나무당 22 g)처리를 두고 봄 여름, 가을 비료로 56(2반복 $^{15}N$ 표지 요소, 5반복 일반 요소), 11((2반복 $^{15}N$ 표지 요소, 5반복 일반 요소). 33%(7반복 모두 일반 요소) 비율로 분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나무(본)당 과실수량 및 품질은 처리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당년 봄순의 엽신의 전질소함량은 9월 상순까지는 엽면시비구에서 많았으나 11월 16일(수확기)이후에는 처리간 큰 차이가 없었다. 수체(樹體)에 의한 질소회수율은 어느 수체 부위에서나 25% 엽면시비구에서 가장 높았고, 50% 엽면시비구에서 다음으로 높았다. 수체 전체의 질소회수율은 25, 50% 엽면시비구, 표층시비구에서 각각 29.2, 17.7, 8.0%이었다. 봄과 여름에 시용된 질소의 토심 0~40 cm에서의 잔류율은 25, 50% 엽면시비구 표층시비구에서 각각 50.3, 45.6, 51.8%이었다. 전체(수체, 낙엽, 잡초, 토양) 회수율은 25, 50% 엽면시비구, 표층시비구에서 각각 81.8, 65.1, 60.6%이었다.

  • PDF

Urea와 K2SO4 처리에 의한 복숭아 '미백도'에서 수확 시 과실의 무기성분 농도 및 과피색 변화 (Effects of Urea and K2SO4 treatment on the mineral nutrient concentration and fruit skin color of 'Mibaekdo' peach fruits at harvest)

  • 문병우;윤익구;문영지;남기웅;이영철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5권1호
    • /
    • pp.95-105
    • /
    • 2013
  • 복숭아 '미백도'에서 Urea 및 K2SO4를 토양 또는 수체처리하여 토양의 화학성, 과실의 무기성분 농도, 과피색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양의 화학성 중 K의 함량은 경핵기 Urea 162g+K2SO4 188g/주(표준) 토양처리, 수확 20일 전 K2SO4 1.0% 수체살포, Urea 81g+K2SO4 94g/주(반량), Urea 162g+K2SO4 188g 및 Urea 324g+K2SO4 376g/주(배량) 토양처리에서 무처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엽의 무기성분 농도는 전처리 모두 엽내 T-N, K 및 Ca 농도가 높았으며 Na 농도는 Urea 0.5% 및 K2SO4 1.0% 수체살포가 높았다. 과피내 T-N 농도는 수확 20일 전 Urea 162g+K2SO4 188g 토양처리에서 높았으나 K2SO4 1.0% 수체살포 및 Urea 81g+K2SO4 94g 토양처리에서는 낮았다. 과피 직하과육(1~10mm부위)의 T-N, K, Ca 농도는 Urea 0.5% 수체살포를 제외한 모든 처리에서 높았다. 엽중은 수확 20일 전 Urea 0.5% 수체살포, Urea 162g+K2SO4 188g 및 Urea 324g+K2SO4 376g 토양처리에서 증가하였다. 과중은 수확 20일전 Urea 162g+K2SO4 188g 토양처리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과피색(Hunter a값)은 수확 20일 전 K2SO4 1.0% 수체살포, Urea 81g+K2SO4 94g 및 Urea 324g+K2SO4 376g 토양처리에서 과피 적색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당도는 Urea 0.5% 수체살포, K2SO4 1.0% 수확 20일 전 수체살포 및 Urea 162g+K2SO4 188g 경핵기 토양처리에서 증가하였다.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변량제어 스프레이어 (Ultrasonic Sensor Controlled Sprayer for Variable Rate Liner Applications)

  • 전홍영;주허핑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6권1호
    • /
    • pp.15-22
    • /
    • 2011
  • An experimental variable rate nursery sprayer was developed to adjust application rates for canopy volume in real time. The sprayer consisted of two vertical booms integrated with ultrasonic sensors, and variable rate nozzles coupled with pulse width modulation (PMW) based solenoid valves. A custom-designed microcontroller instructed the sensors to detect canopy size and occurrence and then controlled nozzles to achieve variable application rates. A spray delivery system, which consisted of diaphragm pump, pressure regulator and 4-cycle gasoline engine, offered the spray discharge function. Spray delay time, time adjustment in spray trigger for the leading distance of the sensor, was measured with a high-speed camera, and it was from 50 to 140 ms earlier than the desired time (398 ms) at 3.2 km/h under indoor conditions. Consequently, the sprayer triggered 4.5 to 12.5 cm prior to detected targets. Duty cycles of the sprayer were from 20 to 34 ms for senor-to-canopy (STC) distance from 0.30 to 0.76 m. Outdoor test confirmed that the nozzles were triggered from 290 to 380 ms after detecting tree canopy at 3.2 km/h. The spray rate of the new sprayer was 58.4 to 85.2% of the constant application rate (935 L/ha). Spray coverage was collected at four areas of evergreen canopy by water sensitive papers (WSP), and ranged from 1.9 to 41.1% and 1.8 to 34.7% for variable and constant rate applications, respectively. One WSP area had significant (P < 0.05) difference in mean spray coverage between two application conditions.

'홍로'/M.9 사과나무의 세장방추형에서 수고가 투광율, 투약율, 수체 생육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e Height on Light Transmission, Spray Penetration, Tree Growth, and Fruit Quality in the Slender-spindle System of 'Hongro'/M9 Apple Trees)

  • 최동근;송주희;강인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4호
    • /
    • pp.454-462
    • /
    • 2014
  • '홍로'/M.9 사과나무 세장방추형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고에 따른 투광율, 투약율, 수체생육, 과실 품질, 그리고 노동 생산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고가 높을수록 수관내부, 특히 낮은 수관위치에서의 투광률은 감소하였다. 엽면적지수(LAI)는 수고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나 엽면적지수의 증가는 수관 내부 농약 살포 효과를 감소시켰다. 신초 생장은 수고가 높을 때 가늘고 길게 자라는 경향이었고, 과실의 착색도는 수고가 높을 때 감소하였으나, 과실 경도와 산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수고가 높을 때 주당 착과수는 증가하였으나, 305g 이상의 대과 생산량은 감소하였다. 수고가 높아질수록 적화, 적과, 전정, 수확 등에 필요한 노동력은 증가하였으나, 높은 수고에서의 노동력 증가는 고소작업차를 투입하여 해결할 수 있었다. 4.5m 수고에서 적화 작업의 경우 사다리보다 전동고소작업차를 이용했을 때 작업시간은 14.6분/주가 절약되었다. 투광율 향상과 과실착색도 증진을 위하여 수관내부의 광환경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공기 중 농약 비산의 측정을 위한 광학 입자 측정기의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of Optical Particle Counters for Measurement of Airborne Pesticide Spray Drift)

  • 김락우;홍세운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5호
    • /
    • pp.79-87
    • /
    • 2019
  • With desires for safe food, there is growing concern that pesticide spray drift will expose people, plants, and the environment to pesticide residue and potential negative effects thereof. For highly efficient, safe spray application, technologies for measuring the spray drift should be developed and improved with some urgenc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pplicability of two optical particle counters (OPCs), which are mostly used to measure airborne particle mass concentration, for measurement of airborne pesticide spray drift.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controlled laboratory and an ash tree orchard to evaluate the handiness and accuracy of two OPCs, OPC 1 and OPC 2.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OPC 1 was better applicable to the measurement of spray drift in the field while the use of the OPC 2 was limited due to its narrow range of measurable droplet sizes. The readings of the OPC 1 produced highly accurate results ($R^2=0.9637$) compared to the actual spray drift. For better application of OPCs, this study suggests the OPCs should be positioned properly to inhale spray droplets of the appropriate size and concentration.

과수 인식을 이용한 지능형 방제기 시스템 개발 (Intelligent Sprayer System using Tree Recognition)

  • 홍형길;우성용;송수환;오장석;윤해룡;서갑호;권순욱;이기용;이장창;조희근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15-123
    • /
    • 2020
  • Farmers using conventional sprayer system are exposed to pesticide poisoning and soil pollution due to pesticide application. In order to reduce this problem, the effective sprayer system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development of intelligent sprayer system using tree recognition. This intelligent sprayer system consists of an image recognition module, a remote control, a sprayer system, an air blower, and a control module. It is possible to spray pesticides automatically and manually through remote control using cameras and controls. We conducted a total of four experiments in tree recognition experiment, test of attachment and water sensitive papers, measurement of pesticide consumption, and measurement of worker exposure.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consumption of pesticides could be reduced while giving the same effect as conventional controls.

괴화추출물에 의한 견섬유의 염색성 (Dyeing of Silk with Chinese Scholar Tree Extract)

  • 배정숙;김성숙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3-191
    • /
    • 2000
  • The dyeing of silk fabric with chinese scholar tree extract was investigated. The colorant was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finally spray-dried. The optimum temperature and dyeing time for the dyeing of silk with the scholar tree extract was $60^\circ{C}$ and 60 minutes respectively. In mordant dyeing, pre-mordanting method was most effective for color yield, and 1~2 % of mordant concentration was acceptable. Fastness of the dyed silk fabric to laundering and rubbing was shown to be good, but fastness to light, dry cleaning, and perspiration were varied with used mordants.

  • PDF